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스토리 보드 | 영상 제작 전, 스토리보드 꼭 필요할까요? (심지어 Vlog 여행영상에도?!) 상위 46개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영상 스토리 보드 – 영상 제작 전, 스토리보드 꼭 필요할까요? (심지어 VLOG 여행영상에도?!)“?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aodaithanhma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aodaithanhma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비됴클래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58,125회 및 좋아요 2,78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영상 스토리 보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영상 제작 전, 스토리보드 꼭 필요할까요? (심지어 VLOG 여행영상에도?!) – 영상 스토리 보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많은 분께서 여쭤보셨던 스토리보드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자극적인 썸네일ㅋㅋㅋㅋㅋ)
스토리보드는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왜 필요할까?’ 생각해보시면 쉽게 답이 나옵니다ㅎㅎ
개개인 마다 촬영 스타일이 다르고, 다루는 장르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스토리보드는 특정한 형식이 있을 수 없고 여러 번 촬영을 경험해보면서 자신만의 스토리보드 형식을 만드는게 답이라고 생각해요.
0:00 인트로
0:52 콘티, 스토리보드에 대해
1:34 스토리보드, 꼭 필요한가?
3:42 여행 영상에도 스토리보드가 필요할까?
6:27 스토리보드는 어떻게 만들까?
8:00 하줜이 만든 스토리보드 소개
영상 제작에 관한 팁이 매주 토요일과 수요일에 쏟아지는 비’토’클래’수’
구독해주세요!
twitter _ https://twitter.com/jwvidclass
facebook _ https://www.facebook.com/jwvid/
instagram _ https://www.instagram.com/jwvid/
영상제작자 1만명 이상이 모인 커뮤니티 페이스북 그룹 : 비하인드 더 씬 _ https://www.facebook.com/groups/BTS.VC/
*비됴클래스는 애프터이펙트CC 프리미어 프로CC 등 당시 최신 버전을 기준으로 튜토리얼을 진행합니다.
• 애프터이펙트 출력하기(동영상파일로 만들기) https://www.youtube.com/watch?v=jx0IKYw7Zjg
• 프리미어 프로 출력하기(동영상파일로 만들기) https://www.youtube.com/watch?v=BwCUL_QIRfk
😀비됴클래스 채널에서는 여러분들의 소중한 자막(한글 자막)이 필요합니다. 자막 안에 자막을 제공하신 분의 이름이나 닉네임을 적어주셔도 됩니다.
↪︎자막 참여하러 가기💜 http://www.youtube.com/timedtext_cs_panel?tab=2\u0026c=UCJCqV1PsakBbjD0DI6KJIgQ
• 광고 및 비즈니스 문의 [email protected]
이 영상의 저작권은 JWVID(제이더블유비드)에게 있습니다.
Copyrightⓒ2015 JWVID All rights reserved.

영상 스토리 보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기획] 완성도 높은 영상 제작을 위한 스토리보드 & 스토리보드 …

바로 ​”스토리보드(storyboard)기획” 인데요. ​ 영상 제작을 의뢰하시는 많은 분들에게 있어 촬영 & 편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의 “기획” 과정은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studiobejewel.com

Date Published: 10/18/2021

View: 3151

스토리보드 및 콘티 양식 (한글 파일 HWP, PDF)

영화나 영상을 혼자가 아닌 단체로, 제대로 만들게 되면 샷 사이즈나 카메라 무빙 등을 신경 쓰며 찍어야 한다. 보통은 그 과정에서 시나리오가 …

+ 더 읽기

Source: blog.sangbin.kim

Date Published: 11/27/2022

View: 316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영상 스토리 보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영상 제작 전, 스토리보드 꼭 필요할까요? (심지어 VLOG 여행영상에도?!).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영상 제작 전, 스토리보드 꼭 필요할까요? (심지어 VLOG 여행영상에도?!)
영상 제작 전, 스토리보드 꼭 필요할까요? (심지어 VLOG 여행영상에도?!)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영상 스토리 보드

  • Author: 비됴클래스
  • Views: 조회수 158,125회
  • Likes: 좋아요 2,781개
  • Date Published: 2018. 8. 1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EfGhDakhPxY

[기획] 완성도 높은 영상 제작을 위한 스토리보드 & 스토리보드 양식

안녕하세요.

스튜디오 비쥬얼입니다 🙂

영상 제작을 주 업무로 하는 저희에게

본격적인 제작에 앞서

중요하게 다루는 한 가지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좋은 장비

정품의 프로그램 사용

쾌적한 촬영 스튜디오 등등

사실 한 가지로 추리기에는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들이 상당히 많지만

그 중에서도!

절대 빼 놓을 수 없는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스토리보드(storyboard)기획” 인데요.

영상 제작을 의뢰하시는 많은 분들에게 있어

촬영 & 편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의

“기획” 과정은 당연히 중요한 부분이겠죠.

그래서 이번에는 기획 과정과 관련해

스튜디오비쥬얼은 어떻게 스토리보드 를

구성하고 있는지 간단하게 알려드리려 합니다!

영상 제작의 설계도, 《스토리보드》

​ 가장 먼저 ! “스토리보드”​ 라는 것이 무엇일까요??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광고 따위를 제작할 때, 이야기의 내용을 보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주요 장면을 앞으로 완성해야 할 영상에 가장 가깝게 그림이나 사진 따위로 정리한 장면 연출 판.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사전적 정의로는 위와 같이 설명되어 있는데, 만화, 웹툰 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콘티’와 유사한 단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영화나 드라마 업계는 콘티보다는 스토리보드란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고 하네요~~ ​ 어찌되었든! 한 마디로 말하자면 영상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설계도”라고나 할까요? ​ 영상 제작에 앞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그 개요를 구체적이고도 간결하게! 한 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출처 : 유튜브, MARBLing

위의 영상은 ‘헤라(HERA)’ 광고 제작에 앞서

짜여진 콘티, 즉 스토리보드와

그것을 기반으로 실제 만들어진

광고 영상 입니다.

이처럼 스토리보드는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꼭 필요한

참고서이자 지침서로

기능하게 됩니다.

위의 사진은 실제 저희가

촬영과 편집에 사용했던 스토리보드인데요.

상세히 작성한 스토리보드를 토대로

촬영 시

카메라 위치나 각도, 조명, 음향 등을 조작합니다.

또 편집 시에도

스토리보드를 따라 효과음을 집어 넣는 등

각종 편집 효과를 주어

구체적인 장면을 연출합니다.

첨부한 스토리보드의 아래 쪽을 보시면

출연진들이 읽는

스크립트(대본) 또한 반영되어 있죠~?

자료 화면이나 인포그래픽스를 삽입할지 말지,

어떤 자막 스타일이 좋을지 등

부연설명을 세세히 기입해 줄 수도 있습니다.

스토리보드는 한 마디로

영상 제작의 전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준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이런 기획서를 토대로

영상을 만들면

당연히 업무 효율은 늘고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상상했던 방향대로 완성본을 도출해 낼 수 있으니

일석이조겠죠~??

앞서 보여 드렸던 스토리보드를 바탕으로 실제 촬영을 진행한 모습입니다!

이런 식으로 스토리보드를 출력해서

촬영 내내 참고하며

무사히 촬영을 마쳤답니다~

확실히 짜여진 루트대로만 따라가면 되니까

업무 효율이 엄청 높았던 것 같아요 ㅎㅎ

별다른 사고 없이, 실수 없이 완료!

위의 폼들은

저희가 실제 사용하는 스토리보드 양식으로

이번에 새로 리뉴얼 되었습니다.

영문 버전도 있으며

상황에 따라 4개 중에서 선택해 사용합니다.

출처 : 유튜브, Seoul Archive 서울 아카이브

혹시 영화 ‘기생충’ 보셨나요??

뛰어난 천재성으로 세계를 사로잡은

봉준호 감독의 작품이죠!

그 대단한 봉준호 감독도

영화를 제작하기 전

스토리보드를 굉장히 치밀하게 쓰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스토리보드 내용과 실제 상영된 영화의 내용을

비교해 보았을 때

거의 다른 점이 없을 만큼 스토리보드 내용 그대로

영화를 제작한다고 하네요~

이처럼

영상을 제작하는 데 있어

스토리보드를 탄탄하게 짜는 것과 같은

기획 단계에서의 디테일은

영상의 완성도를 한층 더 높여주는

매우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저희는 스토리보드 제작에

언제나 중점을 두고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것이랍니다~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의 노력도

결국에는

만족스러운 결과물이라는 보상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저희는 앞으로도 기획 작업을

소홀히 하지 않을 예정입니당 😀

스토리보드 작성법: 11 단계 (이미지 포함)

영상을 기획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다른 사람들도 무엇을 만들려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영상의 진행 과정을 그림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정리된 그림들을 스토리보드라고 한다. 다시 말해, 스토리보드란 영상 속 중요한 장면들과 관련된 배경, 인물, 그들의 행동을 차례대로 그림으로 묘사한 것으로, 영화, 뮤직 비디오, TV 방송 등을 기획할 때 자주 활용된다. 스토리보드는 손으로 그려도 되고, 컴퓨터로 그려도 된다. 스토리보드에 어떤 장면을 포함시키고 어떻게 묘사해야 하는지, 그리고 스토리보드를 어떻게 교정해야 하는지 알고 싶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 보자.

스토리보드 및 콘티 양식 (한글 파일 HWP, PDF)

영화나 영상을 혼자가 아닌 단체로, 제대로 만들게 되면 샷 사이즈나 카메라 무빙 등을 신경 쓰며 찍어야 한다. 보통은 그 과정에서 시나리오가 나오면 줄콘티를 만들고, 이후 제대로 된 콘티를 만들어 스토리보드를 작성한다.

그런 콘티와 스토리보드 제작을 위해 양식이 있나 찾아보며 구글과 네이버에서 검색을 해 봤는데, 한글 HWP 파일로 된 양식 중 공개되어 있는 파일들은 내 기준에서는 너무나 투박했다. 그래서 개인 사용 및 보존 용도로 블로그에 내가 사용하려고 만든 버젼을 올려 두려고 한다.

내 아이맥에서 파일을 만들었기에 PDF에는 기본 폰트인 산돌고딕을 사용했고, HWP 버젼에는 나눔고딕 ExtraBold를 사용했다. 열렸는데 폰트 문제로 깨진다면 이 쪽을 확인하시길.

A4 스토리보드 양식

A4 스토리보드 양식 (나눔고딕 버젼).hwp 0.03MB A4 스토리보드 양식.pdf 0.01MB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토리보드(영어: storyboard) 또는 콘티란 영화나 텔레비전 광고 또는 애니메이션같은 영상물을 제작하기 위해 작성하는 일종의 문서이다. 특히 이러한 스토리보드중에서 콘티(continuity)는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의 촬영을 위하여 각본을 바탕으로 필요한 모든 사항을 매 장면(scene)마다 기록한 주요문서이다. 장면의 번호, 화면의 크기, 촬영 각도와 위치에서부터 의상, 소품, 대사, 액션 따위까지 적혀 있다.[1]

영상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이야기나 구성요소, 촬영정보, 동선 등의 제작시 필요한 정보들이 미리 약속된 기호들에 의해 중요한 장면별로 간단히 스케치를 하여 스토리보드를 만든다. 따라서 스토리보드에는 영상촬영 및 편집시에 필요한 전체적인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 점검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며, 촬영및 편집을 하는 데에도 일종의 가이드 라인이 되어 좀 더 효율적으로 일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흔히들 기획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 스토리보드라 생각하지만 기획과 스토리보드는 다른 개념이다. 영상물을 제작할 때 제작자의 머릿속에는 아이디어와 컨셉들이 떠오를 것이다. 이런 것들을 제작자의 생각, 아이디어 스케치, 메모 등을 통해 영상물에 대한 기획을 세운다. 그 다음에는 전체적인 시나리오를 작성하게 된다. 기존의 생각, 아이디어, 컨셉등을 좀 더 발전시켜 한 장면 한 장면 세밀하게 세부묘사를 하게 되는데 이 세부묘사를 한 것이 스토리보드다.

역사 [ 편집 ]

스토리보드는 기본적으로 그림을 통해서 전반적인 이야기를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스토리보드의 역사가 시작된 고대 이집트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이집트의 ‘사자의 서’에서 사용된 상형문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형문자는 그림과 문자를 동시에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을 설명한다. 이러한 상형문자의 특성은 이집트가 인류최초로 스토리보드를 사용하였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1990년대 초에 월드디즈니의 애니메이터 웹 스미스는 처음으로 스토리보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용어를 보기좋게 정리해둔 아이디어스케치에 불과했다. 1927년 디즈니의 작품 행운의 토끼 오스월드(Oswald the Lucky Rabbit) 시리즈에서는 중요한 액션과 장면전환들을 스케치하였다. 그 후 얼마되지 않아 애니메이터들과 스토리담당자들이 전체 스토리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빈 벽면 위에 수십 개의 장면스케치를 전시하도록 하였는데 여기에서 스토리보드라는 단어가 생겨나고 지금의 체계가 확립되었다.

이 후 스토리보드는 큰 발전이나 변형을 거치지도 않은상태로 현재까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들어 컴퓨터,인터넷등의 발전으로 인한 첨단화가 진행되며 IT분야에서도 기존과 다소 다른형태의 스토리보드를 이용하여 CD/DVD-ROM이나 웹사이트의 제작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아직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향후 미래에 IT분야에서의 스토리보드 활용도가 매우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용어 [ 편집 ]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거리에 따라 원사와 접사 사이의 장면.

Long shot : 인물외에 배경이 충분히 보일정도 먼 거리의 샷

Extreme long shot : Long shot보다 훨씬 더 먼 거리의 샷

Full shot : 인물의 머리부터 발끝까지가 화면에 모두 들어올 정도 거리의 샷

Up shot : 인물에 가까이 접근한 샷(Up shot은 화면하단이 인물에 걸쳐지는 부위에 따라 또다시 나뉜다) 무릎-Knee shot 허리-Waist shot 가슴-Bust shot 어깨-Shoulder shot

Close up shot : 인물의 어느 특정부위를 강조하기 위해 매우 접근한 거리의 샷.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하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장면의 구도를 말함-

Eye level : 카메라가 인물의 눈높이에서 촬영하는 앵글.

High angle : 카메라가 인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인물을 내려다보는 앵글.

Bird’s-eye view shot : 하이 앵글 샷의 극도한 방법에서 사용한 예.

Dutch angle(Oblique shot) : 기울어진 샷, 수평적인 라인의 세상을 대각선으로 제시한다.

Low angle : 카메라가 인물보다 낮은 위치에서 인물을 올려다보는 앵글.

Pan left/right : 카메라에서의 좌우 움직임.

Tilt up/down : 카메라의 상하 움직임.

Zoom in/out : 카메라의 줌렌즈를 이용한 확대 또는 축소.

Follow : 카메라가 인물을 뒤쫓아 가며 촬영

Track up/back : 피사체를 향하여 카메라가 전진/후진하는 것

장면 전환 [ 편집 ]

장면이 다음장면으로 넘어갈때의 특별하게 쓰인 편집기술.

Dissolve : 장면1이 장면2로 넘어갈때 장면1은 점점 화면에서 사라지고 동시에 장면2가 서서히 나타나는 장면전환.

Fade in/out : 화면이 점차 어두워지며 검은화면이 되거나 검은화면에서 화면이 점점 밝아지며 다음장면이 나타나는 장면전환.

Over exposure : 화면이 밝아져 하얗게 되거나 흰 화면으로부터 점차 다음장면이 나타나는 장면 전환. 주로 회상 장면에 많이 사용되며, 과거회상은 Flash back, 미래로의 시간이동은 Flash forward라고 쓰인다.

Double exposure : 하나의 화면에 다른 화면이 겹쳐서 이루어져서, 이중 노출법에 의한 합성법

Over lap : 한화면이 없어지기 전에 다음 화면이 천천히 나타나는 이중 화면 접속법

Wipe : 경계선이 화면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됨.

포커스 [ 편집 ]

Deep focus : 프레임 안의 모든 요소가 포커스 맞추어져 있음. 영상에 있어서 사실적인 접근 방식으로 인식된다.

Shallow focus : 프레임 안의 한 이미지가 포커스 되어 있고 다른 영역의 이미지는 아웃된 포커스로 되어 있음.

물체를 공간에서 고립시킴 관객의 주의 집중시킴 비현실적인 이미지와 상대적으로 상실된 공간감 형성.

Shifting focus : 움직이는 물체를 포커스 상태로 유지 시키기 위해 포커스를 이동시킴.

한 씬에서 다음 씬으로 가기위한 장면전환의 방법 한 샷에서 각기 다른 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혹은 강조하는 것을 변환시키기 위해 이용됨.

렌즈 [ 편집 ]

표준렌즈(Normal lens 혹은 Standard lens) : 기본적으로 원근에 있어서 정상적인 재현을 함.

망원렌즈(Telephoto lens혹은 long-focus lens)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가 길고 사각(寫角)이 약 30°보다 좁은 렌즈를 말한다. 원근 감을 없애 물체들을 서로 가깝게 보이도록함, 표면을 입체감이 없고 평평하게 함.

광각렌즈(Wide angle 혹은 Short lens) :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 때문에 가장자리의 수평선과 수직의 왜곡이 나타남. 프레임안의 물체들사이의 거리감 확대. 입체감 지나치게 강조.

줌렌즈(Zoom lens) : 초점이나 조리개값이 변하지 않은 채로 초점거리를 연속해서 바꿀 수 있는 렌즈이다. 카메라가 직접 움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물체가 급작스럽게 다가오는 느낌을 받음으로서 다소 인위적이고 수동적인 느낌을 받게됨.

기타 [ 편집 ]

S#(scene number) : 장면번호

Narration : 나레이션, 해설, 화면 밖의 효과를 설명함

Double exposure : 하나의 화면에 다른 화면이 겹쳐서 이루어져서, 이중 노출법에 의한 합성법

Insert : 신문 잡지 따위를 화면에 삽입하는 것

Close up : 대사, 즉 일부분을 크게 찍는 것

스토리보드 소프트웨어 [ 편집 ]

관련 직업 [ 편집 ]

스토리보드 아티스트(storyboard artist): 스토리보드 제작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사람을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라 한다.

참고 문헌 [ 편집 ]

디지털 영상 세대를 위한 스토리보드의 이해(2006) / 박연웅 / 동양문고

Film Directing Shot by Shot (1991) / Katz, Steven D. / Ingram Pub Services

스토리보드 제작기법 (2004) / 류수환 / 정글프레스

각주 [ 편집 ]

↑ 무리말샘 콘티 등

키워드에 대한 정보 영상 스토리 보드

다음은 Bing에서 영상 스토리 보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영상 제작 전, 스토리보드 꼭 필요할까요? (심지어 VLOG 여행영상에도?!)

  • 하줜
  • 비됴클래스
  • 영상편집
  • 동영상편집
  • 영상제작
  • 유튜버
  • 유튜브제작
  • 프리미어프로
  • 프리미어
  • 애펙
  • 에펙
  • 애팩
  • 다빈치리졸브
  • 브이로그편집
  • 루마퓨전

영상 #제작 #전, #스토리보드 #꼭 #필요할까요? #(심지어 #VLOG #여행영상에도?!)


YouTube에서 영상 스토리 보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제작 전, 스토리보드 꼭 필요할까요? (심지어 VLOG 여행영상에도?!) | 영상 스토리 보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이상 지질 혈증 이란 | 치료 받아야 하는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이란? 모든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