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욕창 단계별 특징 – [시연용] c0160aako 욕창의 진행단계별 드레싱방법 안내“?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aodaithanhma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aodaithanhma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HealthBreeze헬스브리즈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0,846회 및 좋아요 55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 1단계 : 표피는 정상이나 30분 내로 없어지지 않는 홍반
- 2단계 : 피부조직의 부분 손상으로 표피 혹은 진피가 손상
- 3단계 : 피부와 피하조직까지 침범되는 경우
- 4단계 : 뼈, 힘줄, 근육까지 노출되는 경우
Table of Contents
욕창 단계별 특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시연용] c0160aako 욕창의 진행단계별 드레싱방법 안내 – 욕창 단계별 특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복잡한 환자/보호자 교육, 1,200종 이상의 알기 쉬운 헬스브리즈 애니메이션으로 \”설명처방\” 하세요!
* 월 사용료 : 의원 6만원 / 병원 20만원 / 전문병원, 검진센터 40만원 / 종합병원 60만원 / 상급종합병원 100만원
(월 600~10,000건 무료전송 포함. VAT 별도)
– 사용 문의 : [email protected] / 02) 866-5930
욕창 단계별 특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욕창(Pressure Sore)에 대해서. 욕창단계, 증상, 간호, 치료, 발생 …
욕창(Pressure Sore)에 대해서. 욕창단계, 증상, 간호, 치료, 발생부위, 관리, 드레싱 · 1. 욕창발생 위험요인이 있는 대상자를 사정하여 욕창예방 간호를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0/3/2022
View: 5885
욕창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압력을 받는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고, 그 부위의 피부에 오려낸 듯한 궤양이 형성되고, 곧이어 피부의 괴사가 나타납니다. 욕창은 4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발생합니다. ① 1 …
Source: www.amc.seoul.kr
Date Published: 2/3/2021
View: 1692
[스크랩] 욕창의 단계별 특징과 관리 – Daum 블로그
이 단계가 되면 환자의 전체적인 건강상태가 매우 나빠지기 쉽다. ※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 ① 후두부(Occipt) – 뼈 돌출 부위 ② 척추 돌출 부위( …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2/6/2021
View: 6377
[의학] 욕창의 단계부터 예방법까지! – 자몽 story.
안녕하세요! 오늘은 장기 입원 환자에게. 호발하는 욕창에 대해 설명드리려 합니다. 우선 욕창이란 Pressure ulcer, bedsore로.
Source: ujn12.tistory.com
Date Published: 12/20/2022
View: 1464
욕창이란? (pressure sore) : 욕창의 단계 및 예방법 – 건강행복
욕창 1단계. 피부에 홍반이 있는 등 피부색의 변화 : 이 단계는 피부색이 붉은색이나 보라색으로 변하는 단계입니다.
Source: ferstx.tistory.com
Date Published: 8/2/2022
View: 5864
욕창예방 및 관리 안내 – 욕창 관련 환자안전 정보제공지 시리즈
#2. 욕창 단계별. 드레싱 선택 안내. •. 집중치료실에서 병동으로 전동 시. 욕창에 대한 인수인계가 누락 되었으며,. 전동 후 3일 동안 욕창 사정을.
Source: download.kshp.or.kr:444
Date Published: 4/29/2022
View: 1286
욕창 단계별 사진 및 특징정리 및 욕창 드레싱종류 정리 레포트
목차. 1. <원인> 1) 압력 2) 마찰력 3) 전단력 2. <발생기전> 3. <드레싱 종류> 1) 거즈드레싱(Gauze dressing) 2) 투명 필름 드레싱(Transparent …
Source: www.happycampus.com
Date Published: 11/19/2021
View: 9063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욕창 단계별 특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시연용] c0160aako 욕창의 진행단계별 드레싱방법 안내.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시연용] c0160aako 욕창의 진행단계별 드레싱방법 안내](https://i.ytimg.com/vi/aA3hS7v23Ow/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욕창 단계별 특징
- Author: HealthBreeze헬스브리즈
- Views: 조회수 70,846회
- Likes: 좋아요 557개
- Date Published: 2017. 5. 1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aA3hS7v23Ow
욕창(Pressure Sore)에 대해서. 욕창단계, 증상, 간호, 치료, 발생부위, 관리, 드레싱
간호진단
욕창과 관련된 간호진단으로는 욕창발생 위험군을 위한 간호진단과 포함된다.
○ 조직손상
○ 피부손상
○ 통증
○ 감염의 위험성
간호중재
(1) 욕창 관리를 위한 기본 원칙
① 원인 요소를 파악하여 제거한다.
욕창발생의 원인과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기동성, 감각정도, 영양상태, 실금 등의 일반적인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제거한다.
② 욕창 치유를 위한 전신 상태를 향상시킨다.
환자를 사정할 때는 혈관상태, 폐기능, 영양상태 등 욕창치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해야하며 사정결과에 따라 전신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가 필요하다.
③ 적절한 국소적 요법을 적용한다.
(2) 국소적 치료의 원칙
① 괴사조직을 제거한다. (각 의료기관의 지침에 따라 선택)
괴사조직은 욕창의 치유과정 중 염증과정을 지연시키고 세균의 배지로 작용하므로 최적의 치유과정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거되어야 한다. 단, 건조가피를 가진 허혈성 상처는 제거해서는 안된다.
② 감염을 발견하고 치료한다.
피부는 정상적으로 pH 4.2~5.6의 약산성을 유지하여 세균의 침투를 막지만 피부가 손상되면국소적 이산화탄소의 손실로 약알카리성으로 된다. 이러한 pH의 변화와 피부손상에 의한 백혈구, 단핵구, 대식세포의 기능저하는 세균성감염의 기회를 증가시킨다. 박테리아는 섬유아세포와제한된 산소를 가지고 경쟁하게 되므로 염증기가 지연되고 콜라겐 합성이 방해를 받으며 상피세포의 이주를 방해한다. 따라서 욕창감염은 욕창을 악화시키거나 치유를 지연시킨다. 상처세척,괴사조직의 제거 및 적절한 드레싱 적용을 함으로써 욕창감염을 예방하는 것은 욕창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③ 사강(Dead Space)을 채운다.
사강은 세균의 배지를 제공할 뿐 아니라 농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드레싱제제를 사용하여 사강을 채운다.
④ 지나친 삼출물을 흡수한다.
많은 양의 분비물은 세균증식을 유도하여 감염의 기회를 제공하고 욕창 주변의 피부를 침연(Maceration)시키므로 적절한 드레싱을 사용하여 지나친 삼출물을 흡수한다.
⑤ 욕창의 기저부를 습윤하게 유지한다.
습윤 환경은 표피세포의 이주(Migration)를 돕고 새로운 혈관생성과 결체조직의 복구를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괴사조직이 자가 분해할 수 있게 하고 백혈구가 상처기저부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⑥ 외부의 온도변화와 외상으로부터 보호한다.
지나친 온도변화는 상처치유에 필수적인 세포활동이 방해하고 상처에 외상이 가해지면 새롭게 형성된 혈관, 결체조직, 표피를 손상시켜 상처치유를 지연시킨다.
(3) 욕창단계별 간호중재
욕창은 여섯 개로 분류된 단계에 따라 사정한 후 본 지침서에서 제안한 욕창 단계별 간호중재를 바탕으로 관리한다.
① 심부조직손상이 의심되거나 1단계 욕창
– 욕창예방 간호중재를 지속한다.
– 심부조직손상이 의심되는 부위, 1단계 욕창발생 부위, 그리고 욕창발생 호발 부위는 체위변경 시(2시간마다 체위변경 필요)와 드레싱 교환 시마다 재사정하여 기록한다.
– 욕창과 욕창치유과정을 사정하고 적어도 1회/주 욕창간호기록지에 해당 항목에 한하여 기록한다.
– 손상된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는 체위를 피한다.
– 침대나 의자의 압력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적절한 지지도구(Ex : 공기침요, 휠체어 쿠션, 매트리스 덧깔개 등)를 사용한다.
– 욕창 간호의 중요성을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한다.
– 필요시 폼 드레싱이나 투명필름 드레싱을 손상된 부위에 적용한다. 단 심부조직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는 투명필름 드레싱을 사용하지 않는다.
② 2단계 욕창
– 1단계 욕창관리 계속
– 욕창과 욕창치유과정을 사정하고 적어도 1회/주 욕창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드레싱 교환 시 생리 식염수나 상처 세척제를 이용하여 상처를 닦아낸다. 세균을 상처표면에서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데는 소독제가 필요하지 않으며 소독제를 사용하면 감염조절에는 효과가있으나 섬유아세포나 백혈구의 활동을 저해한다.
– 주위 피부를 자연 건조시킨 후 상태에 맞는 적절한 드레싱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 삼출물이 소량인 경우
하이드로젤 적용 후 투명필름 드레싱이나 폼 드레싱으로 커버하거나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단, 염증증상이 없는 경우)을 적용한다.
※ 주의: 투명필름 드레싱은 흡수력이 없으므로 거즈드레싱을 먼저 적용한 후 2차 드레싱으로 사용한다.
ⓑ 삼출물이 중정도~다량인 경우
– 폼 드레싱을 적용한다.
– 드레싱은 3일 간격으로 교환하며 삼출물의 양에 따라 조절한다.
– 드레싱이 벗겨지거나 오염되었을 경우 즉시 다시 교환한다.
– 욕창사정 및 중재에 대해 기록한다.
– 만약 욕창의 감염이 의심되거나 확인되면 즉시 주치의에게 보고하고 필요시 상처전문간호사등 해당부서에 의뢰하며 적절한 드레싱(예: 항균드레싱)을 적용한다.
③ 3. 4 단계 욕창, 분류불가능 단계 욕창
– 1단계 욕창간호 계속
– 적어도 주 1회 욕창과 욕창치유과정을 사정하고 욕창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드레싱 교환 시 생리 식염수나 상처 세척제로 상처를 닦아낸다.
– 괴사 조직이 있는 경우 제거한다(각 의료기관의 지침에 따라 선택).
– 주위피부를 건조시킨 후 상태에 맞는 적절한 드레싱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 괴사조직이 없는 경우
삼출물이 소량인 경우는 하이드로젤을 포함한 드레싱 적용한다.
삼출물이 중정도~다량인 경우는 하이드로화이버 혹은 폼 드레싱 적용한다.
드레싱은 적어도 3일 간격으로 교환한다.
ⓑ 괴사조직이 있고 중정도~다량의 삼출액이 있는 경우
괴사조직을 제거한 후 (각 의료기관의 지침에 따라 시행) 알지네이트나 하이드로화이버 드레싱으로 사강을 채우고 투명필름 드레싱이나 폼 드레싱으로 커버한다. 드레싱교환의 빈도는 삼출액의 양에 따라 결정한다.
– 드레싱이 벗겨지거나 오염되었을 경우 즉시 전체 드레싱을 다시 교환한다.
– 욕창 사정 및 중재에 대해 기록한다.
– 만약 욕창의 감염이 의심되거나 확인되면 즉시 주치의에게 보고하고 필요시 상처전문간호사 등 해당부서에 의뢰하며 적절한 드레싱(Ex : 항균드레싱)을 적용한다.
[의학] 욕창의 단계부터 예방법까지!
자몽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장기 입원 환자에게
호발하는 욕창에 대해 설명드리려 합니다.
우선 욕창이란 Pressure ulcer, bedsore로
지속적 압박에 의해 초래되는 피부 조직의 손상 상태 입니다.
의학용어를 보면 알 수 있듯이
Pressure 압력에 의한 Ulcer 궤양
Bed 침대에 의한 Sore 상처(와상 환자의 경우)를 의미합니다.
혹은
압력, 응전력과 마찰력의 결과로 피부 조직 아래,
주로 뼈돌기 부분에 생긴 국소적 상처 로
정의되기도 합니다.
(NPUAP, 국제 욕창자문위원회)
욕창이 발생하면 치료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에게 경제적, 육체적 고통을
유발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욕창의 발생 기전, 유발 요인, 단계,
예방법과 간호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욕창의 발생 기전
1) 외부 압력
욕창 부위의 변화는 보통 체중에 의한 압력으로
초래된 혈관의 허탈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와상 환자의 경우 욕창 호발 부위는
천골(Sacrum), 즉 엉덩이 뼈입니다.
위 사진처럼 장시간 누워있으면
둔부에 혈액 순환 장애가 발생하면서
세포에 영양,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결국엔 조직이 괴사되어 궤양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2) 마찰과 응전력
마찰은 두 표면이 반대편으로 움직일 때 발생하며,
응전력이란 압력과 마찰력이 합쳐진 물리적인
힘을 의미합니다.
마찰과 응전력 요인을 피하기 위해서
중환자실에서는 간호사가 환자의 체위를 변경할 때
끌지 않고 들어서 움직이도록 합니다.
2. 발생 요인
1) 습기
피부의 습기는 욕창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주로 상처, 발한, 변실금과 요실금 때문에 발생하므로
피부가 짓무르지 않도록 건조하게 유지해줍니다.
2) 영양
영양부족, 특히 심한 단백질 결핍증은
연조직을 쉽게 손상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더불어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파괴하므로
적절한 영양 공급을 해야 합니다.
3) 감염
신체에 병원체가 침투하여 감염이 생기면
일반적으로 발열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세포의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키고,
발한으로 인해 피부의 습기 또한 높아지게 됩니다.
4) 연령
욕창 환자의 60~90%가 65세 이상인 만큼
통증에 대한 감각 저하, 노화로 인한 혈류 감소로 인한
노인의 욕창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5) 부동
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도
스스로 압력을 감소시킬 능력이 없는 환자의 경우
체위 변경 간호를 통해 압력이 분산되도록 합니다.
3. 욕창의 단계 및 간호
욕창은 1~4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욕창은 조기발견이 중요하기 때문에 간호사는
주기적인 피부 통합성을 사정을 통해
단계를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욕창의 단계 피부 변화 치료 1단계 -압력이 사라져도 소실되지 않는 홍반이 있지만 피부는 손상되지 않은 상태 -압력 완화 간호 (압력 완화 도구 사용, 체위 변경) -투명 드레싱 적용 2단계 -표피와 진피층까지 침범된 부분적인 두꺼운 피부 상실이 있는 상태 -궤양이 표면적이고 임상적으로는 찰과상, 수포와 같이 얕게 파인 궤양 -생리식염수 사용, 폐쇄 드레싱 적용 3단계 -피하조직층을 침범한 괴사가 있으며 피부가 완전 상실되나 근막층까지는 침범하지 않은 상태 -주변 조직까지 침해하지 않거나 침식한 깊은 궤양 -데브리밍 방법 -외과적 중재, 단백질 분해효소 적용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 적용 4단계 -근육, 뼈, 지지조직(건, 관절 등)의 광범위한 손상과 조직 포함한 완전 피부 상실 상태 -비접착성 드레싱, 필요 시 피부 이식 -칼슘 알지네이트 드레싱 적용
*위와 같은 4단계는 간호학생의 경우 병원 취업 시
면접 단골 질문이므로 잘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이를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욕창의 단계 이미지
이와 더불어 가장 대표적인 욕창 사정 도구는
Braden의 욕창 사정 도구입니다.
1점 2점 3점 4점 감각 지각 상태 -욕창과 관련된 불편감에 의미 있게 반응하는 능력 완전 제한 -통증 자극에 전혀 반응하지 않음 -의식 상태 저하와 관련된 신체 전반에 통증을 느끼는 능력 제한 상당히 제한 -통증 자극에만 반응함 -신음하거나 안절부절못하며 불편감을 호소함 약간 제한 -말로 하는 명령에 반응할 수 있으나 불편감이나 체위 변경의 필요를 항상 표현할 수 없음 전혀 손상 없음 -말로 하는 명령에 반응함 -감각 손상 없음 습기 정도 -피부가 습기에 노출되는 정도 지속적인 습기 -피부가 거의 지속적으로 땀, 소변 등에 의해 축축함 약간의 습기 -약간의 피부는 가끔 축축함 -홑이불을 적어도 매 근무시간마다 교환함 가끔 습기 있음 -피부는 가끔 축축함 -하루에 한 번 정도 홑이불 교환이 필요함 거의 습기 없음 -피부는 항상 건조함 -홑이불 교환은 정기적인 간격으로 함 활동상태 -신체활동 정도 침대에만 누워있음 휠체어에 앉아 있음 -보행 능력이 심하게 제한되거나 없음 가끔 보행 -도움받거나 도움 없이 매우 짧은 거리만 낮에 가끔 보행함 자주 보행 -깨어 있는 동안 적어도 하루에 두 번 병실 바깥을 보행하고 적어도 2시간에 한 번씩은 병실 안을 보행함 이동 -체위를 조절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능력 완전 불가능 -도움 없이는 몸이나 사지를 약간이라도 체위 변경할 수 없음 상당히 제한 -가끔 몸이나 사지를 약간 체위 변경할 수 있으나 독립적으로 자주 체위 변경을 할 수 없음 약간 제한 -몸이나 사지를 약간 체위 변경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자주 체위 변경할 수 있음 정상 도움 없이 자주 체위 변경을 함 영양 상태 -일상적인 영양 섭취 상태 매우 불량 -항상 음식을 남김 -금식, 맑은 유동액을 섭취하거나 5일 이상 정맥 주입함 불충분 -식사를 다 먹는 경우가 드물고 일반적으로 제공된 음식의 1/2 정도만 섭취함 충분 -식사의 반 이상을 섭취함 우수 -매 식사의 대부분을 섭취함 -식사를 거절한 적이 없음 마찰과 응전력 잠재적 문제 -힘 없이 움직이고 약간의 도움이 필요함 실제적인 문제 없음
마지막으로 욕창 간호 및 예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일 위험 대상자의 피부를 사정한다.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해야 한다. 대변, 소변으로 더럽혀질 경우 깨끗이 유지한다.
뼈 돌출 부위는 마사지를 피한다.
대상자가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돕는다.
올바른 체위 변경, 자세 돌리기, 대상자 이동 기술을 통해 피부 손상을 최소화한다.
움직임과 활동을 향상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을 한다.
이는 욕창 발생 위험 요인을 줄이는 것과 같습니다.
의료진과 보호자는 욕창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환자에게 욕창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참고 문헌)
기본간호학 2, 현문사, 양선희 외, 2017
성인 간호학 1, 수문사, 김금순 외, 2017
욕창이란? (pressure sore) : 욕창의 단계 및 예방법
dltjsry111
욕창이란? (pressure sore) : 욕창의 단계 및 예방법
욕창이란 우리 신체의 어느 한 부분이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눌리게 되면 조직으로 혈액순환이 어려워지게 되어, 근육, 피부, 신체 조직은 혈류를 통한 산소와 영양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것이 줄어들게 되어서 결국 신체조직이 허혈상태에 빠져 염증과 괴사 등이 일어나 조직 손실이 오게 됩니다.
이처럼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혈류가 줄어들게 되어 생기는 신체조직이 괴사가 되는 상해를 말합니다. 주로 등, 허리, 어깨, 팔꿈치 등 바닥면과 접촉되는 피부에서 생기며 오랫동안 병상에 있어서 쇠약해진 환자나 뇌신경장애로 체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없는 환자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체중이 압박받는 부위( 특히 뼈가 들어난 부위)에서 생기기 쉽고, 부목이나 깁스에 의한 압박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욕창이 잘생기는 부위는?
앞서 말했듯이 욕창의 호발 부위는 뼈가 튀어나오고 피부와 근육이 얇은 부위입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누워 있기 때문에 누운자세에서 후두부, 어깨, 팔꿈치, 엉치뼈, 발뒷꿈치 등이 있습니다. 앉은자세에서는 대부분의 하지마비 환자의 경우 휠체어에서 지내기 때문에 어깨, 엉덩이(궁둥뼈 주위), 무릎뒤쪽(오금) 발뒤꿈치 등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욕창 단계
(일시적인 순환장애 -> 발적 -> 심부 조직의 괴사 -> 광범위한 궤양, 감염)
욕창 1단계
피부에 홍반이 있는 등 피부색의 변화 : 이 단계는 피부색이 붉은색이나 보라색으로 변하는 단계입니다.
욕창 2단계
표피, 진피까지 침범하여 물집, 벗겨짐 : 피부색의 변화만 있는 단계를 넘어 부분적인 두꺼운 피부상실과 궤양이 표면적이고 임상적으로는 찰과상, 포진과 얕게 파인 구멍 이 있습니다.
욕창 3단계
피하조직까지 침범하여 두꺼운 피부의 상실 : 욕창이 많이 진행된 상태로 피부층의 전층 손실로 인해 피하지방조직이 들어나게 됩니다.그러나 근막층까진 침범하지 않습니다.
욕창 4단계
근육, 뼈, 힘줄, 관절 등 광범위한 손상과 조직괴사를 포함한 완전 피부상실 : 욕창이 아주 심해진 단계로 깊이가 꽤 깊어져 뼈,근막,근육 등이 노출된 상태입니다, 골수염 합병증의 위험이 있고 감염에도 취약합니다.
욕창 초기단계인 1~2단계는 드레싱 치료로 회복 될수 있지만 재생 가능한 피부가 소실된 3단계 부터는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욕창의 예방
욕창 예방 방법
1.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 줍니다 (적절한 체위유지를 위해 베개나 패드를 사용함)
2. 혈액순환 증진을 위해 반드시 금연을 해줍니다.
3. 충분한 영양 섭취( 물, 단백질, 비타민 등)를 해줍니다.
4. 압력 받는 부위에 마사지를 제공해 줍니다.
5. 피부를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해 줍니다.
욕창 단계별 사진 및 특징정리 및 욕창 드레싱종류 정리 레포트
소개글 “욕창 단계별 사진 및 특징정리 및 욕창 드레싱종류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원인>
1) 압력
2) 마찰력
3) 전단력
2. <발생기전>
3. <드레싱 종류>
1) 거즈드레싱(Gauze dressing)
2) 투명 필름 드레싱(Transparent polyurethane film dressing)
3) 하이드로겔 드레싱(Hydrogel dressing)
4)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Hydrocolloid dressing)
5) 폼 드레싱(Foam dressing)
6) 하이드로화이버 드레싱(Hydrofiber dressing)
7) 알지네이트 드레싱(Alginate dressing)
4. <욕창의 평가>
5. <욕창 예방>
1) 압력 최소화
2) 마찰력과 전단력 최소화
3) 실금관리
4) 영양부족 교정
5) 대상자와 보호자 교육
6. <욕창 관리>
본문내용 신체의 일정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pressure)이나 혹은 마찰(friction)과 전단력(shearing force)이 결합한 압력이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으로 가해져,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를 가져와 피부 및 피하 심부조직에 괴사가 일어난다.
<원인>
1) 압력
수직으로 걸리는 힘으로 욕창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다. 압력으로 인한 욕창은 최대 압력을 받은 부위를 중심으로 비교적 둥근 모양이다.
2) 마찰력
침대 시트 등 거친 면으로 피부를 끌어당길 때 발생하므로 마찰력에 의한 욕창은 비교적 얕고 넓은 모양이다.
3) 전단력
압력과 마찰력 사이에 작용하는 힘으로, 침대머리 쪽을 올렸을 때 중력에 의해 환자가 침대 아래로 미끄러지게 되고 반대로 침대 표면에서는 환자를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 두 힘에 의해 주로 얕은 근막(fascia)과 근육에 단단히 붙어있는 깊은 근막 사이가 엇갈리면서 혈액순환장애를 일으켜 근육과 같은 깊은 조직에 욕창이 발생한다.
중력에 의해 신체가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뼈와 근육층이 움직이나 피부는 침대와의 마찰력에 의해 그 자리에 정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뼈와 근육층이 피부 안으로 말려들어가면서 피부가 찢어지게 되어 잠식이 생기는 것이다.
<발생기전>
신체 일부분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 지속
→ 국소조직의 모세혈관 폐쇄, 작은 혈관이 막혀 저산소증 초래
→ 조직 괴사, 손상
1단계
– 비창백성홍반
-압박을 제거하고도 2시간 내 또는 24시간 내로 회복되지 않는 홍반, 압력이 제거되고 나면 발적(홍반)은 서서히 회복됨.
– 뼈 돌출부위에 국소적 형성
– 눌러도 하얗게 되지 않는 발적이 있는 온전한 피부상태
→ 압력 완화 도구 사용
→ 체위변경
2단계
– 표피는 물론 진피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상태
– 분홍색이나 붉은색
– 부육이나 반상출혈이 없는 얕은 궤양으로 장액성수포가 나타나타나기도함
키워드에 대한 정보 욕창 단계별 특징
다음은 Bing에서 욕창 단계별 특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시연용] c0160aako 욕창의 진행단계별 드레싱방법 안내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YouTube에서 욕창 단계별 특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연용] c0160aako 욕창의 진행단계별 드레싱방법 안내 | 욕창 단계별 특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