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의 날 | Infinite Challenge, What Women Want #02, 여성의 날 20090307 빠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여성 의 날 – Infinite Challenge, What Women Want #02, 여성의 날 20090307“?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aodaithanhma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aodaithanhma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MBCentertainment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94,628회 및 좋아요 2,94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여성 의 날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Infinite Challenge, What Women Want #02, 여성의 날 20090307 – 여성 의 날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공식홈페이지 http://www.imbc.com/broad/tv/ent/challenge/main.html
방송시간 SAT 18:30~
Infinite Challenge(무한도전), 144회, EP144, 2009/03/07, MBC TV, Republic of Korea
박명수의 거성 쇼

여성 의 날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세계 여성의 날’은 왜 3월 8일일까? – BBC News 코리아

세계 여성의 날은 여성 노동자들의 운동에서 유래됐다. 1975년 UN이 3월 8일을 공식적으로 ‘여성의 날’로 지정했다. 3월 8일은 여성들이 사회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bbc.com

Date Published: 1/30/2021

View: 8306

국제 여성의 날 – 나무위키:대문

문화어로는 국제부녀절이라고 하며 영어로는 International Women’s Day라고 한다. 매년 3월 8일로, 여성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업적을 기리는 날이다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0/24/2022

View: 4650

국제 여성의 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제 여성의 날 … 1909년 사회주의자들과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정치적 행사로 시작되었고, 1910년 알렉산드라 콜론타이와 클라라 체트킨에 의해 세계적 기념일로 제안 …

+ 여기에 보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5/22/2021

View: 1498

베트남에서는 ‘여성의 날’이 두 번이다

사실 베트남의 공식적인 여성의 날은 10월 20일로, 1930년 10월 20일 베트남 여성 연합(호이 푸 느 판 데 비엣남:Hội Phụ nữ phản đế Việt Nam. 현재 호이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womennews.co.kr

Date Published: 5/21/2022

View: 8983

3.8 세계 여성의 날을 소개합니다! – 블로그

International WOMEN’S DAY! 매년 3월 8일은 세계 여성의 날입니다. 1908년 3월 8일부터 시작되어 113년이라는 세월을 지나 2021년을 살아가고 있는 …

+ 여기에 표시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1/21/2022

View: 1067

3·8세계여성의날 (Happy Women’s Day) – 국가인권위원회

2018년 2월 20일 여성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양성평등기본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2018년부터 3월 8일이 법정기념일인 ‘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humanrights.go.kr

Date Published: 2/11/2021

View: 2652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며 : 칼럼 – 한겨레

3월8일은 유엔이 지정한 세계 여성의 날이다. 이날을 기념하는 한국여성대회의 주제는 ‘돌봄·연대·정의―모두의 내일을 위해 오늘 페미니즘’이다. 과거와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hani.co.kr

Date Published: 9/17/2022

View: 9740

여성의 날, 여권의 날? – 베트남 교민잡지 ! 씬짜오 베트남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이었습니다. 비엣남에 와서 느끼는 몇 가지 낯선 문화 중에 하나가 바로 이날에 대한 사회적 인식입니다. 그렇지 않나요?

+ 여기에 표시

Source: www.chaovietnam.co.kr

Date Published: 1/15/2021

View: 8101

[오늘은] 빵과 장미, ‘세계 여성의 날’ – 연합뉴스

이후 2018년 2월 20일 여성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양성평등기본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하면서 3월 8일이 법정기념일인 ‘여성의 …

+ 더 읽기

Source: www.yna.co.kr

Date Published: 5/12/2021

View: 7557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10가지 방법 ‹ GO Blog | EF 코리아

3월 8일에 전통적으로 여성들에게 이탈리아에서 지정한 국제 여성의 날의 상징인 작고 노란 미모사 꽃다발이 주어집니다. 또한 여성의 힘을 상징하기 위해 …

+ 더 읽기

Source: www.ef.co.kr

Date Published: 5/24/2022

View: 1123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여성 의 날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Infinite Challenge, What Women Want #02, 여성의 날 20090307.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Infinite Challenge, What Women Want #02, 여성의 날 20090307
Infinite Challenge, What Women Want #02, 여성의 날 20090307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여성 의 날

  • Author: MBCentertainment
  • Views: 조회수 794,628회
  • Likes: 좋아요 2,947개
  • Date Published: 2012. 3. 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DTS2d0vqzfM

국제 여성의 날

namu.wikiContáctenosTérminos de usoOperado por umanle S.R.L.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 Su zona horaria es GMT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국제 여성의 날

[a] 이 포스터는 [2] 1914년 3월 8일, 독일에서 게시된 국제 여성의 날 포스터이 포스터는 독일 제국 에서 금지되고 만다.

국제 여성의 날(國際 女性의 날 , 영어: International Women’s Day, 독일어: Internationaler Frauentag, 러시아어: Международный женский день, 중국어: 國際婦女節 , 문화어: 국제부녀절(國際婦女節)) 또는 세계 여성의 날(世界 女性-)은 여성의 정치·경제·사회적 업적을 범세계적으로 기념하는 날이다. 1909년 사회주의자들과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정치적 행사로 시작되었고, 1910년 알렉산드라 콜론타이와 클라라 체트킨에 의해 세계적 기념일로 제안되었으며, 1975년부터 유엔에 의하여 매년 3월 8일이 세계 여성의 날로 공식 지정되었다.[3]

1908년 열악한 작업장에서 화재로 불타 숨진 여성들을 기리며 미국 노동자들이 궐기한 날을 기념하여 1909년 2월 28일 첫 번째 ‘전국 여성의 날’이 미국에서 선포되었고 이에 영감을 얻은 유럽에서는 1910년 8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여성노동자회의에서 독일의 여성운동가 클라라 제트킨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주장하기 위한 ‘여성의 날’을 제안했다. 이에 힘입어 이듬해인 1911년 3월 19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 스위스 등에서 참정권, 일할 권리, 차별 철폐 등을 외치는 첫 번째 ‘세계 여성의 날’ 행사가 개최되었다.[3]

몇몇 국가에서 이 행사는 원래의 정치적 색채를 잃고, 어머니날이나 밸런타인 데이처럼 남성의 여성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는 행사로 전락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세계 여성의 날은 여전히 여성의 자유, 참정권, 인권 등의 정치적 문제를 중심 주제로 삼고 있으며, 국제적인 여성들의 투쟁에서 이어지는 정치적, 사회적 자각을 잘 드러내주는 행사로 자리잡았다.[3]

많은 국가가 3월을 봄의 시작으로 여김에 따라, 세계 여성의 날은 봄철의 첫 번째 축제로 치러지기도 한다.

세계 여성의 날의 시작 [ 편집 ]

산업 혁명과 시민 혁명으로 인해 서유럽 세계가 자본주의 체제로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여성들의 지위는 기존 사회와 크게 달라지게 되었다. 이제 집안에서 가사 노동만을 담당하던 것에서 벗어나, 자본주의 체제의 노동자 계급의 일원으로 나서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자본주의 체제는 여성들에게 남성보다 가혹한 조건을 요구했고, 여성 노동자들의 불만이 1857년 미국의 뉴욕 시에서 처음으로 폭발한다. 이때 방직, 직물 공장에서 일하던 많은 여성 노동자들이 열악한 노동 환경과 저임금에 항의하는 시위를 일으켰고 이는 곧 경찰에게 공격받고 해산되었다. 2년이 지난 1859년 3월, 이 여성들이 최초로 그들의 노동 조합을 결성하게 된다. 이후 1908년 2월 28일 미국에서 여성들의 또 한번의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이때 15,000명이나 되는 여성 노동자들이 근무 시간 단축, 임금 향상, 투표권 등을 요구하며 뉴욕 시로 행진하였다.

이후 1910년 제2인터내셔널의 노동여성회의에서 독일의 노동운동 지도자 클라라 체트킨(Clara Zetkin)과 알렉산드라 콜론타이로부터 매년 같은 날, 모든 나라에서 동시에 여성의 권리 신장을 주장하는 ‘여성의 날’ 행사가 제안되었고, 이 주장이 받아들여져, 1911년 3월 19일에 첫 번째 ‘세계 여성의 날’이 개최되었다. 1848년 3월 19일은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프랑스 2월 혁명의 영향을 받은 노동자 계급의 봉기 움직임에 위협을 느끼고 여성 참정권 등을 약속한 날(이 약속은 봉기의 위험이 사라지자마자 취소되었다.)이었기에 이 날로 결정된 것이다.

초기의 성공과 정착 [ 편집 ]

제2인터내셔널에서 결정한 첫 번째 세계 여성의 날은 일단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치러졌다. 이 날을 전후해 독일과 오스트리아 전역에는 여성의 선거권을 중심으로 하여 여성의 각종 권리를 옹호하는 선전물들이 쏟아졌다. 행사 당일에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덴마크 등지에서 약 백만명 이상이 참가하였다.

이후 유럽과 미국 등지의 각국에서는 여성 노동자들의 사회운동 참여가 눈에 띄게 늘어났다. 1912년 5월 뉴욕의 5번가에서는 1만 5천 명 이상의 여성 노동자들이 선거권과 더 나은 노동 조건을 주장하는 시위를 펼쳤다. 1913년부터 3월 8일로 변경된 이후 세계 여성의 날은 독일, 미국 등 선진국이 아닌 주변 국가들까지 끌어들이는 성과를 보인다. 특히 러시아 여성 노동자들은 1913년부터 세계 여성의 날에 참가하였는데, 이들은 모든 정치집회가 금지된 제정 하에서도 끈질기게 국제 여성의 날 행사를 이어나갔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함에 따라, 여성 노동자의 국제적 연대를 주요 모토로 내걸던 세계 여성의 날은 급작스런 쇠퇴를 맞이한다. 혁명이 아닌 개혁 정책을 추구했던 서유럽 각국의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이 국제 연대적 색채가 강한 세계 여성의 날을 공공연히 방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계대전의 참혹한 상황 속에서도 세계 여성의 날은 노르웨이 등지에서 계속 명맥을 이어나간다.

특히 러시아에서 세계 여성의 날은 제정 폐지라는 성과를 거둔 1917년의 러시아 2월 혁명에 큰 공헌을 한다. 바로 1917년 3월 8일에 여성 노동자들이 앞장서서 제정 타도를 외치며 페트로그라드 거리에서 시위를 벌였던 것이다. 이들의 공헌으로 당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가 쫓겨났으며, 당시 여성 노동자들의 주장은 뒤이은 10월 혁명에서의 여성들의 평등권 신장의 밑거름이 된다.

이후 1927년 러시아에서 스탈린이 권력을 쥐고 국제 공산주의를 사실상 부인한 이후, 노동자들의 국제 연대가 쇠퇴하였고, 이에 따라 세계 여성의 날도 예전과 같은 면모를 이어가지는 못했다. 그러나 1960년대의 여성주의 운동의 성장과 함께 세계 여성의 날은 다시 예전처럼 전 세계 여성 노동자들이 벌이는 축제의 장이 되어 오늘날까지 그 면모를 이어나가고 있다.

유엔 과 세계 여성의 날 [ 편집 ]

1975년 ‘세계 여성의 해’ 기간 동안 유엔은 3월 8일을 세계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로 기념하기 시작했다. 2년 후인 1977년 12월 유엔 총회(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는 각 국가들이 자신들의 역사적이고 국민적인 전통에 따라서 1년 중 어느 하루를 정해 그 날을 여성의 권리와 세계 평화를 위한 유엔의 날로 준수할 것을 선포하는 결의를 채택했다[4]. 총회는 이 결의를 통해 평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인정하고, 차별의 종식 및 여성의 완전하고 평등한 참여를 위한 지원의 증진을 촉구했다[5].

각 국의 상황 [ 편집 ]

국가공휴일 여성에게만 휴일 공휴일 아닌 기념일

이 날은 아프가니스탄[6], 앙골라, 아르메니아[7], 아제르바이잔[8], 벨라루스[9], 부르키나파소[10], 캄보디아[11], 중화인민공화국 (여성에게만)[12], 쿠바[13], 조지아[14], 기니비사우[6], 에리트레아[6], 카자흐스탄[15], 키르기스스탄[16], 라오스[17], 마케도니아 공화국 (여성에게만), 마다가스카르(여성에게만),[18], 몰도바[19], 몽골[20], 네팔(여성에게만)[6], 러시아[6], 타지키스탄[6], 투르크메니스탄[6], 우간다[6], 우크라이나[6], 우즈베키스탄[21], 베트남[22]과 잠비아[23] 등 세계 여러 국가에서 기념일이다.[24][25][26]

한국에서의 세계 여성의 날 [ 편집 ]

여성의 날은 1920년 일제강점기에 나혜석, 김일엽, 김명순, 박인덕, 김활란 등 자유주의 계열과 허정숙, 정칠성 등 사회주의 계열이 각각 여성의 날 기념 행사를 시작하면서 조선에 정착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이들의 여성 행사를 감시하였지만 딱히 명분이 없어 탄압하지 못했고, 이는 1945년까지 꾸준히 이어졌다. 여성운동에 대한 탄압적인 정책을 유지했던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집권 시절에는 사회주의적 경향을 가진 세계 여성의 날은 공개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였으며, 뜻있는 소수에 의해서만 치러지는 작은 행사에 불과했다. 이런 상황은 1985년에 가서야 일부 해소되었는데, 그때서야 비로소 3월 8일을 세계 여성의 날로 공개적으로 기념할 수 있었고 제1회 한국여성대회가 개최되었다.[27][28] 이후 1987년 6월 항쟁을 계기로 세계 여성의 날은 본격적인 정치색을 가지게 되었고,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3], 전국여성노조[4], 민주노총[5] 및 각종 여성주의 단체들이 주최 및 후원하는 전국적인 정치·문화 행사로 자리잡았다. 2021년에는 코로나19(COVID-19) 범유행의 영향으로 많은 행사가 비대면으로 개최되었으며, 한국성폭력상담소는 여성의 날 당일인 3월 8일부터 15일까지 원하는 장소에서 3.8km를 달린 뒤 인증하는 ‘연대의 런데이’를 진행했다.[29] 민주노총도 2022년 3월 8일 여성의 날 선전물을 만들었으며, 여성들이 노동현장에서 겪는 차별을 넘어서자는 내용을 담았다.

논쟁 [ 편집 ]

공산 체코에서는 매년 3월 8일마다 거대한 소련식 축하행사가 매년 열렸다. 공산주의 붕괴 후, 세계 여성의 날은 공산정권의 주요 상징 중 하나로 치부되어 잊혀져 갔다. 체코 의회는 체코 사회민주당과 보헤미아-모라비아 공산당의 요청에 따라 최근[언제?]에서야 공식적인 “중요한 날”로 복원시켰지만, 이는 사회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2007년 3월 4일, 이란 테헤란에서는 이 행사와 관련된 폭력사태가 촉발되었다. 그 날, 경찰이 행사를 준비하던 수백 명의 남녀들을 구타하였으며, 여러 명의 여자들을 체포해 억류, 심문한 뒤 며칠 후 석방했다.[30] 일부 활동가들은 15일간 단식투쟁을 한 뒤 석방됐다.[31]

관련 항목 [ 편집 ]

참고 문헌 [ 편집 ]

각주 [ 편집 ]

내용주 [ 편집 ]

↑ [1] 여성에게 참정권을 주십시오. 1914년 3월 8일 여성의 날. 지금까지의 편견과 반동적 태도는 노동자, 어머니, 시민으로서 의무를 다하고 국가와 지자체에 세금을 내야 하는 여성에 대한 완전한 시민적 권리를 부정해왔습니다. 이 자연적 인권을 위한 투쟁은 모든 여성, 모든 여성 노동자의 확고하고 확고한 의지여야 합니다. 여기에는 휴식을 위한 쉼도 없고 휴식도 허용되지 않습니다. 여성 여러분, 1914년 3월 8일 일요일 오후 3시에 열리는 제9차 여성 공개 집회에 참석하십시오.

인용주 [ 편집 ]

베트남에서는 ‘여성의 날’이 두 번이다

쯩 자매의 생애를 다룬 만화. ⓒ유튜브 영상 캡쳐

3월 8일과 10월 20일

상점마다 할인을 안내하는 간판을 내 걸었고 길에는 꽃을 파는 노점상들이 늘어났다. TV와 잡지에는 사랑하는 연인에게 마음을 표현하라는 광고들이 가득하고 직장 내 여성 동료에게 선물할 간식을 준비하느라 분주한 남성들의 모습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바로 베트남에서 여성의 날이 가까워졌다는 증거다.

베트남의 명절을 이야기할 때 여성의 날을 다섯 손가락 안에 꼽는 이들이 많을 정도로 여성의 날은 베트남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행사다. 사실 베트남의 공식적인 여성의 날은 10월 20일로, 1930년 10월 20일 베트남 여성 연합(호이 푸 느 판 데 비엣남:Hội Phụ nữ phản đế Việt Nam. 현재 호이 리엔 푸 느 비엣 남:Hội Liên hiệp Phụ nữ Việt Nam)이 설립된 것을 기념하며 지정된 날이지만 베트남에서는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 역시 여성을 위한 날로써 함께 기념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두 번의 여성의 날은 모두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이 날 만큼은 회사에서, 가정에서, 그리고 상점에서 모든 여성이 존중과 혜택을 받는다. 남편이 여성의 날을 그냥 지나치면 일 년 동안 괴로울 각오를 해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베트남 사람들에게 여성의 날은 반드시 챙겨야 하는 기념일로 통한다. 젊은 연인 사이에는 밸런타인데이나 크리스마스를 능가하는 기념일로 통용되는 탓에 시내 번화가에는 데이트를 즐기려는 연인들로 인해 교통 혼잡이 빚어지기도 한다.

조국 구한 쯩 자매 기념 위해

베트남에서 여성의 날을 이토록 중요하게 기념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선 2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필요가 있다. 베트남(당시 남월)이 중국(당시 후한)의 지배를 받던 서기 40년, 베트남 빈푹(Vĩnh Phúc) 출신의 쯩 자매(쯩짝:Trưng Trắc과 쯩니: Trưng Nhị)는 중국으로부터 조국의 독립을 쟁취하겠다는 목표로 군대를 조직해 전투에 나섰다. 그들의 용기와 전략 덕에 베트남은 마침내 중국으로부터 독립을 이룩해내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베트남은 다시 중국에 주권을 빼앗기게 된다. 낙담한 쯩 자매의 자살(후한의 정치가 마원에게 잡혀 처형당했다는 설도 있다)로 3년의 투쟁은 막을 내리게 되는데 그 뒤 900년 동안 베트남은 중국의 식민 지배를 받아야 했지만 쯩 자매가 보여준 용맹과 저항정신은 훗날 프랑스, 미국으로 이어진 침탈에서 베트남을 버티게 해주는 정신적인 힘이 됐다.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에는 쯩 자매를 뜻하는 하이바쯩(Hai Bà Trưng: 2명의 쯩 할머니-쯩 자매를 가리킨다.)군이 있고, 호찌민 최대 번화가 1군 시내에는 하이바쯩 거리와 쯩짝(쯩 자매 중 언니)의 남편에게서 이름을 따온 티삭(Thi Sách)거리가 나란히 있을 정도로 베트남 사람들에게 쯩 자매가 갖는 의미는 크고도 깊다.

쯩 자매 이외에도 베트남 전쟁에서 식량을 나르며 군인들을 지원한 여성들, 조국을 위해 게릴라전에 직접 뛰어들어 전투에 참여한 어린 여학생 등 베트남에는 유독 여성 영웅들의 이야기가 많다. 베트남 사람들은 여성의 날을 주요 행사로 기념하는 것이 쯩 자매를 비롯한 여성 영웅들의 헌신과 용맹에 대한 보답이라고 설명한다.

여성의 날이 다가오면 시내 곳곳에서 꽃다발을 판매하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송수산

여성 위한 이벤트 쏟아져

여성의 날에는 베트남의 모든 여성이 공주(꽁 쭈아:Công chúa)로 대접받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진다. 대부분의 상점에서 여성들은 할인이나 사은품 등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고 회사에서는 여성 직원들을 대상으로 특별 휴가나 이벤트를 마련하기도 한다. 한시적으로 여성들에게는 운임을 받지 않는 버스 노선도 등장한다. 신문에서는 어떻게 하면 사랑받는 남편이 될 수 있는지를 특집으로 다루기도 하고 그해에 인기 있는 선물 정보 글이 이곳저곳에 넘쳐난다.

베트남에서는 두 번의 여성의 날뿐만 아니라 밸런타인데이, 화이트데이 모두 남성이 여성에게 봉사하는 날로 알려져 있는데 사람들은 이것이 베트남의 여성 인권이 높은 증거라고 주장한다. 여성의 날 즈음에 등장하는 여성 영웅들에 대한 찬사와 부인과 연인, 여성 동료들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꽃다발과 선물을 안기는 남성들의 모습이 얼핏 이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두 번의 여성의 날, 즉 일 년에 단 이틀을 제외한 모든 날이 남성의 날이라고 꼬집는다. 고작 몇 차례에 불과한 기념일에 요란스레 여성을 우대하고 챙기는 것은 그만큼 여권이 낮은 것에 대한 반증이라는 분석도 있다. 아직까지 여성 운동이 활발하게 벌어지지 않는 베트남의 상황을 고려할 때 여성의 날에 주변의 여성을 챙기며 여성 우대라고 말하는 것은 여성 문제를 개인의 영역으로 인식하는 현실을 보여준다.

실제로 여성의 날이 다가오면 여성들의 진취성과 리더십을 응원하는 기사가 넘쳐나는 한편 가정폭력, 성차별, 여성에게 편중된 가사 노동 등에 관한 이야기들도 뉴스의 단골 이슈로 떠오른다. 자연 성비 105를 훌쩍 넘어 선 베트남의 성비(112.8)도 심각한 사회 문제로 거론되고 남성보다 미흡한 여성의 사회 진출 역시 자주 뉴스의 사회면을 장식한다. 서비스업, 데스크 업무 등에 한정된 여성의 업무를 가리켜 수직적인 한계를 뜻하는 유리 천장(glass ceiling) 대신 수평적 진입의 어려움을 의미하는 유리 장벽(glass wall)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공주’보다 ‘동료’로

한 달여가 지나면 베트남은 종전 43주년을 맞는다. 그동안 베트남은 빠르게 성장했고, 베트남의 빠른 전후 복구와 비약적인 발전에는 남성뿐 아니라 여성들의 고된 노력이 숨어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베트남의 많은 여성은 여성의 날에 꽃다발과 선물로 자신들의 노고를 위로하는 대신 과거의 관습에서 벗어난 시각으로 자신들을 바라봐줄 것을 원한다고 말한다.

여성 영웅을 기리며 여성의 날을 챙기는 베트남 남성들, 통계와 지표에서 보이는 남녀 간의 격차를 줄이려는 정부, 그리고 주체적이고 독립적으로 자신의 삶을 개척하려는 베트남 여성들의 노력이 겹친다면 공주로 대접받기보다 동료로 존중받고 싶은 그들의 염원이 곧 이뤄지지 않을까.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가인권위원회 강원인권사무소

3·8세계여성의날 (Happy Women’s Day)

강릉여성의 전화 민현정 대표

이름 없이 죽은 여성들을 기억하며 여성의 권리 신장을 외치다

세계여성의날은 세계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한 날이다. 1908년 3월 8일 미국의 여성 노동자들은 열악한 작업장에서 화재로 불타 숨진 여성들을 기리며 대대적인 시위를 벌인다. 그곳에 모인 1만 5천여 명의 여성 노동자들은 이렇게 외쳤다.

“우리에게 빵과 장미를 달라!”

빵은 남성과 비교해 저임금에 시달리던 여성들의 생존권을, 장미는 참정권을 뜻한다. 당시 미국의 여성 노동자들은 먼지가 가득한 최악의 현장에서 일해야 했으나, 선거권과 노동조합 결성의 자유 등 기본적인 권리도 부여받지 못했다. 1909년 2월 28일 첫 번째 ‘전국 여성의날’이 미국에서 선포되었고 이에 영감을 얻은 유럽에서는 1910년 8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국제 여성노동자회의에서 독일의 여성운동가 클라라 제트킨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주장하기 위한 ‘여성의날’을 제안했다. 이에 힘입어 1911년 3월 19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 스위스 등에서 참정권, 일할 권리, 차별 철폐 등을 외치는 첫 번째 ‘세계여성의날’ 행사가 개최되었다. 유럽에서 첫 행사가 개최된 이후 세계 각국에서 남녀 차별 철폐와 여성 지위 향상 등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확산된다.

유엔 세계여성의날을 선포하다

유엔은 1975년을 ‘세계 여성의 해’로 지정하고 3월 8일을 특정해 세계여성의날(International Women’s Day)로 기념하기 시작했다. 1977년 12월 유엔 총회(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에서 각 국가들이 매년 같은 날, 모든 나라에서 동시에 여성의 권리 신장을 주장하는 ‘여성의날’ 행사가 제안되었고, 그날을 여성의 권리와 세계 평화를 위한 유엔의 날로 준수할 것을 선포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UN총회는 이 결의를 통해 평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인정하고, 차별의 종식 및 여성의 완전하고 평등한 참여를 위한 지원을 증진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에서의 세계여성의날 – 소외된 여성들을 돌아보다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부터 나혜석, 박인덕 등이 세계여성의날을 기념해 왔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맥이 끊겼다가 1985년부터 공식적으로 기념하기 시작했고 제1회 한국여성대회가 개최되었다. 1985년부터 매년 3월 8일을 전후해 한국여성단체연합 주최로 ‘한국여성대회’를 개최, 기념식과 여성축제, 거리행진, 여성문화제 등의 행사를 한다. 또 여성노동자들의 현실과 당면요구에 대한 확인 결의 및 단결, 소외되어 있는 여성노동자들의 현실에 대한 대중적 공감대 형성, 여성고용·실업문제 해결 등 여성과 관련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2018년 2월 20일 여성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양성평등기본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2018년부터 3월 8일이 법정기념일인 ‘여성의날’로 공식 지정되었다. 민간중심으로 이뤄지던 ‘여성의날’ 이 2018년 법정기념일로 지정됨에 따라 정부가 주관하여 국제 및 시민사회와 함께 기념하게 된 것이다.

모두가 차별받지 않는 평등한 삶을 향해 나아가다

사)강릉여성의전화는 여성 인권 운동단체이다. 모든 사람이 차별받지 아니하고 평등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성평등을 지향하는 시민단체다. 3·8세계여성의날의 발화점이 되었던 여성노동자들의 기본적인 생존권과 참정권 실현을 위한 운동을 기리고자 매년 3월 8일에 강릉 시민들과 함께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관내 대학 또는 시내 중심가에서 1908년에 미국 여성노동자들의 외침을 기억하자는 상징적 의미로 빵과 장미꽃을 시민들에게 나눠 주며 그 의미를 되새긴다. 아직까지도 여전히 차별받고 있는 여성의 임금격차, 유리천장 문제 등은 숙제로 남아 있으며 페미니즘이냐 아니냐는 이분법적 시선들은 안타까울 뿐이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행사로 시민들과 대면하지는 못했지만 현수막 게시로 그날의 의미 되짚어 보았다. 2022년 올해로 38번째 맞는 3·8세계여성의날을 축하하며 지금도 어디선가 차별 받고 있는 모든 분들께 사)강릉여성의전화가 늘 함께한다는 응원과 함께 지지를 보낸다.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며

지난해 113주년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해 영국 랭카셔주 블랙번 의과대학에서 기념사진을 찍기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는 여성 의료진들. 로이터 연합뉴스

[세상읽기]

자라면서, 누군가와 결혼하고 아이를 낳아 키우는 모습을 막연하게라도 상상한 적이 없다. 내가 그리는 미래는 언제나 일하며 혼자 사는 모습이었다. 처음 깨달았을 때엔 당황했다. 다음엔 궁금했다. 왜일까. 생각해보니 그 원인은 공포였다. ‘엄마처럼 살고 싶지 않다’는 슬픈 공포. 이렇게 말하면 어머니가 꽤 고통스럽거나 불행한 삶을 사신 것처럼 보이겠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중산층 가정의 일원으로서 살림과 일을 병행한 ‘슈퍼워킹맘’이다. 인생의 모진 풍파 없이 건강한 부부·가족·친구 관계를 유지하며 성실하고 명랑하게 사신다. 그럼에도 나는 엄마처럼 살고 싶지 않았다.

‘엄마처럼’은 무엇을 의미할까. 가정을 꾸리고 자녀를 키우며 부모로서 책임을 다하는 삶이 어머니의 것만은 아니다. 아버지도 그렇게 한평생을 사셨다. 성실함과 책임에 대한 공포라면 그 공포는 부모의 삶 모두를 향해야 했다. 그러나 내 공포의 타깃은 언제나 ‘엄마’였다.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 아버지와 똑같이 일하면서도 살림을 대부분 도맡아 하는 삶, 가족의 중요한 경제적 결정에 주도권을 갖지 못하는 삶, 관심사가 공적 영역으로 확대되지 않고 사적 영역으로 수렴하는 삶, 사회적 자아실현이 삭제된 삶이다. 20대까지의 내게 ‘엄마의 삶’은 아버지의 것보다 좁고 사소하고 하찮아 보였다.

지금은 안다. 당시의 내 느낌이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는 것을. 어머니의 삶은 좁고 사소하고 하찮지 않았다. 성의를 다해 전문성을 갖고 일하셨다. 관장하셨던 살림은 경제적 결정만큼이나 중요했다. 정치나 시사를 꿰지 않아도 세상 돌아가는 이치는 지혜롭게 파악하셨다. 사회관계도 넓고 단단했다. 나는 소위 세상의 눈으로 온갖 것들을 폄훼했을 뿐이다. 특수고용직의 노동 가치를 폄훼하고 살림과 돌봄의 가치를 폄훼하고 일상의 가치를 폄훼했다. 어머니의 삶은 한편으론 불평등했다. 결혼 후 전업주부가 되어 경력단절을 경험했고 경력단절 후 재취업의 선택지는 한정적이었으며 그마저도 살림과 병행할 수 있는 형태의 일자리여야 했다. 물론 어머니의 삶 마디마디 모두 누군가의 강요가 아닌 당신 스스로의 선택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지만, 선택지 자체가 평등하게 주어졌던가 생각해보면 그렇다고 답할 수 없다. 성역할에 대한 견고한 고정관념은 어머니의 삶 앞에 적은 선택지 몇개만을 놓아두었다.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가부장적 가치관은 여성의 삶을 살림과 돌봄과 비정규적·비정형적인 노동으로 좁혔고, 사회는 살림과 돌봄과 비정규적·비정형적 노동의 가치를 사소하고 하찮고 저렴한 것으로 폄훼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여성의 사회적 가치가 저평가되었다. 어린 나는 그러한 차별을 공포스럽게 느낀 것인데, 그러면서 동시에 어머니의 삶을 폄훼하여 차별을 완성하고 있었다.

20년이 흐른 지금, 차별 구조는 해소되었을까. 우리나라는 2018년 여성차별철폐협약(1984년 대한민국 가입)에 따른 심의를 받았는데, 위원회는 젠더 기반 폭력 이외에도 교육·가족·노동·건강·재생산 분야 등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여성에 대한 구조적 성차별 사안들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예를 들어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고 있으나 가사·육아 부담은 여전히 여성에게 집중되어 있고, 이는 여성의 취업 및 업무 수행, 승진의 각 단계에서 장애로 작용한다. 코로나 팬데믹은 여성과 돌봄에 관한 차별 구조를 더욱 선명히 드러내었다. 고립으로 인해 가사·육아를 포함한 각종 돌봄 노동의 부담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된 부담은 주로 여성들이 감내해야 했다. 감내한 만큼 여성들의 일자리는 사라지거나 열악해졌다. 전업주부의 돌봄이 노동으로 인식되거나 돌봄 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이 개선되진 않았다.

3월8일은 유엔이 지정한 세계 여성의 날이다. 이날을 기념하는 한국여성대회의 주제는 ‘돌봄·연대·정의―모두의 내일을 위해 오늘 페미니즘’이다. 과거와 달리 돌봄 노동의 가치를 재평가하는 동시에 돌봄을 여성 개인의 몫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과제로 인식하려는 흐름이 보인다. 엄마처럼 살지 않겠다고 다짐했던 내가 지금은 세 아이의 엄마다. 여전히 구조적 성차별은 공기처럼 존재한다. 어릴 때처럼 두렵진 않다. 차별을 인식하고 철폐하기 위한 연대와 노력의 역사, 차별 구조에 균열을 낸 역사를 이젠 알기 때문이다. 변화는 올 것이니 함께 걸어가기만 하면 된다.

[오늘은] 빵과 장미, ‘세계 여성의 날’

(서울=연합뉴스) “우리에게 빵과 장미를 달라.”

1908년 3월 8일 미국 여성노동자 1만5천여명이 뉴욕 루트커스 광장에 모여 열악한 작업장에서 화재로 숨진 여성들을 기리며 참정권과 노동조합 결성 자유를 쟁취하고자 대대적인 시위를 벌이며 이같이 요구했습니다.

여기서 ‘빵’은 남성과 비교해 낮은 임금에 시달리던 여성들의 생존권, ‘장미’는 참정권을 각각 뜻하는 것이었습니다.

광고

당시 미국의 여성 노동자들은 먼지가 가득한 최악의 현장에서 하루 12~14시간씩 일해야 했으나, 참정권과 노조 결성 자유 등 기본적인 권리도 부여받지 못했습니다.

이 시위는 ‘세계여성의 날’의 시발점이 됐습니다.

뉴욕 시위로 형성된 고무적 분위기 속에서 미국 사회당은 이듬해인 1909년 2월의 마지막 일요일인 2월 28일을 ‘전국 여성의 날’로 선포했습니다.

1910년 8월에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여성노동자회의에서는 독일 여성운동가 클라라 제트킨 등의 발의로 2월 28일을 ‘세계 여성의 날’로 기념하자는 결의가 처음으로 채택됐습니다.

1911년 3월 19일 독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스위스 등에서 참정권, 일할 권리, 차별 철폐 등을 외치는 첫번째 ‘세계 여성의 날’ 행사가 열렸습니다.

세계 여성의 날이 지금의 3월 8일로 굳어진 건 러시아 여성들의 대규모 파업이 발단이었습니다.

러시아 여성 노동자들의 시위가 시작된 날을 양력으로 계산한 것이 1917년 3월 8일이었던 것입니다. 1921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회 코민테른 여성회의에서는 여성의 날 날짜를 3월 8일로 통일해 함께 기념할 것을 결의했습니다. 이어 1922년부터는 3월 8일이란 날짜에 맞춰 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관행이 국제적으로 정착되기 시작했습니다.

‘세계 여성의 날’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것은 러시아 여성 노동자들의 시위로부터 60년 뒤였습니다.

여성운동 물결이 서구 전역으로 확산하자 유엔은 1975년을 ‘세계 여성의 해’로 지정하고, 1977년에 매년 3월 8일을 ‘세계 여성의 날’로 기념하기로 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3월 8일 여성의 날이 되면 빵과 장미를 나눠주는 행사가 실시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 우리나라 최초 여성인권운동가인 나혜석과 박인덕 등이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해 왔으나, 일제 탄압으로 맥이 끊겼습니다.

그러다가 1985년 서울 명동에서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제1회 한국여성대회가 개최됐습니다.

이후 2018년 2월 20일 여성의 날을 법정기념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양성평등기본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하면서 3월 8일이 법정기념일인 ‘여성의 날’로 공식 지정됐습니다.

유창엽 기자 김지효 크리에이터

[email protected]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10가지 방법 ‹ GO Blog

본래 여성들이 항쟁하고, 후원한 국제 여성의 날은 여성의 경제적, 정치적 그리고 사회적 진보를 기념하고 성평등을 이루기 위해, 여전히 필요한 절차들을 조명하기 위한 국제적인 날입니다.

전세계 여성들이 종종 정의와 존엄을 상징하기 위해 보라색, 또는 희망을 위해 녹색의 의상을 입으며, 변화를 위한 계획들을 수립하고 의논하면서 매년 그 규모가 성장해온 국제 여성의 날은 매년 3월 8일에 개최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날은 어떻게 시작된 것일까요?

국제 여성의 날의 시작

1909년 2월, 급여 인상, 근무시간 단축, 노동 환경의 개선과 참정권을 위한 뉴욕 시 섬유 노동자들의 대규모 파업에 응하여 ‘여성의 날’이라는 형식으로 국제 여성의 날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미국에서 국경일의 형태로 시작되었으나, 이 계획은 빠르게 국제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1910년 덴마크에서 열린 근로 여성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에서 독일 사회 학자 클라라 젯킨은 여성들의 목소리가 경청이 될 수 있도록 특정 일자의 영구적인 지정을 제안한 뒤, 유럽 국가에서 최초로 채택되었습니다. 제 1차 세계 대전 중에 3월 8일로 지정되었기는 하였으나, 1911년에 첫 국제 여성의 날이 기념되었습니다. 1975년 UN이 공식화하고 기념한 이래, 매년 UN에서는 특정 이슈나 주의를 요구하기 위해 테마를 정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에서 국제 여성의 날이 기념되는 방식

국제 여성의 날은 여러 국가에서 국경일이며 많은 국가에서 기념되고 있습니다. 나라에 따라, 선물 주고 받기에서 정치적인 집회나 시위에 이르기까지 그 형태가 다양합니다.

이탈리아

3월 8일에 전통적으로 여성들에게 이탈리아에서 지정한 국제 여성의 날의 상징인 작고 노란 미모사 꽃다발이 주어집니다. 또한 여성의 힘을 상징하기 위해, 여성의 결속의 표식으로 미모사로 만든 끈을 전달하기도 합니다. (미식으로 유명한 국가인 만큼, 꽃을 닮은 생생한 노란색을 띄는 케이크나 파스타를 볼 수도 있습니다.)

루마니아

루마니아에서는 국제 여성의 날을 어머니의 날과 비슷한 방식으로 기념하는데 이는 사람들에게, 특히 남성들에게 이유를 제공하면서 그들의 어머니, 할머니, 아이들과 함께 있는 친구들에게 카드와 꽃을 줌으로써 인식시키기 위함입니다.

미국

미국에서 3월은 여성의 달로써 알려져 있지만, 국제 여성의 날이 공휴일은 아닙니다. 이는 과거와 현대의 역사를 통틀어 여성의 성과(업적)에 주의를 환기시키는 기간입니다. 3월 8일 당일에, 수도는 대화와 그 주제에 대한 사고 리더십을 한 데로 모으는 집회와 회의, 그리고 비즈니스 행사를 개최합니다.

러시아

1918년 이후로 러시아에서 국제 여성의 날은 공식적인 국경일이지만, 그것의 본래의 의미는 대체로 정치적 뿌리를 잊고, 대신 선물을 통해 일반적인 용어로 여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중국에서는 3월 6일 소녀의날(여생절)이 있는 반면, 국제 여성의 날은 1949년부터 인정해왔습니다. 3월 8일에 고용주들은 의무는 아니지만, 그들의 여성 직원들에게 반나절의 휴가를 주는 것이 권장됩니다. 하지만 그날은 남성들이 여성의 삶을 위한 선물을 구매하도록 권장되는 상업적인 측면도 강하게 뿌리내리고 있습니다.

호주

호주인들은 수십 년 동안 국제 여성의 달을 기념해 왔지만, 1970년대 초부터는 특히 행진이 널리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기념일 당일에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토론회와 조식이 진행되며, 더 많은 대의권, 평등 그리고 다양성을 세상에 요구하기 위하여 연설을 하는 각 분야의 저명한 여성들이 행사에 참여합니다.

스페인

2018년에 스페인에서 일어난 총파업은 24시간 만에 5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작업을 중단하는 등의 대 성공을 거둔 후, 시민들은 거리로 계속해서 시위에 나서고 있습니다. 대규모 파업이 미래 국제 여성의 날에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스페인 사람들은 여성과 소녀의 권리에 점점 더 초점을 맞추기 위해 그들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영국

국제 여성의 날을 포함해서, 3일 동안 런던에서 개최하는 세계 여성의 축제(WOW Women of the World Festival)에는 연사, 운동가, 그리고 공연가들이 전세계 여성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 참여합니다. 영국에서 설립된 WOW는 현재 전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도 자매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으며, 서로 하나의 이름 하에 얽힌 토론, 회담, 그리고 전시회를 열고 있습니다.

칠레

여성의 날은 특히 수도 산티아고를 포함한 몇몇 도시를 통과하는 행진들로 기념되며, 시위자들은 그들의 성적 권리와 생식권을 지지를 상징하기 위해 녹색의 손수건을 두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노래, 북소리, 심지어 정교한 의상들도 또한 특징입니다.

아르헨티나

1900년대 이후, 아르헨티나인들은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삶에 선물을 줌으로써 국제 여성의 날을 기념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시민들은 폭력, 잔존하는 임금 격차, 예술에서의 동등한 대의권, 그리고 다른 사회 변화를 주장하기 위해 점차 시위에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여성 의 날

다음은 Bing에서 여성 의 날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Infinite Challenge, What Women Want #02, 여성의 날 20090307

  • 무한도전 소시
  • 20090307
  • Entertainment
  • 박명수
  • Jae-seok
  • เกิร์ล เจเนอเรชั่น
  • 소녀시대
  • 소시
  • 무한도전
  • SNSD
  • 하하
  • Gil
  • ep144
  • Ha Ha
  • Jeong Hyeong-don
  • โซนยอชิแด
  • 정형돈
  • 少女時代
  • 정준하
  • 무도 소녀시대
  • 노홍철
  • Jeong Jun-ha
  • Yoo
  • MBC
  • 유재석
  • Noh Hong-cheol
  • 144회
  • Myeong-su
  • Girl's Generation
  • Variety
  • 무한도전 소녀시대
  • 시즌2
  • Park
  • Infinite Challenge

Infinite #Challenge, #What #Women #Want ##02, #여성의 #날 #20090307


YouTube에서 여성 의 날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Infinite Challenge, What Women Want #02, 여성의 날 20090307 | 여성 의 날,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아프리카 Tv 접속 | 온라인 교육 - 아프리카Tv 접속방법 7181 좋은 평가 이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