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기반 서비스 | 위치기반? 그게뭔데!? 5959 투표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위치 기반 서비스 – 위치기반? 그게뭔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aodaithanhma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aodaithanhma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DaumFoundation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986회 및 좋아요 48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변경되는 위치에 따르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콘텐츠 서비스들을 가리킨다. LoCation Services(LCS)로 지칭되기도 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위치기반? 그게뭔데!? – 위치 기반 서비스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스마트폰에서 지도 검색해보신 적 있습니까? 대부분의 지도 서비스는 내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내 위치를 인식하는 서비스가 바로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 입니다. 데스크탑PC와는 달리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이동중에 앱을 활용할 때가 많은데, 사용자가 주소를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GPS나 이통사의 위치 인식 기술로 내 위치가 적용된 개인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위치 기반 서비스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위치기반서비스란 무엇인가?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

위치기반서비스사업을 하려는 자는 상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 사업의 종류, 위치정보시스템을 포함한 사업용 주요 설비 등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

+ 더 읽기

Source: www.catchsecu.com

Date Published: 6/22/2022

View: 1155

위치정보지원센터

21세기 위치기반 서비스 산업의 새로운미래 위치정보지원센터가 함께 합니다! ; [방송통신위원회] 2022년도 제3차 개인위치정보사업 등록신청 접수, 2022-10-13 ; [방송통신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lbsc.kr

Date Published: 6/17/2022

View: 4525

위치정보서비스 및 위치기반서비스 이용약관

Google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Wi-Fi 무선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고, 가입하신 이동통신사의 무선인터넷(3G 또는 Wibro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무선 데이터 …

+ 여기를 클릭

Source: policies.google.com

Date Published: 3/6/2022

View: 8510

내 위치도 정보가 된다? 위치기반서비스 – Naver – 네이버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란 “위치정보”의 수집·이용·제공과 관련된 모든 유형의 서비스를 지칭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위치정보”는 …

+ 여기에 보기

Source: m.post.naver.com

Date Published: 2/7/2021

View: 2301

위치기반 서비스

합기술로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술과 국내외 서비스 현황, 관련 기술에 대한 국내외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LBS 표준화. 포럼을 통하여 진행되고 있는 국내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oreascience.or.kr

Date Published: 9/4/2021

View: 9784

2022 대한민국 위치기반 서비스 공모전

법,제도,기술,경영 등 LBS에 특화된 국내 중소,영세 LBS 사업자 맞춤형 컨설팅.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orealbs.or.kr

Date Published: 4/17/2021

View: 8053

방송통신위원회 누리집 > 정책/정보센터 > 자료마당 > 통계자료 …

위치정보사업자 현황,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현황,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자료 등 다양한 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무선 가입자 통계, …

+ 여기를 클릭

Source: kcc.go.kr

Date Published: 3/28/2022

View: 358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위치 기반 서비스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위치기반? 그게뭔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위치기반? 그게뭔데!?
위치기반? 그게뭔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위치 기반 서비스

  • Author: DaumFoundation
  • Views: 조회수 9,986회
  • Likes: 좋아요 48개
  • Date Published: 2011. 6. 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4oVZyehBcsM

위치 기반 서비스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변경되는 위치에 따르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콘텐츠 서비스들을 가리킨다. LoCation Services(LCS)로 지칭되기도 한다.

역사 [ 편집 ]

최근에는 노키아(Nokia) 같은 모바일 핸드셋 제작사들이 자신들의 장비에 LBS를 내장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원래 LBS는 이동통신사와 모바일 콘텐츠 공급사들의 협력 아래에서 개발되었다.

LBS의 주요 장점은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여러 위치를 이동하면서도 직접 주소나 지역 구분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며, GPS 측위 기술은 이를 가능하게 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근을 용이하게 해주는 주요 요소기술 중 하나이다.

그러나, LBS를 실현하는 데에 GPS와 같은 위성 기반 측위 기술만이 하위 요소기술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네트워크에는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고유의 위치 관리 메커니즘이 존재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비GPS LBS 서비스도 다수 존재한다.

PC 기반의 유선 인터넷 서비스 역시, 무선 인터넷 영역으로 경계 넘어 확장을 계속하면서 위치 기반 서비스 기능과의 융합(Convergence)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응용 서비스의 범위 [ 편집 ]

위치 기반 서비스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현금출납기나 식당 등 가까운 위치의 서비스나 시설 정보를 조회

할인 중인 주유소 위치 정보나 교통 정체상황 경고 등 알림 서비스들

친구 위치 찾기

이동통신 사업자는 위치 기반지출 (통행 요금 자동 지불) 등

한국에서 사용되는 주요 위치 기반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서비스 가동을 통해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서비스 기능을 추구할 수 있다 :

지역적으로 분산된 자원의 관리 : 택시, 배달원, 대여 장비, 병원(의사), 선단 등

: 택시, 배달원, 대여 장비, 병원(의사), 선단 등 물자 위치 : 스스로 위치 보고를 할 수 없는 수화물이나 화물 상자 같은 물건들도 passive sensor나 RF 태그 등을 이용하여 위치 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 스스로 위치 보고를 할 수 없는 수화물이나 화물 상자 같은 물건들도 passive sensor나 RF 태그 등을 이용하여 위치 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주위에서) 사람이나 물건 위치 찾기 : 필요한 서비스 제공자(의사 등), 서비스 사업체, 이동 경로, 날씨, 교통 상황, 숙소 예약, 분실 휴대전화, 비상 구조 서비스 등

: 필요한 서비스 제공자(의사 등), 서비스 사업체, 이동 경로, 날씨, 교통 상황, 숙소 예약, 분실 휴대전화, 비상 구조 서비스 등 목표 근접 시 알림 기능 (Push형 또는 Pull형) : 목표 지정 광고, 친구 리스트, 데이트 상대 찾기, 공항 접근 시 자동 체크인

(Push형 또는 Pull형) : 목표 지정 광고, 친구 리스트, 데이트 상대 찾기, 공항 접근 시 자동 체크인 목표 근접 시 자동 수행 (Push형 또는 Pull형) : 위치 기반 자동

(Push형 또는 Pull형) : 위치 기반 자동 핫힉(Hot Hic) http://www.hothic.com

작동 원리 [ 편집 ]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크게 측위 기술(LDT: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위치 처리 플랫폼(LEP:Location Enabled Platform), 위치 응용 프로그램(LAP:Location Application Program)의 3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보는 시각이 보편적이다.[1]

측위 기술 [ 편집 ]

서비스 공급자는 무선 단말에 내장된 GPS칩을 통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단말은 복수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로부터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측위 기능 전체를 직접 담당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그 좌표를 입력값으로 각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이동통신망에 보급되어 있는 단말은 저전력 및 낮은 계산성능 문제로 위성신호 수신과 좌표 계산 기능을 직접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GPS 신호를 보조적으로 이용하고, 인접 이동통신 기지국의 거리 관계 및 전파 상태 측정값을 추가하여 복합적으로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혼합 측위 방식이 다양하게 고안되어 왔으며 이를 일반적으로 A-GPS(Assisted GPS)라고 지칭한다.[출처 필요] 이때 근접 복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전파 상태에 기반한 위치 관계 계산에 무선표정(無線標定, radiolocation) 방법과 삼변측량(三邊測量, trilateration) 방법이 이용된다.

또 이동통신사 및 위치 정보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위치 관계를 계산하는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단일 기지국 기준 위치 조회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동통신 망은 그 특성 상 기지국 기준의 단말 이동성 관리를 항상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은 별도의 측위 시스템 추가와 위치 요청 시 측위 계산 부하 없이도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위치 측정값의 정확도는 GPS 및 그에 준하는 위성 기반 위치 측정 방법이 가장 높으며 기지국 기반 방식은 위경도 좌표가 아닌 지역 구분만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도가 가장 낮다.

이런 방법들 중 반드시 하나만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의 이동통신망에는 위치 측위 성능이 서로 다른 다양한 단말이 보급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의 이동통신사는 GPS, A-GPS 방식이나 기지국 기반 방식을 혼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이동통신망 이외의 영역에서 사용자 또는 사물의 위치를 파악하여 서비스에 반영하는 흐름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무선랜을 이용한 이동식 네트워크나 Wibro 등 새 규격의 이동식 네트워크 환경, 또는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 IP 주소 기준의 사용자 위치 인식 기술도 연구와 산업화가 진행되는 중이며, 이를 포괄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측위 기술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하지만 많은 다른 포지셔닝 기술을 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내 지역화 특히. GPS와 실내의 GSM 아주 잘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기술, 블루투스, 초광대역, RFID와 와이파이처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특정 LBS 문제에 대한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 이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모델 Radboud University, 네이메겐, 네덜란드에 건설되었다.[2].

위치 처리 플랫폼 [ 편집 ]

위치 처리 플랫폼은 측위 기술에 의해 얻어진 사용자나 사물의 위치를 취합하고 일관된 표현의 정보로 가공하여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응용 프로그램단의 구성요소들에 서비스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구성요소를 통틀어 일컫는다.

GSM, CDMA 기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모델에서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를 두고 이동통신망 내부의 이동성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단말의 기지국 기반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 IP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위치 응용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관문 역할을 하는 설비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GMLC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처리 플랫폼의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또, A-GPS 방식의 이동통신 위치 기반 서비스 구성에서 유사한 역할을 하도록 정의된 위치정보센터(MPC: Mobile Positioning Center) 역시 위치 처리 플랫폼의 한 예이며, GMLC/MPC의 위치 통합 기능에 접근하기 위한 위치 응용 프로그램과의 표준 프로토콜을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동통신 이외의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사용자 및 사물의 위치를 취합하고 위치 응용 프로그램단과의 프로토콜을 통합하는 역할을 하는 설비 및 서비스가 존재한다면 포괄적인 위치 처리 플랫폼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융합 흐름에 맞추어 이런 플랫폼의 연구와 공개 표준화가 다방면으로 시도되고 있다.

위치 응용 프로그램 [ 편집 ]

위치 처리 플랫폼과 통신하여 개별 사용자 및 사물의 위치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가공된 콘텐트를 제공하거나 수집된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뜻한다. 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위치 응용 서버(Location Application Server)와 위치 콘텐츠 서버(Location Contents Server)로 계층화하기도 하는데, 위치 응용 서버는 ‘LBS 플랫폼’이라고 별칭되기도 하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기본적인 위치 기반 부가서비스 제공 역할과 외부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는 설비이다.

대표적인 콘텐츠 서비스 및 솔루션의 영역으로 텔레매틱스, 위치 기반 WAP 서비스, 긴급 안전 및 호출 서비스, GIS와 결합한 지도/지역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외부 링크 [ 편집 ]

표준 기관과 포럼 [ 편집 ]

표준 문서 [ 편집 ]

대한민국 내 기관과 학회 [ 편집 ]

위치기반서비스란 무엇인가?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 대상 알아보기

위치기반서비스는 우리 생활 속에깊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맛집을 찾기 위해 검색만 하더라도 내 주변에 있는 식당들을 알아서 추천해주죠. 또한, 운전할 때도 네비게이션으로 빠른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위치기반서비스의 새로운 어플, 서비스 역시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요.

위치기반서비스사업을 하려는 자는 상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 사업의 종류, 위치정보시스템을 포함한 사업용 주요 설비 등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어? 우리 회사도 포함되는 건가? 싶으신 분들은 오늘의 내용에 집중해주세요!

자, 그럼 본내용을 알아보기 전 몸풀기 문제 하나 나갑니다.

Q. 어떤 서비스의 사업자가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대상인 걸까요?

① 근처에 있는 맛집을 알려주는 서비스

② 근처에 있는 택시를 호출하는 서비스

③ 나의 실시간 위치를 친구가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④ 나의 위치를 기반으로 길 찾기 서비스

모두 한 번쯤은 써봤던 서비스인데도 헷갈리지 않나요? 그럼 같이 정답이 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질문 중에서 한 개라도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신다면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신고대상에 대해 더 알아보자

개인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개인의 위치정보를 사용하나 DB에 저장하지 않고 서버에서 전송받은 위치 값을 기반으로 결괏값만 고객에게 전송하더라도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 대상

아직도 무슨 말인지 헷갈리시나요? 회사의 개발자에게 이렇게 여쭤보세요.

“우리가 고객의 GPS 좌표 값, Wi-Fi Access Point, 기지국 Cell 정보 등을 수집하나요?”

만약 해당 정보를 수집한다면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대상입니다.

미신고 대상

특정 개인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면 신고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간혹 개인의 위치정보에 거주지, 배송지 등 고객의 주소도 포함되는지 여쭤보시는데요. 주소는 개인정보에 해당하며 개인 위치정보가 아닙니다. 따라서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를 하지 않고 사업을 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으니 여러분의 서비스가 위치기반 서비스 사업자 신고 대상에 해당하는지 반드시 확인해보세요.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에 더 알고 싶다면?

✨ 캐치시큐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위치정보서비스 및 위치기반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보호 및 약관 – Google

|

다음은 구글코리아 유한회사(이하 “Google”)가 Google의 제품에 대하여 제공하고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에 적용되는 이용조건입니다. 아래 이용조건은 이동통신사업자의 가입신청서에 포함된 위치정보 수집동의 및 모바일 단말기 이용조건과 함께 적용됩니다.

서비스의 요금 Google은 별도의 특별한 정함이 없는 한, Google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추가 이용 요금 없이 제공합니다. 별도의 요금을 부과하고자 하는 경우, Google은 이용자에게 사전에 요금 및 이용조건을 고지하고 동의를 받습니다. Google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Wi-Fi 무선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고, 가입하신 이동통신사의 무선인터넷(3G 또는 Wibro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무선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됩니다. 무선 인터넷 사용료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가입하신 이동통신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제3자 개발자들에 의하여 제공되는 프로덕트나 서비스의 경우, 해당 제3자 개발자들의 이용약관에 따른 서비스 요금을 제3자 개발자들이 부과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내용 단말기 등의 위치를 토대로 위치나 경로를 보여주거나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및 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응용 서비스 (이러한 위치와 경로를 전송, 공유, 저장,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 포함) 이용자의 위치나 경로를 이용한 검색∙콘텐츠 표시 서비스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응용서비스 (위치기반 검색어를 제안∙완성하거나, 위치나 경로를 토대로 한 검색결과, 광고, 게시물, 콘텐츠 기타 정보를 제공∙표시하는 등의 기능 포함) 게시물, 콘텐츠 기타 정보를 위치나 경로와 연결하여 생성, 전송, 저장, 정리, 제안, 게시, 기타 처리하거나, 이를 검색, 분류,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서비스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서비스 주변 사람이나 사물의 근접을 탐지하여, 사람이나 사물간의 정보 전송, 공유 또는 위치 확인 등 다양한 기능을 가능케 하는 서비스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서비스 단말기 등의 위치나 경로를 바탕으로 운동위치∙경로, 운동량 등 운동정보를 계산하거나 표시∙저장하고, 이용자가 이를 게시∙전송∙공유하거나 다른 콘텐츠 및 기타 정보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서비스 이용자가 설정해 둔 위치에서 알림, 메시지, 기타 콘텐츠 게시 등 일정한 기능이 작동하도록 하는 서비스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응용서비스 기타 Google 또는 외부 개발자들이 개발한 위치기반 서비스 유용하고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Google 서비스의 핵심이며, 위치 정보는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의 현재 및 기록된 위치 정보는 운전 경로 제공, 검색결과에 사용자 주변 장소 표시, 음식점이 붐비는 시간대 알려 주기, 맞춤설정 지도,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를 기반으로 한 추천, 휴대전화 찾기, 실시간 출퇴근길 교통정보 업데이트, 유용한 광고 등 비롯하여 위의 다양한 Google 서비스에서 더욱 관련성 높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이러한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게 맞는 언어로 웹사이트를 표시하고 Google 서비스의 보안을 강화하는 등 핵심적인 제품 기능에도 도움이 됩니다. Google 개인정보처리방침에는 사용자가 위치 정보를 포함한 Google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할 때 Google에서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보다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Google은 위치기반 서비스의 세부적인 내용 및 종류에 대하여는 개별 이용약관을 정할 수 있으며, 이용자에게 해당 이용약관의 사본을 제공하고 해당 약관에 정한 바에 따라 동의를 받습니다. 외부개발자가 제공하는 프로덕트 및 서비스에 대하여는 해당 외부개발자의 이용약관을 따릅니다.

위치정보 GPS기능이 탑재되었거나, Wi-Fi 기능이 탑재된 단말기 또는 Cell ID에 기반한 단말기 등을 비롯하여 위치정보수집기능이 부가된 Google 또는 제휴사의 제품은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및 Wi-Fi 기지국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집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나중에 Google Account 또는 다른 개인정보와 결합되어 위치기반 서비스에 이용되지 않는 한, 익명의 정보로 전화번호 등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일부 서비스의 경우, 주기적으로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가 Google의 서버로 전송되어 Google의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사용됩니다.

이용자의 권리 Google은 https://policies.google.com/ 에서 볼 수 있는 개인정보처리방침에 정해진 바에 따라 위치정보를 수집, 이용 및 공유합니다. 이용자는 직접 위치기반 서비스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위치정보의 이용제공목적, 제공받는 자의 범위 및 위치기반 서비스의 일부에 대하여 동의를 유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직접 단말기의 환경설정을 변경하는 방식을 통하여 언제든지 위치정보 이용제공에 대한 동의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Google은 이용자의 동의 없이 위치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만약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위치정보법”) 또는 다른 한국의 법률에 의하여 위치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게 된다면, 한국의 관련 법률에 정한 바에 따라, 이용자에게 즉시 알려드립니다. 이용자는 위치정보법 또는 다른 한국의 법률에서 허용하는 바에 따라, 제3자에게 제공된 이유 및 내용에 대하여 열람, 고지, 오류 정정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Google Account에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이용자가 본 이용약관에 동의함으로써, 이용자는 만 14세 이상이라는 점에 대하여 Google에 대하여 확인하여 주고 보증하는 것으로 봅니다. Google은 이용자가 요청하는 경우, 지체 없이 수집된 개인위치정보 및 그러한 개인위치정보와 연관된 관련 이용기록을 파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합니다.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 수집∙이용∙제공사실 확인자료의 보유 이용자가 Google 계정에 로그인한 상태이고 웹 및 앱 활동 또는 위치기록 설정을 활성화하였거나 위치정보를 저장하도록 동의한 경우, 이용자의 위치정보는 Google 의 서비스에 저장 및 사용될 수 있습니다. Google 은 이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보다 개인화된 경험 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는 myactivity.google.com 에서 웹 및 앱 활동 및 위치기록 상 이용자의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수동으로 삭제하거나, 자동 삭제 옵션(3 개월/18 개월/36 개월)을 선택하거나, 정보가 더 이상 저장되지 않도록 하거나, 기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Google 은 신규로 가입한 이용자의 경우 웹 및 앱 활동 및 위치기록의 기본 보관 기간을 모두 18 개월로 설정해 두고 있습니다. Google은 이용자에 대한 위치정보의 수집∙이용∙제공사실을 위치정보시스템에 자동으로 기록, 보존하며, 6개월 이상 보관합니다. 이용자가 개인위치정보의 수집∙ 이용 또는 제공에 대한 동의를 전부 또는 일부 철회한 경우에는 법률에 따라 보존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위치정보 수집∙이용∙제공과 관련한 데이터(동의의 일부 철회의 경우에는 철회와 관련된 부분)를 파기합니다.

법률준수 이용자는 Google의 위치정보사업 및 위치기반 서비스제공과 관련하여 위치정보법 제15조 내지 제26조의 규정을 위반한 행위로 손해를 입은 경우에 위치정보법 제27조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 정보 및 위치정보관리책임자 위치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문제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아래 구글코리아 유한회사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구글코리아 유한회사

주소: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152, 22층 (역삼동, 강남파이낸스센터)

전화번호: (02) 531-9000

정보센터 > 자료마당 > 통계자료 목록

본문 시작

통계자료

다양한 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위치정보사업자 현황,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현황,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자료 등 다양한 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무선 가입자 통계,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현황 등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T 통계포털 바로가기(새창)

Search

전체검색 제목 글내용 작성자

비밀번호 확인 창 등록시 입력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키워드에 대한 정보 위치 기반 서비스

다음은 Bing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위치기반? 그게뭔데!?

  • nonprofit
  • educational
  • korean
  • daumfoundation
  • 다음세대재단
  • ChangeON
  • 위치기반
  • LBS

위치기반? #그게뭔데!?


YouTube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위치기반? 그게뭔데!? | 위치 기반 서비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아는 사이 다시 보기 | [Full영상] 연애의 참견3 다시보기 | Ep.128 | Kbs Joy 220614 방송 빠른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