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웹 서버 구축 – 공도리TV] (웹 서버 구축) 01강. 내 컴퓨터에 웹 서버 구축하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aodaithanhma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aodaithanhma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개발자오뎅이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3,896회 및 좋아요 10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 Windows10의 설정에 들어간다. 시작메뉴
- 설정 화면에서 “프로그램 및 기능”을 클릭한다. 설정화면
- 프로그램 및 기능 화면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를 클릭한다. 프로그램 및 기능
- 인터넷 정보 서비스 선택 – 설정 끝!
Table of Contents
웹 서버 구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공도리TV] (웹 서버 구축) 01강. 내 컴퓨터에 웹 서버 구축하기 – 웹 서버 구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웹 서버 구축 강의를 올립니다! 이제 웹 개발 단계에 들어섰네요. 🙂 강의가 어려웠던 부분은 덧글 작성해주시면 다시 추가 강의로 돌아오겠습니다! 다음 강의은 HTML을 이용한 홈페이지 제작 강의입니다!
* 엄지엄지척! 올려주시면 정말 정말로 감사하겠습니다! 하신김에 구독도 부탁드립니다! (__)
** 강의는 항상 메인 테마를 정해서 방송됩니다!
*** 상단 우측 종버튼 누르시면 강의 생방송 할 때 알람이 전달됩니다. 🙂
곧 강의들을 정리하여 모아놓은 개인 구독사이트 오픈 예정입니다!
구독사이트 오픈 후에 구독요청 하시면 비공개 강의도 함께 들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gongdori.co.kr
C언어, C++, JAVA, HTML5, CSS3, JS, PHP7, Maria DB, MySQL, DBMS, Web hacking, Embedded, 임베디드, 웹해킹, 라즈베리파이
웹 서버 구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리눅스 서버 구축하기] 4. 아파치 설치 및 설정 – 가비아 라이브러리
소스파일을 이용한 컴파일 설치 설치에 필요한 패키지의 설치 리눅스 상에서 소스파일 다운로드하고, 컴파일을 위하여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웹 서버 구축을 …
Source: library.gabia.com
Date Published: 11/14/2021
View: 3573
웹 사이트를 위한 웹 서버 만들기
IT 스타트업의 서비스 형태 ① – 1 웹 사이트를 위한 웹 서버 만들기 지난번 포스팅에서 고객(웹 클라이언트)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할 웹 사이트 …
Source: better-together.tistory.com
Date Published: 4/12/2021
View: 4533
[웹서버] 윈도우 10 웹서버 구축하기_제2장_PHP 설치하기
이 글은 웹서버를 처음 구축하시는 분들을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bitnami 또는, autoset 등을 통해 쉽게 웹서버 구축도 가능하지만, 향후 유지보수 …
Source: carpe-diem0.tistory.com
Date Published: 12/6/2021
View: 2612
웹서버 운영하기 (2022년 강의로 대체 되었습니다) – 생활코딩
웹서버도 마찬가지입니다. 웹서버라는 제품군에는 여러 제품들이 있습니다. Apache IIS Nginx. 이 중에서 우리가 사용할 소프트웨어 …
Source: opentutorials.org
Date Published: 7/2/2022
View: 5438
간단한 웹 서버 만들기 – iwuooh
1. 간단한 웹 서버 만들기 아래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시킨 후 127.0.0.1:3000으로 접속하면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서버를 만들긴 했지만 요청 내용 …
Source: iwuooh.com
Date Published: 5/28/2021
View: 8965
웹 서버란 무엇일까? – Web 개발 학습하기 | MDN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필요한 파일을 구축합니다. 만약 위 둘의 과정이 불가능하다면, 웹 서버는 브라우저에게 에러 메시지를 반환 …
Source: developer.mozilla.org
Date Published: 10/19/2022
View: 1341
무료 웹서버구축 : 집에서 무료로 개인 웹 페이지 호스팅하는 방법
PC에서 제공할 웹 페이지를 호스팅하는 웹서버를 실행 시켜 놓으면 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공유기 포트 포워딩은 설명 드렸습니다. … 이번에는 PC에 웹 …
Source: bigdatamaster.tistory.com
Date Published: 2/3/2021
View: 9694
웹서버 구축을 위한 기초
웹 서버 프로그램으로는 PWS, IIS, 아파치 등이 있다. 웹 클라이언트(Web Client)란 : 서버와는 상대되는 개념으로 클라이언트는 어떤 서비스를 요청 …
Source: game116.synology.me
Date Published: 5/30/2022
View: 1841
[생활코딩] HTML 6일차 – 내 컴퓨터를 서버로! – 브런치
1. 내 컴퓨터에 직접 웹서버를 설치해보자! · 2. 아파치를 설치하기 위해 설치해야 하는 프로그램 · 3. 서버 구축을 위한, 아파치 설치를 위한, 비트나미( …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12/17/2022
View: 984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웹 서버 구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공도리TV] (웹 서버 구축) 01강. 내 컴퓨터에 웹 서버 구축하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공도리TV] (웹 서버 구축) 01강. 내 컴퓨터에 웹 서버 구축하기](https://i.ytimg.com/vi/leCCOAWnbuk/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웹 서버 구축
- Author: 개발자오뎅이
- Views: 조회수 13,896회
- Likes: 좋아요 109개
- Date Published: 2018. 3. 2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leCCOAWnbuk
가장 간단한 웹서버 구축 방법- IIS
jsitclub
나만의 웹서버를 갖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무료 웹서버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
내 컴퓨터를 웹서버로 만드는 방법.
ipTIME 공유기를 웹서버로 만드는 방법.
그중 내 컴퓨터를 웹서버로 만드는 방법은 또다시 아파치, nginx, iis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오늘은 그중 windows 사용자라면 간단히 구축할 수 있는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s)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먼저 자신의 컴퓨터에 웹서버가 아무것도 구축이 되어있지 않다면,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localhost 또는 127.0.0.1라고 적은 후 엔터를 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localhost(127.0.0.1)이라는 주소는 자신의 컴퓨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신의 컴퓨터를 마치 원격 컴퓨터인 것처럼 테스트할 수 있는데, 자신의 컴퓨터에 웹서버가 없으므로 당연히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다고 나온다.
그럼 이제 IIS 웹서버를 구축해보겠다.
* 실행환경 *
Windows 10
VSCode
1. Windows10의 설정에 들어간다.
시작메뉴
2. 설정 화면에서 “프로그램 및 기능”을 클릭한다.
설정화면
3. 프로그램 및 기능 화면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를 클릭한다.
프로그램 및 기능
4. 인터넷 정보 서비스 선택 – 설정 끝!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다시 브라우저로 들어가 localhost를 연다
IIS 기본화면
그러면 이 웹서버의 루트는 어디에 있을까?
“C:\inetpub\wwwroot\”에 있고, 그 폴더 안에는 다음과 같이 iisstart.html이라는 파일이 있다.
탐색기
자 그러면 이제 우리의 html 파일이 나타나도록 하겠다.
먼저 wwwroot 폴더에 index.html 파일을 만들어 준다.
만약 권한으로 인해 만들 수 없으면 다음 방법을 사용한다.
먼저 iisstart파일을 복사 후 그대로 붙여 넣기를 해준다. 그러면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는데, “계속”으로 진행을 한다.
그리고 새로 만들어진 iisstart-복사본. html 파일의 이름을 index로 바꿔준다.
index.html을 만들었다면 사용하는 에디터로 열어준다.
에디터 선택
1. 기존의 내용은 모두 지우고 기본적인 내용을 적어준다.
(VSCode에서는! 를 입력 후 메뉴가 나오면 엔터를 눌러 자동으로 만든다.)
기본html
2.
태그 사이에 코드를 적은 후 저장한다.(권한이 없으면 오른쪽 아래 메시지가 뜨는데, “Retry as Admin…” 버튼을 눌러 저장한다.)
html 수정
브라우저로 확인해본다.
확인
오늘은 아주 간단히 IIS를 이용하여 웹서버를 구축하는 알아보았다.
이렇게 쉬운 방법을 몰라 아파치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고… 아니면 웹사이트를 검색해 등록하고 익히고… 휴…
웹서버 쉽게 만들어 쉽게 연습해 보시길…
(참고) 2022-10-14 파이썬을 이용한 더욱 쉬운 웹서버 만들기
https://jsitclub.tistory.com/92
웹 사이트를 위한 웹 서버 만들기
Sam 3
IT 스타트업의 서비스 형태 ① – 1 웹 사이트를 위한 웹 서버 만들기
웹 서버 만들기
지난번 포스팅에서 고객(웹 클라이언트)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할 웹 사이트를 만드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better-together.tistory.com/217
요약하면 웹 사이트를 만드는 것은 HTML로 작성한 웹 페이지들을 웹 서버에 저장하여 웹 사이트를 생성하고 웹 사이트에 도메인을 달아 공개하는 단순한 절차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객(웹 클라이언트)이 웹 브라우저로 웹 사이트에 접속해서 웹 사이트를 보는 과정과 함께 웹 서버를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 – HTTP 통신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고객은 웹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도메인을 입력합니다(접속하려는 웹 사이트를 검색해서 링크를 타고 접속하는 것도 링크에 도메인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기에 주소 창에 도메인을 입력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같습니다).
고객이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웹 브라우저라는 소프트웨어(또는 프로그램)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란? → 비교하면 쉽다 IT 용어 정리 –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앱)
고객은 웹 브라우저에 도메인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합니다. 그러면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에 연결된 수많은 웹 서버 중에서 입력된 도메인 주소를 갖고 있는 웹 서버를 찾아 웹 페이지를 보내 달라는 요청을 합니다. 요청을 받은 웹 서버는 요청 내용을 분석하여 요청받은 웹 페이지를 웹 서버 내부에서 찾아냅니다. 그리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찾아낸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에게 보냅니다. 웹 페이지를 받은 웹 브라우저는 HTML을 읽고 해석하여 사람이 보기 좋게 변환한 후 웹 브라우저 화면에 띄웁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 – HTTP 통신
HTTP란?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요청(Request)하고, 웹 서버가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HTTP 통신이라고 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정보를 주고받을 때 지켜야 할 프로토콜, 즉 규칙입니다. 두 사람이 대화를 하기 위해 공통의 언어가 필요한 것처럼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웹에서 웹 페이지를 주고받기 위해 지켜야 할 공통의 규칙을 정해 놓은 것이 HTTP입니다. HTTP에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방법, 서버가 응답하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HTTP가 정해 놓은 방법에 따라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는 과정이 HTTP 통신입니다.
HTML, HTTP 자세히 → 쉽게 이해하는 네트워크 19. 팀 버너스 리가 개발한 월드 와이드 웹(WWW)의 3대 요소 – URL, HTML, HTTP
웹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 웹 브라우저
HTTP에 따라 웹 서버에게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한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웹 브라우저입니다. 컴퓨터에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야 비로소 웹 클라이언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수많은 웹 브라우저가 개발되었으나, 현재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는 구글(Google)의 크롬(Chrom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엣지(Internet Explorer/Edge), 애플(Apple)의 사파리(Safari), 모질라(Mozilla)의 파이어폭스(Firefox), 오페라(Opera)의 오페라 웹 브라우저입니다.
2020.6월 말 기준 전 세계 웹 브라우저 점유율(출처: https://www.itworld.co.kr/news/157433)
웹 서버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컴퓨터에 웹 브라우저라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야 웹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것처럼, 웹 서버도 HTTP에 따라 요청을 받고 응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서버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웹 서버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 물리적인 컴퓨터, 즉 하드웨어는 그 자체만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컴퓨터를 사용하는 목적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흔히 PC보다 뛰어난 성능을 가진 서버 컴퓨터를 웹 서버라고 생각하는데, 컴퓨터의 역할을 결정하는 것은 소프트웨어이지, 컴퓨터 성능과는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내 컴퓨터에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내 컴퓨터도 웹 서버가 될 수 있습니다. 최초의 웹 서버도 스티브 잡스가 애플에서 쫓겨난 이후 만든 넥스트(Next) 컴퓨터가 사용되었습니다.
최초의 웹 서버(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File:First_Web_Server.jpg)
보통 웹 서버라고 얘기할 때는 인터넷에서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는 측을 의미하지만, 웹 서버 소프트웨어나 웹 서버로 사용되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웹 서버라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많은 종류의 웹 서버 소프트웨어가 존재하지만,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는 아파치(Apache) HTTP 서버, 엔진엑스(NginX) HTTP 서버, 구글 웹 서버(Google Web Server, GWS), 마이크로소프트의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입니다. 아파치와 엔진엑스는 어떤 운영체제에서도 사용 가능한 오픈 소스이고, IIS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운영체제인 윈도우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며, 구글 웹 서버는 구글 클라우드 등 구글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웹을 운영할 경우, 즉 구글 생태계 내에서만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2019. 1월 기준 전 세계 웹 서버 소프트웨어 점유율 (출처: https://namu.wiki/w/Google%20Web%20Server)
웹 서버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을 기다리다가, 수신된 요청이 있으면 요청 내용을 분석하여 적절한 응답(요청받은 웹 페이지 전송)을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동시에 접속을 허가하는 클라이언트 수의 제한이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치, 요청 및 응답에 관한 로그의 기록, 필요한 경우 특정 사용자에게만 정보 제공을 허가하기 위한 인증 제어 및 암호화 처리 등 HTTP(HTTPS)의 제어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웹 서버 만들기
서버 컴퓨터 구매
웹 서버를 만들기 위해선 먼저 웹 서버로 사용할 컴퓨터가 있어야 합니다. 내 컴퓨터도 가능하나, 1년 365일, 24시간,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수 있도록 켜놔야 하기 때문에 보통 별도의 서버 컴퓨터를 사용합니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해야 하는 서버 컴퓨터의 특성상 보통 일반 PC보다 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합니다. 특히 얼 마나 많은 정보가 담긴 웹페이지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저장공간(디스크 용량)을 결정하게 됩니다. 웹페이지에 담는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의 파일이 많을수록 더 큰 저장 공간의 확보가 필요합니다.
웹 서버 소프트웨어 설치 및 웹 페이지 만들고 URL로 저장하기
웹 서버 컴퓨터에 운영체제와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합니다. PC의 운영체제로는 윈도우와 맥 OS를 많이 사용하는데, 서버용 운영체제로는 리눅스, 유닉스가 많이 쓰이고, 윈도우가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아이콘 등을 사용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의 윈도우와 달리 리눅스와 유닉스는 CLI(Command Line Interface) 방식, 즉 명령어를 입력해서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명령어 사용법을 익혀야 합니다.
GUI와 CLI 비교(출처: https://anydifferencebetween.com/graphical-user-interface-vs-command-line-interface/)
웹 페이지(HTML 파일)를 만들고 웹 페이지에 담기는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의 리소스(resource) 파일을 웹 서버에 저장합니다. 파일을 저장할 때는 웹 페이지와 리소스의 위치를 찾기 위한 주소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사용합니다. URL은 인터넷상에서 자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약속입니다.
HTTP 통신으로 웹 페이지라는 자원을 주고받는 웹은 http://www로 시작하는 URL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가 저장된 위치를 표시합니다. 약속된 URL을 사용함으로써 웹 브라우저는 URL을 입력해 원하는 웹 페이지를 달라고 웹 서버에 요청할 수 있는 것입니다.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입력하는 도메인은 웹 사이트를 대표하는 웹 페이지, 보통 홈페이지라고 부르는 웹 페이지가 저장된 URL입니다. 네이버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란에 www.naver.com을 입력해도 웹웹 브라우저는 http://www.naver.com/index.html이라는 URL로 해석하여 네이버 웹 서버에 저장된 index.html이라는 파일을 달라고 요청합니다.
URL 자세히 → 쉽게 이해하는 네트워크 18. TCP/IP 응용(애플리케이션) 계층과 URL 구성 요소 및 종류
서버용 인터넷 전용 회선, 보안 설정
웹 페이지도 만들어 저장하고, 웹 서버 소프트웨어도 설치했으면 웹 서버를 인터넷에 연결해서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인터넷에서는 수많은 불특정 다수의 웹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기 때문에 방화벽 등의 일정한 보안 시스템을 설정해야 합니다. 또한 주고 받는 웹 페이지의 용량, 하루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수, 동시 접속자 수 등, 한마디로 트래픽을 고려해서 서버용 인터넷 회선을 선택해야 합니다. KT나 SK 브로드밴드 같은 인터넷 사업자(ISP)는 보통 집에서 사용하는 가정용 인터넷 회선으로는 영리 목적의 웹 서버를 운영할 수 없도록 약관에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영리 목적으로 웹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사업자의 기업 전용 인터넷 회선을 별도로 계약하고 요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고정적인 관리 비용
웹 서버가 24시간 내내 멈추지 않고 운영되기 위해선 웹 서버와 인터넷 트래픽 등을 계속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엔지니어도 필요합니다. 엔지니어의 급여, 인터넷 사용료, 전기세 등 매달 들어가는 고정 비용만도 상당합니다.
웹 호스팅
자금과 전문 인력이 부족한 개인이나 소규모 사업자가 이 모든 과정을 스스로 하며 웹 사이트를 운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등장한 것이 웹 호스팅입니다.
웹 호스팅은 호스팅 업체에게 월 사용료만 지불하고 웹 서버 공간을 임대해서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 호스팅 업체는 웹 서버와 인터넷 회선 등 서버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서버 장비와 소프트웨어 및 전문 인력을 갖추고 웹 서버를 대신 관리해줍니다. 월 사용료는 기본적으로 선택하는 저장 공간(디스크)이나 트래픽과 부가 서비스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웹 사이트를 웹 호스팅의 방법으로 운영하면 하루 방문자 등을 예상해서 저장 공간과 트래픽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월 사용료만 지불하면 됩니다.
참고 자료
HTTP, 위키백과
웹 서버, 위키백과
구글 웹 서버, 나무 위키
[웹서버] 윈도우 10 웹서버 구축하기
Southpaw
이 글은 웹서버를 처음 구축하시는 분들을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bitnami 또는, autoset 등을 통해 쉽게 웹서버 구축도 가능하지만, 향후 유지보수 및 관리가 쉽고, 스스로 구축하면서 웹서버 기초 개념도 학습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입니다.
이 글은 [웹서버] 윈도우 10 웹서버 구축하기_제1장_Apache 설치하기 를 선행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아직 Apache를 설치하지 않은 분은 해당 글을 보고 Apache를 먼저 설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웹서버] 윈도우 10 웹서버 구축하기_제2장_PHP 설치하기이 글은 윈도우 10 에 APM을 설치하여 웹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 PHP 다운로드
PHP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일종으로 HTML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아래 주소에서 PHP를 다운로드 합니다.
PHP 버전이 Non Thread Safe와 Thread Safe의 두 가지 버전이 있는데 저희는 TS(Thread Safe) 버전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NTS 버전은 IIS(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웹서버 프로그램으로 Apache와 동일한 역할을 함)을 위한 버전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VS16 x64 Thread Safe에서 Zip 파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합니다.
2. PHP 압축해제
다운로드 받은 PHP Zip 파일을 압축해제합니다. 본 글에서는 E 드라이브 최상위 폴더에 PHP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압축해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압축 해제 경로 : E:\PHP
3 . PHP 설정값 변경
다음은 PHP 기본 설정값을 변경해줘야합니다.
E:\PHP\php.ini-production 라는 파일을 E:\PHP\php.ini 로 변경해줍니다. 이제 이 파일은 PHP 프로그램 설정 파일로써 역할을 하게 됩니다.
E:\PHP\php.ini-production –> E:\PHP\php.ini
3.1 extension_dir
php.ini파일 768번 째 줄에 ;extension_dir = “./” 를 다름과 같이 수정합니다.
1. 앞에 세미콜론 제거하기
2. 큰 따옴표 안을 “PHP 설치 경로/ext” 다음과 같이 수정하기
저는 아래와 같이 수정하였습니다.
;extension_dir = “./” –> extension_dir = “E:\PHP/ext”
PHP 설정값 변경은 이렇게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Apache와 PHP를 연동시켜줘야합니다.
4 . Apache와 PHP 연동
Apache와 PHP 연동은 아파치 설정파일에서 설정합니다. 아래 경로의 Apache 설정파일을 메모장으로 실행합니다.
E:\Apache24\conf\httpd.conf
284번 째 줄에 있는
과 밑에 있는 사이에 DirectoryIndex index.html을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DirectoryIndex index.html –> DirectoryIndex index.php index.html
다음으로 파일 최하단에 다음 문구를 추가합니다.
PHPIniDir “php.ini 파일이 있는 경로”
LoadModule php_module “php 설치경로/php8apache2_4.dll”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html .php
AddHandler application/x-httpd-php .php
저는 다음과 같이 추가했습니다.
파일을 저장하고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아래 명령어를 통해 Apache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E:
cd apache24\bin
httpd -k restart
5 . PHP 연동 테스트
이제 PHP 연동이 완료되었습니다. PHP 연동이 잘 되었는지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Apache 웹문서 저장공간(E:\apache24\htdocs)에 phpinfo.php 라는 파일을 만들고 메모장으로 다음과 같이 내용을 입력합니다.
E:\apache24\htdocs\phpinfo.php
파일을 저장하고 웹브라우저에 localhost/phpinfo.php를 입력합니다.
다음과 같이 PHP 설치정보가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웹서버] 윈도우 10 웹서버 구축하기_제3장_MYSQL 설치하기로 돌아오겠습니다.
간단한 웹 서버 만들기
iwuooh
1. 간단한 웹 서버 만들기
아래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시킨 후 127.0.0.1:3000으로 접속하면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서버를 만들긴 했지만 요청 내용을 작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코드를 아래와 같이 수정한 후에 127.0.0.1:3000에 접속하면 hello world!가 화면에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2. URL 구조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er의 약자로, 웹상의 특정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특정 자원은 HTML, CSS, JavaScript 파일 등을 의미한다.
https://www.codeit.kr/learn/3719?class=52&lecture=3
위의 URL을 뜯어서 살펴보면,
1) 가장 앞부분에 있는 스킴(scheme)에는 보통 프로토콜(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규약, 주로 http, https)의 이름이 들어간다. 위에서는 http가 들어가있다.
2) 두 번째 부분은 호스트(host)로, 위에서는 www.codeit.kr가 들어가 있다.
3) 세 번째는 경로(path)로 하나의 서버 안에서 원하는 자원의 위치를 나타낸다. 위에서는 learn/3719이 들어가 있다. 주의할 점은 path는 단지 의미를 나타내는 용도이기 때문에 디렉터리 구조안에 실제 파일이 없을 수도 있다.
4) 마지막으로? 뒤의 부분은 쿼리(query)라고 하는데, 서버에 요청할 때 원하는 것을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쿼리 부분에 여러 항목이 들어가면 &로 구분한다.
아래 코드를 살펴보자. Node.js에서 제공하는 URL클래스를 사용하여 url 객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url 객체의 각 속성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했다. search는? 와 쿼리를 합친 속성을 가리킨다.
코드의 실행결과는 다음과 같다.
url의 각 부분이 잘 쪼개져서 결과가 출력됨을 알 수 있다. url을 쪼갤 수 있어야 서버 프로그램 내부에서 클라이언트 요청에 의한 url을 자유자재로 처리할 수 있다.
3. 도메인 네임과 IP주소
위의 예시에서 본것 처럼 호스트에는 codeit.kr 같은 문자열이 들어가도 되고, 127.0.0.1 같은 IP주소가 들어가도 된다. codeit.kr 같은 것을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라 한다.
하나의 도메인 네임은 여러 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상위의 도메인일 수록 도메인 네임 중에서 오른쪽에 있다.
codeit.kr을 예로 들어보자.
도메인의 최상단에는 루트 도메인(Root Domain)이 있는데 이는 빈 문자열로 나타내고 도메인을 입력할때도 표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만약 루트 도메인까지 나타내려면 codeit.kr.로 쓰면 루트도메인까지 나타낸 더욱 완벽한 도메인 네임인 것이다.
루트 도메인의 하위에는 Top-Level-Domain(TLD)이 있는데, 도메인 네임 끝의 .kr, .net등이 이에 해당한다. 사이트가 속한 국가 또는 제공하는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각각의 Top-Level-Domain(TLD) 하위에는 Second-Level-Domain(SLD)가 있는데, codeit.kr 에서는 codeit이 이에 해당한다.
4. Domain Name Resolution의 원리
무료 웹서버구축 : 집에서 무료로 개인 웹 페이지 호스팅하는 방법
The Yellow Lion King
집에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가입하고 있고(KT, SKB, LG 등), PC가 있으면 무료로 개인 웹 페이지 호스팅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하고
PC에서 제공할 웹 페이지를 호스팅하는 웹서버를 실행 시켜 놓으면 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공유기 포트 포워딩은 설명 드렸습니다.
https://m.blog.naver.com/iwodus/222324566563
포트 포워딩 SK Broadband, IPtime 공유기 사용 환경 설정 방법
이번에는 PC에 웹서버를 설치 및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 드립니다.
하나씩 따라하시면 쉽게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자, 시작해볼까요!
먼저 설치할 웹서버를 선택하고 다운로드 해야합니다.
웹서버는 웹페이지 요청에 대하여 적합한 웹페이지를 되돌려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면 백화점 창고 관리자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겠네요. 어떤 상품에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그 상품을 창고(Storage)에 가서 꺼내오는 일을 하는 것이지요.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Nginx, Apach, Tomcat, IIS 등등…
요즘 가장 치고 올라오고 있는 Nginx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Nginx 는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후 압축파일을 풀면 nginx.exe 등 파일과 폴더들이 보입니다.
(Mac OS에서는 Homebrew를 이용하여 $ brew install nignx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http://nginx.org/en/download.html
nginx: download
nginx: download Mainline version CHANGES nginx-1.19.10 pgp nginx/Windows-1.19.10 pgp Stable version CHANGES-1.20 nginx-1.20.0 pgp nginx/Windows-1.20.0 pgp Legacy versions CHANGES-1.18 nginx-1.18.0 pgp nginx/Windows-1.18.0 pgp CHANGES-1.16 nginx-1.16.1 pgp nginx/Windows-1.16.1 pgp CHANGES-1.14 nginx-…
nginx.org
설치가 잘 되었는지 테스트 해봅니다 .
윈도우즈에서는 압축을 푼 파일중 nginx.exe 를 실행합니다.
맥에서는 터미널에서 nginx를 입력합니다.
브라우저를 열고 http://localhost 를 입력합니다.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보이면 잘 동작하고 있는 것 입니다.
다음에는 웹서버에 페이지 요청이 있을때 어떤 파일을 제공해 줄지, 환경설정하는 것 이 필요합니다.
윈도우에서는 c:\WnMp\conf
ginx.conf , 맥에서는 /usr/local/etc/nginx/nginx.conf 파일을 수정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수정해야합니다. Nginx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conf’ 파일에 보면 아래와 같이 server 설정영역이 있습니다.
이 내용중에 listen 부분의 값을 이전 포스트에서 포트포워딩 했던 포트번호를 적어 줍니다.
그리고 아래 쪽에 root 와 index 부분이 있습니다.
이것은 어느 경로에있는 어느 파일을 기본 값으로 할 지 웹서버에게 알려주는 설정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폴더를 root로 설정하고, index.html을 index 값으로 설정합니다.
listen 옆의 80을 5014(오픈한 포트번호)로 바꾸고, root 옆의 내용을 html 파일이 있는 폴더의 절대경로로 바꿉니다.
설정을 마치고 nginx을 재시작합니다 .
터미널에서 $ nginx -s reload 를 입력합니다.
다시 브라우저에서 localhost를 접속해보면 root 와 index에서 설정했던 html 파일의 내용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웹서버를 설치하고 접속하는 포트와 경로, 파일을 설정해 주었습니다.
로컬 PC에서 확인했을때 잘 접속되는지를 확인했으니 이제 포트 포워딩한 주소로 잘 접속되는지 확인합니다.
포트 포워딩때 사용한 외부IP와 포트번호를 이용하여 휴대폰 브라우저에서 접속해 봅니다.
환경설정 전에 로컬PC에서 테스트했을 때와 동일한 디폴트 페이지 화면
환경설정후 새롭게 설정한 index.html 파일을 보여주는 화면
(주의: 설치/설정을 진행했던 동일 PC에서는 외부IP를 활용하여 확인이 안됩니다. 아래의 확인방법을 참고하여 확인하세요.)
행운을 빕니다.
감사합니다.
#무료웹호스팅
#개인홈페이지서버구축
#홈서버구축
#홈웹서버
#nginx
#엔진엑스설치
#nginx설치
#웹호스팅
웹서버 구축을 위한 기초
웹 서 버 구 축 을 위 한 기 초
웹서버(web Server)란 : 웹서버는 간단히 웹을 서비스하는 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 웹페이지는 HTML이므로 웹서버는 “HTML파일들을 모아놓고 서비스하는 컴퓨터”라고 할 수도 있다. 모든 컴퓨터는 서버가 될 수 있으므로 웹 서버가 될 수도 있지만, 어떤 컴퓨터를 웹 서버로 만드려면 먼저 웹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웹 서버 프로그램으로는 PWS, IIS, 아파치 등이 있다.
웹 클라이언트(Web Client)란 : 서버와는 상대되는 개념으로 클라이언트는 어떤 서비스를 요청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웹 클라이언트는 “웹 서버에 자료를 요청하기 위해 “HTTP”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것도 클라이언트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웹 페이지 요청은 대부분 웹 브라우저가 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웹 클라이언트를 웹 브라우저라고 일컫기도 한다.
서버 사이드(server Side)란 : 서버사이드(Sever-Side)란 간단히 “웹 서버측에서 하는 작업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작업이란 구체적으로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에서 넘어온 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한다든지, 어떤 수학적인 계산을 하여 결과를 만들어 낸다든지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작업을 담당하는 것이 웹 프로그램이다. 웹 프로그램의 종류는 PHP, ASP, Perl, Python등이 많이 쓰인다.
클라이언트 사이드(Client Side)란 :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 사이드)를 사용하면 서버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서버가 작업해야 할 부분중에서 클라이언트가 할 수 있는 작업을 스스로 처리하기 때문에 서버의 작업량을 줄여줄 수 있어 효율적이다. 이렇게 “클라이언트 스스로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서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클라이언트 사이드 언어이다. 클라이언트 사이드 언어로는 자바스크립트(Java Script)와 이외의 대부분의 스크립트 언어가 있다. 플래시 액션(Action) 스크립트도 클라이언트 사이드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스크립트 언어는 웹 서버에서 웹 브라우저로 전송된 후 실행된다.
[서버 구축] ■ 계열별 웹서버의 종류 – Windows : IIS, PWS, httpds, NCSA httpd For Windows, SerWeb, Web4Ham – Unix, Linux : Apache, CERN httpd, NCSA httpd, EIT httpd, GN Gopher/http, Plexus perl server, WebWorks Enterprise server, Netsite Communication Server and Netsite Commercial Server – Mac : MacHTTP – NETWare : httpd nlm■ 각 계열별 대표적인 웹서버 – Windows 계열 :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NT급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웹서버로 ASP(Active Server Page)라는 개발 언어를 지원한다. 1995년 말 윈도우 NT용 웹서버로 출시 되었으며 윈도우 4.0이 출시되면서 IIS 2.0을 기본적으로 탑재 하였지만 얼마 후 ASP기술이 나오면서 IIS3.0이 새로 출시되었다. 윈도우 NT에서 IIS3.0이상 버전을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OPTION PACK과 SERVICE PACK을 설치해 주어야 한다. Windows 2000서버 및 Windows XP Pro에는 IIS 5.0이 포함되어있다. – Unix, Linux 계열 : Apache, NCSA 아파치 프로젝트의 시작은 처음 1995년경 대중의 사랑을 받던 NCSA의 개발자중 일부가 모여 시작 했습니다. 이것을 시발로 NCSA HTTPD 개발자와 아파치 개발자들이 합류되고 이전에 만들어졌던 아파치 0.6.2를 완전히 개선한 0.8.8을, 그리고 아파치 1.0을 1995년10월에 만들어 냈습니다. 현재(2000년기준)는 60%이상의 사용자를 확보 하고 있다.
■ 웹서버 구축에 필요한 것들 (PHP, APACHE, MySQL) – PHP(Professional HyperText Preprocessor) : 서버에서 해석되는 HTML에 내장되어 동작하는 스크립트 언어이다. C, Java, Perl 등에서 많은 문장 형식을 빌려왔으며 웹 브라우저 등으로 실제 코드를 볼 수 없다는 것에 보안상 유리한 점도 있습니다. PHP와 ASP는 근본적으로 서버용 객체 지향적인 스크립트 언어라는 점에서 같지만, ASP의 경우 IIS, PWS와 같은 윈도우 환경에서 움직이는 서버를 지원하는데 반해 PHP는 Apache, IIS, PWS, 서버 등과 유닉스 윈도우 환경에서 움직이는 모든 서버를 지원합니다. – APACHE : 대중의 힘을 바탕으로 가장 큰 인지도를 얻을 만큼 사용자가 이끌어 가는 무료 웹 서버입니다. – MySQL : 무료 데이터베이스(DB) ■ APM_SETUP 설치하기 (설치시 계층구조)
[생활코딩] HTML 6일차 – 내 컴퓨터를 서버로!
*생활코딩 강의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이전에도 누누이 이야기하였다시피 개인 컴을 서버로 이용하는 것은 참으로 어렵고 복잡한 일이다. 하지만, 그 복잡한 것을 우리가 한 번 해보자!
1. 내 컴퓨터에 직접 웹서버를 설치해보자!
일단 본인의 컴퓨터를 웹서버로 만들려면, 웹 서버 프로그램을 먼저 깔아야 한다. 해당 프로그램의 후보는 다음과 같다.
Apache
IIS
Nginx
우리는 이 중에서 오픈 소스인 Apache를 써보자!
하지만 먼 훗날 또 이것들이 업데이트되거나 더 좋은 프로그램들이 있을 수 있으니, 그때는 아래와 같이 검색하여 스스로 더 좋은 프로그램을 찾도록 해보자.
how to install apache http server (os)
(os) 란에는 윈도우나 맥, 리눅스 등을 넣어보자. 그럼 본인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맞는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다.
2. 아파치를 설치하기 위해 설치해야 하는 프로그램
아파치를 한방에 윈도에 설치하는 것은 매우 까다로운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파치를 설치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또 설치해야 하는데, 아파치 공식 홈페이지의 몇 가지 추천 중 비트나미(bitnami)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대략 이렇게 검색하면 된다.
bitnami wamp stack
3. 서버 구축을 위한, 아파치 설치를 위한, 비트나미(bitnami) 설치
아래는 기본 경로로 비트 나미를 설치한 모습이다.
위의 표시된 아이콘을 실행시키거나, 비트나미 설치 후 바로 실행하기를 체크했다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뜰 것이다.
Go to Application을 클릭!
위와 같은 창이 뜬다면 비트나미가 잘 설치된 것이다.
4. 서버를 내렸다가 올려보자!
아까 Go to Application 버튼이 있던 창에서 위에 있는 Manage Severs를 클릭한다.
파란 불이 앞에 들어와 있다면 서버가 올라가 있다는 뜻이다. 아파치 웹서버(Apache Web Server)를 클릭 후 stop을 한 번 눌러보면 빨간 불로 변하는데 이렇게 되면 서버가 내려간 것이다. 다시 Go to Application을 클릭해보면 아까 그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연하게도 붉은 불이 들어온 서버를 클릭하고 Start 버튼을 누르면 다시 서버에 녹색 불이 들어오며 다시 접속이 가능해진다.
자 이렇게 우리는 아파치 서버를 원할 때 올리고 끌 수 있게 되었다!
5. 로컬 호스트? = http://127.0.0.1/index.html
지금 우리가 띄우고 있는 창의 주소는 현재 local host이다. 이 주소를 http://127.0.0.1/index.html와 같이 바꿔보자.
오호라 그래도 같은 창이 뜬다. 왜 이럴까?
이 부분을 알기 위해서 우리는 이 페이지가 도대체 어디 있는 것인지 추적해볼 필요가 있다.
C:\Bitnami\wampstack-7.2.19-2\apache2\htdocs
기본 주소로 설치했다면 비트나미가 설치되어 있는 폴더 안에 아파치(apache2) 폴더 안에 있는 htdocs(hyper text documents=하이퍼텍스트 문서) 폴더로 들어가 보면 index라는 html 이 있다. 이걸 열어보면…
잡았다 요놈…!
오호라 역시 똑같다. 이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서 수정해보았다.
역시나 수정이 된다.
6. 이게 어찌 된 일일까?
도대체 http://127.0.0.1/index.html 가 무엇이길래 이곳에 있는 파일이 웹 브라우저에서 열리는 것일까.
우리는 일단 비트나미 설치를 통해 컴퓨터에 서버를 설치하였고 동시에 웹 브라우저가 있는 상태이다. 그 상태에서 127.0.0.1이라는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치게 되면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를 가리키는 아주 특수한 주소’이자 사전에 약속되어 있는 주소이다!
127.0.0.1은 말 그대로 본인 집 주소와 같으며, 웹 브라우저가 설치된 각자의 컴퓨터의 웹 서버를 가리킨다!!
여기 index.html을 넣으면, 웹브라우저가 자신의 컴퓨터의 웹서버에 “index.html을 원해!”라고 요청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웹서버’는 ‘htdocs라는 디렉터리에서 파일을 찾도록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설정은 바꿀 수 있다.)
7. 그럼 내가 만든 웹페이지로 바꿔보자
과감하게 htdocs 폴더에 들어 있는 파일들을 삭제하고, 내가 여태까지 만들었던 웹페이지를 복사 붙이기 한다.
그렇게 되면 짜잔-
로컬 호스트에 내 홈페이지가 뜨게 된다.
8. 무슨 차이 일까?
어차피 다 똑같은 창이 뜨는 건데 무슨 차이냐고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좋다. 파일을 오픈한 것과 웹페이지에서 연 것은 무슨 차일까?
1) 파일을 오픈한 것은 그냥 웹브라우저가 파일을 오픈한 것으로 웹서버가 필요하지 않음
(C:\Bitnami\wampstack-7.2.19-2\apache2\htdocs\index.html)
2) 하지만 http://127.0.0.1/index.html로 오픈한 것은 웹 브라우저가 웹서버에 요청한 결과를 보여준 것이다.
말 그대로 웹페이지-> 서버->다시 웹페이지라는 과정을 거친 것으로 웹을 거쳐서 우리에게 돌아온 결과이다.
9. 웹서버와 웹 브라우저의 통신
인터넷은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가 있는 컴퓨터에 특정 페이지를 요청해서 index.html을 받아오는 것이다.
전화하는데 전화번호가 필요한 것처럼 이렇게 특정한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주소가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IP 주소라고 불리는 것이다.
10. 서버가 잘 올라갔는지 확인해보자!
우리는 컴퓨터가 하나 더 있다 (스마트폰), 이것으로 우리가 직접 만든 서버에 어떻게 접속할 수 있을까?
잠깐, 우리는 그전에 서버로 만든 우리 컴퓨터의 IP주소를 알아야 한다. 나의 컴퓨터의 IP주소를 알아보자.
제어판이나 시작표시줄 하단에 인터넷 표시> 오른쪽 클릭>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연결 부분 클릭>자세히 를 클릭하면 IPv4 주소란에 자신의 컴퓨터의 IP주소가 떠 있다.
블러 처리되어 있는 빨간 선 부분이 본인의 IPv4의 주소이다
11.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홈페이지에 접속해보자
만약 같은 공유기 아래에 스마트폰과 서버를 켠 컴퓨터가 있다면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홈페이지에 접속이 가능하다. 위에서 찾은 나와있는 IPv4 주소를 http://127.0.0.1/index.html 과 동일한 형식으로 스마트폰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역시 우리가 만든 페이지가 뜨는 것을 알 수 있다.
놀랍다!!
12. HTML을 마치며… – 다음에는 어떤 과정을 공부해 볼까나?
HTML언어는 웹페이지를 만드는 뼈대에 지나지 않는다. 확실히 지금의 홈페이지는 우리가 늘 접하는 홈페이지에 비해 빈약하고 아름답지 못하다. 하지만 실망은 금물이다. 우리는 이제 막 공부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제 여태까지 배운 뼈대 위로 아래와 같은 살을 붙일 수 있다.
CSS : 이쁘게 보이게 하는 것
JavaScript :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웹페이지
백 엔드 기술 : php, jsp, node.js 이 중 하나
등등…
할 수 있는 것이 이렇게 많다. 벌써부터 다음에는 어느 것부터 할지 행복한 고민에 빠져든다.
하지만, 난 아마도 CSS를 시작하게 될 것 같다. 역시 보기 좋아야 더 해볼 맘이 나니까!
그럼 다음 포스팅은 CSS로 돌아도록 하겠다!
그동안 건강하시길!
키워드에 대한 정보 웹 서버 구축
다음은 Bing에서 웹 서버 구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공도리TV] (웹 서버 구축) 01강. 내 컴퓨터에 웹 서버 구축하기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공도리TV] #(웹 #서버 #구축) #01강. #내 #컴퓨터에 #웹 #서버 #구축하기
YouTube에서 웹 서버 구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도리TV] (웹 서버 구축) 01강. 내 컴퓨터에 웹 서버 구축하기 | 웹 서버 구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