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울산 포항 고속도로 – 울산포항고속도로 개통 주행영상“?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aodaithanhma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aodaithanhma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갈맷길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54,864회 및 좋아요 88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울산 포항 고속도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울산포항고속도로 개통 주행영상 – 울산 포항 고속도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12월 29일 부분개통한 울산포항고속도로입니다.
울산분기점~남경주, 동경주~포항 구간입니다.
울산 포항 고속도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동해고속도로 – 나무위키
부산울산고속도로와 울산포항고속도로 구간을 전부 포함해도 강현 졸음쉼터 말고는 졸음쉼터가 단 한 개도 없다! 강릉 죽헌동(구 죽헌IC) ~ 지변동(구 …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6/29/2022
View: 9218
울산포항고속도로 | 울산광역시 도시경관기록
울산포항고속도로. 구/군 중구; CameraSONY ILCE-6000; FocalLen16 mm; ExposureAuto, 1/125 sec, ISO 100; 촬영일자2014-12-27; 태그#울산포항고속도로; 저작권자울산 …
Source: www.ulsan.go.kr
Date Published: 10/29/2021
View: 160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울산 포항 고속도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울산포항고속도로 개통 주행영상.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울산 포항 고속도로
- Author: 갈맷길
- Views: 조회수 54,864회
- Likes: 좋아요 88개
- Date Published: 2015. 12. 3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_pDczgmDRS4
namu.wikiContáctenosTérminos de usoOperado por umanle S.R.L.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 Su zona horaria es GMT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포항뉴스] 울산-포항 고속도로 완전 개통 (지도/통행료 안내)
뿐만 아니라 이번 완전개통으로 포항에서 부산까지도 고속도로로 빠르게 갈 수 있게 되었는데요. 포항에서 해운대까지도 고속도로를 이용해 갈 수 있다니 정말 편리하겠죠? *_* 물론 울산, 부산시민분들도 한반도의 아침이 시작되는 도시 포항으로 많이 놀러오실테구요! 무엇보다도 연간 1300억원의 물류비 절감 효과까지 기대된다고 합니다. 공사기간 7년을 기다린 보람이 있죠? 🙂
이번 개통으로 더욱 가까워진 포항, 경주, 울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지역이라는 데서 이름을 딴 ‘해오름 동맹’을 결성했는데요. 앞으로 경제, 관광 분야에서 함께 발전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울산∼포항 고속도로 완전 개통…”관광·경제 활성화”
75㎞→54㎞로 단축…물류비 연간 1천300억원 절감 효과
(포항·경주=연합뉴스) 임상현 기자 = 울산∼포항 고속도로가 30일 완전히 개통했다.
한국도로공사가 2009년부터 1조9천983억원을 들여 울산시 울주군 범서읍에서 경주를 거쳐 포항시 남구 오천읍까지 53.7㎞를 연결하는 왕복 4차선 도로로 만들었다.
작년 말 울산분기점∼남경주, 동경주∼남포항 42.1km를 먼저 개통한 뒤 이번에 남경주∼동경주간 11.6km를 완공했다.
광고
울산 10.7㎞와 경주 32.4㎞, 포항 10.6㎞를 연결하는 도로다.
경주시 외동읍과 양북면을 잇는 7.54km의 국내 최장 양북 1터널을 비롯한 터널이 24개(총연장 2만4천669m), 다리가 52개(9천525m)다.
더구나 양북 1터널에는 사고와 화재에 대비해 소화전, 피난대비시설, 자동 물 분무 소화시설 620개, 독성가스 감지시설 4개 등 첨단 안전장비를 설치했다.
고속도로 개통으로 울산∼포항 거리가 종전 74㎞에서 54㎞로, 차 운행 시간도 60분에서 32분으로 크게 줄었다.
이에 따른 물류비 절감도 연간 1천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경주국립공원과 포항·울산 관광지 접근성이 좋아져 관광산업과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울산과 경주, 포항이 최단거리로 연결돼 물동량 증가와 관광산업 연계, 교류 촉진 등 상생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기대했다.
30일 오전 11시 양북 1터널 현장에서 열린 개통식에는 울산·포항·경주 자치단체장, 주민, 도로공사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고속도로 개통을 축하하고 기념 조형물을 제막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울산~포항, 32분에 주파 53.7㎞ 고속도로 30일 개통
지난 1일 경북 포항시 오천읍 남포항IC를 통해 진입한 울산~포항 고속도로. 왕복 4차선인 고속도로는 10여 분을 달렸지만 굽은 곳없이 울산 방향으로 이어졌다. 핸들을 좌우로 크게 돌릴 필요가 없을 만큼 고속도로는 일직선에 가까웠다.
착공 7년 만에 왕복 4차로 뚫려
소금물 분사, 길 녹이는 장치도
포항·울산·경주, 교류 강화키로
경주시 외동읍 부근(고속도로 24.6㎞ 구간)은 토함산 아래를 뚫어 만든 터널 구간이다. 국내에서 가장 길다는 7.54㎞ ‘양북 1터널’이다. 터널 안은 독성가스 감지시설과 방화셔터, 물분무 자동소화시설 등 첨단 안전장치가 설치돼 있다.
고속도로 갓길 바닥에는 호스가 솟아 있다. 겨울철 도로가 얼면 소금물을 자동 분사해 길을 녹이는 장치다.
김대학 한국도로공사 차장은 “지난해 12월 먼저 공사를 마친 고속도로 일부 구간을 시범 개통해 운영 중인데, 이달 말 완전 개통되면 연간 1300억원의 물류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철강도시’ 포항과 ‘공업도시’ 울산을 32분 만에 잇는 울산~포항 고속도로가 모습을 드러냈다. 포스코·현대중공업·현대자동차가 있는 동해안의 두 산업도시가 고속도로 하나로 같은 생활권의 이웃도시가 된 것이다.
한국도로공사는 오는 30일 1조9983억원을 들여 만든 길이 53.7㎞의 울산~포항 고속도로를 착공 7년 만에 완전 개통한다. 이에 맞춰 포항·울산은 고속도로에 포함된 경주까지 포함시켜 새로운 동맹으로 출범한다. 대구·광주 두 광역시가 고속도로 개통을 계기로 달빛동맹으로 교류 사업을 진행하는 것과 같은 형태다. 포항·경주·울산은 ‘동해에서 해가 떠오른다’는 의미인 ‘해오름 연합’을 고속도로 개통 날인 30일 출범할 예정이다.
그동안 포항·울산은 경주를 거치는 국도를 이용해 각각 75㎞를 1시간 이상 차로 오갔다. 접근성이 떨어져 같은 산업도시지만 교류가 없었다. 즉 고속도로 하나가 1인당 지역총생산액(GRDP)이 각각 3만 달러를 훌쩍 넘는 포항·울산에 관광도시인 경주까지 하나로 묶어낸 것이다. 국내 1인당 평균 GRDP는 2만6000달러다.
세 지방자치단체는 지난 1월부터 매월 한 차례 이상 모여 고속도로 개통 후 교류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산업재해 전문병원을 울산에 지어 함께 이용하는 계획, 포항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과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을 함께 정부에 건의하는 방안 등이다.
대학들도 손을 맞잡았다. 포스텍·울산대와 한동대·울산과학기술원이 협력을 약속했다. 최근 경주 현대호텔에서 선포식까지 따로 열었다. 포스텍은 모든 연구 결과를 포항뿐 아니라 울산 기업에도 공개한다. 이를 위해 ‘기술사업화 포털’을 따로 제작해 9월 공개할 예정이다.
김윤호 기자 [email protected]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산울산고속도로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고속도로의 부산기점~울산 분기점 구간을 운영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고속도로의 부산기점~울산 분기점 구간을 운영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부산울산고속도로 (기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비슷한 이름의 비슷한 이름의 서해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5 1983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동해고속도로
(고속국도 제5호선) 기점 강원도 속초시 종점 강원도 동해시
동해고속도로(東海高速道路, 고속국도 제65호선)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를 기점으로, 강원도 속초시를 종점으로 하여 동해를 따라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대한민국에서 일곱 번째로 개통된 노선으로, 현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와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잇는 민자 구간과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경상북도 포항시까지 구간, 강원도 삼척시와 속초시를 잇는 구간이 각각 개통되었다. 2017년 하반기에 포항 ~ 영덕 구간이 착공되어 2023년에 개통될 예정이며, 추후에는 영덕 ~ 삼척 구간까지 모두 연결될 계획이다.
역사 [ 편집 ]
당초 정부는 장기적으로 강원도 속초시에서 경상북도 포항시를 잇는 종단 고속도로로 연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1]
동해고속도로 구간 중 현재까지 착공되지 않은 구간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 분기점에서 강원도 삼척시 근덕 나들목까지의 구간으로, 해당 구간은 2009년 예비타당성조사에서 경제성이 미흡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중 경상북도 포항시 북영일만 나들목에서 영덕군 영덕 분기점까지의 31.8km 구간을 2017년 하반기에 착공하여 2023년 개통 될 예정이다.
공통 [ 편집 ]
1973년 8월 23일 : 강원도 속초시 교동 ~ 삼척시 북평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5호선 속초 ~ 삼척선으로 지정 [2]
속초 ~ 삼척선으로 지정 1981년 11월 7일 : 종점을 ‘강원도 삼척시 북평읍’에서 ‘강원도 동해시’로 변경, 동해고속도로(동해선) 으로 노선명 변경 [3]
으로 노선명 변경 1992년 4월 29일 : 종점을 ‘강원도 동해시’에서 ‘강원도 동해시 부곡동’으로 변경 [4]
1997년 8월 27일 : 종점을 ‘강원도 동해시 부곡동’에서 ‘강원도 동해시 지흥동’으로 변경 [5]
1999년 8월 31일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28호선 부산 ~ 울산고속도로(부산 ~ 울산선) 으로 지정 [6]
으로 지정 2001년 8월 25일 : 기존 부산 ~ 울산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하고 노선번호를 제5호에서 제65호 로 변경. [7]
로 변경. 2004년 11월 3일 : 부산 ~ 울산 구간 종점을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오천읍’으로 연장. [8]
2008년 1월 3일 : 부산 ~ 포항(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경상북도 포항시 오천읍) 구간과 삼척 ~ 속초(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 강원도 속초시) 구간으로 분할 [9]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해운대 나들목부터 속초 나들목까지 381.68km 구간을 동해고속도로 로 고시 [10]
로 고시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부산 ~ 포항 구간 기점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종점을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문덕리’로 명시하고 삼척 ~ 속초 구간 기점을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 종점을 ‘강원도 속초시 노학동’으로 명시[11]
강원도 구간 [ 편집 ]
부산 ~ 경상북도 구간 [ 편집 ]
주요 통과지 [ 편집 ]
삼척시 (근덕면 · 적노동 · 자원동) ·동해시 (귀운동 · 지흥동 · 천곡동 · 평릉동 · 부곡동 · 발한동 · 초구동 · 망상동 · 심곡동 · 망상동 · 심곡동 · 망상동) – 강릉시 (옥계면 · 강동면 · 구정면 · 성산면 · 사천면 · 연곡면 · 주문진읍) – 양양군 (현남면 ·현북면 · 손양면 · 양양읍 · 서면 · 양양읍 · 강현면) – 속초시 (도문동 · 조양동 · 노학동)
구성 [ 편집 ]
총 연장
204.58 km
(기점 ~ 울산 47.2km / 울산 ~ 남경주 22.72km / 남경주 ~ 동경주 11.6 km / 동경주 ~ 남포항 19.42km / 근덕 ~ 동해 18.56 km / 동해 ~ 양양 85.08km / 양양 ~ 속초 18.89km)
차로수
왕복 6차로, 4차로
(왕복 6차로 : 송정 ~ 울산 / 왕복 4차로 : 기점 ~ 송정, 울산 ~ 남포항, 근덕 ~ 속초)
제한속도
최고 100 km/h, 최저 50 km/h
(단, 기점에서 송정까지는 최고 80km/h)
터널 [ 편집 ]
부산 ~ 포항 구간은 도로교통법 고시/공고에 게시된 터널의 주요 구간을 인용한다.
아래의 내용은 동해고속도로 표시 구간에 따른 터널이다.
부산 ~ 포항 구간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해운대터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680m 2008년 기장1터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460m 2008년 포항 방면 522m 부산 방면 기장2터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304m 2008년 포항 방면 265m 부산 방면 일광터널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원리 150m 2008년 온양터널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고산리 240m 2008년 문수터널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1,599m 2008년 포항 방면 1,508m 부산 방면 다운1터널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 569m 2015년 포항 방면 374m 부산 방면 다운2터널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 128m 2015년 부산 방면 다운3터널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 429m 2015년 포항 방면 411m 부산 방면 다운4터널 울산광역시 중구 다운동 615m 2015년 포항 방면 613m 부산 방면 범서1터널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서사리 803m 2015년 포항 방면 805m 부산 방면 범서2터널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산리 610m 2015년 포항 방면 585m 부산 방면 범서3터널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산리 283m 2015년 포항 방면 275m 부산 방면 범서4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녹동리 2,833m 2015년 포항 방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산리 2,708m 부산 방면 외동1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녹동리 300m 2015년 포항 방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산리 553m 부산 방면 외동2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냉천리 3,086m 2015년 포항 방면 3,103m 부산 방면 외동3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냉천리 41m 2015년 부산 방면 문무대왕1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장항리 7,543m 2016년 포항 방면 7,540m 부산 방면 문무대왕2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입천리 234m 2015년 문무대왕3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호암리 466m 2015년 포항 방면 530m 부산 방면 문무대왕4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동리 217m 2015년 포항 방면 203m 부산 방면 문무대왕5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동리 2,443m 2015년 포항 방면 2,442m 부산 방면 오천1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동리[79] 161m 2015년 오천2터널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동리[79] 436m 2015년 포항 방면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진전리[79] 391m 부산 방면 오천3터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진전리 546m 2015년 포항 방면 581m 부산 방면 오천4터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진전리 293m 2015년 포항 방면 278m 부산 방면 오천5터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진전리 2,202m 2015년 포항 방면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갈평리 2,178m 부산 방면 오천6터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갈평리 187m 2015년 포항 방면 232m 부산 방면 오천7터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갈평리 178m 2015년 포항 방면 200m 부산 방면
삼척 ~ 속초 구간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근덕터널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금계리 2,473m 2016년 속초 방면 2,558m 삼척 방면 적노터널 강원도 삼척시 적노동 542m 2016년 속초 방면 487m 삼척 방면 사직터널 강원도 삼척시 사직동 237m 2016년 속초 방면 302m 삼척 방면 남양터널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 327m 2016년 속초 방면 380m 삼척 방면 지가터널 강원도 동해시 지가동 508m 2016년 속초 방면 490m 삼척 방면 귀운터널 강원도 동해시 귀운동 305m 2016년 속초 방면 290m 삼척 방면 동해터널 강원도 동해시 평릉동 300m 2004년 강릉1터널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산성우리 450m 2004년 속초 방면 535m 삼척 방면 강릉2터널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산성우리 210m 2004년 강릉3터널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산성우리 140m 2004년 강릉4터널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산성우리 960m 2004년 속초 방면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임곡리 삼척 방면 강릉5터널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언별리 2,075m 2004년 속초 방면 2,095m 삼척 방면 현남터널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북분리 958m 2009년 속초 방면 971m 삼척 방면 현북터널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잔교리 543m 2009년 속초 방면 550m 삼척 방면 양양1터널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거마리 470m 2016년 속초 방면 516m 삼척 방면 양양2터널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거마리 887m 2016년 속초 방면 874m 삼척 방면 강현1터널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석교리 140m 2016년 강현2터널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강선리 50m 2016년 청대터널 강원도 속초시 조양동 1,532m 2016년 속초 방면 1,570m 삼척 방면 노학터널 강원도 속초시 노학동 30m 2016년
나들목 · 분기점 [ 편집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 (Tollgate), SA는 휴게소 (Service Area)를 뜻한다.
거리의 단위는 km 이다. 연한 파란색( ■ ): 부산울산고속도로 민자 운영 구간
이다.
구간 별 특징 [ 편집 ]
동해고속도로는 영동고속도로와 함께 1970년대에 계획 · 건설되고 일부 구간인 근덕 나들목 ~ 동해 나들목 구간과 양양 나들목 ~ 속초 나들목 구간이 2016년에 개통된 강원도 구간과 2000년대 이후에 계획하여 민자로 건설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구간, 현재 계획하고 있거나 이미 착공한 울산광역시 이북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개통하여 운영중인 곳은 강원도 구간과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구간으로, 특히 강원도 구간은 1970년대 건설된 이후 상당 구간을 직선화, 이설하여 국도로 격하된 구간이 존재한다.
부산 ~ 울산 구간 [ 편집 ]
동해고속도로 종점 1km 전 안내
동해고속도로 종점(장산로 입구)
부산울산고속도로, 혹은 부울고속도로로 불리는 이 구간은 동해고속도로 시점인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서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잇는 47.2km구간으로 2008년 12월 29일에 개통하였다. 부산광역시의 도시고속도로인 장산로와 직결되어 광안대로와 황령터널을 이용해 부산광역시 시내로 진입이 가능하며, 울산광역시 울주군 울산 분기점에서 울산고속도로 및 신복로터리와 접속하여 울산광역시 시내로 진입할 수 있다. 해당 구간의 개통으로 종전 70분 가량 소요되던 울산(남구)과 부산(해운대) 사이의 이동 시간이 30분 가량으로 대폭 단축되었으며[80], 선형이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도로시설기준에 명시된 곡선 회전반경보다 최소 3배 이상으로[81] 곡선 구간이 거의 없다. 하지만 이로 인한 과속과 부주의 운전에 빠지기 쉽고, 이로 인한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기도 하다[82].
이 도로는 당초 국비로 진행되는 사업이었으나, 정부 재원의 부족으로 인한 공사 지연을 막기 위해[83] 민자로 전환하여 착공하였다[84]. 사업 주체는 부산울산고속도로(주)로 다른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도로공사가 51%, 국민연금관리공단이 49%의 지분을 출자하여 대한민국의 민자고속도로 중 유일하게 공공부문에서 100% 출자하여 설립하였다[85]. 총 투자비는 1조 2,660억원으로, 민자 사업자는 2006년 8월 4일부터 참여하여 2008년 12월 29일 완공하였다. BTO(Build-Transfer Operate)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완공 즉시 소유권이 정부로 이관되었고 2038년 12월 28일까지 30년간 운영할 예정이다.
개통 전인 2004년 11월을 기준으로 당초 부산 기점 ~ 울산 간 통행료를 3,000원으로 책정하였다가 2008년 개통이 다가오면서 물가인상분 14.3%을 적용, 통행료를 3,600원으로 책정한 바 있다. 이후 시민들의 반발로 3,500원으로 조정하여 개통하였으며, 2014년 현재 중형 승용차 기준 3,800원을 징수하고 있고 문수 ~ 청량(5.3 km), 청량 ~ 온양(7.8 km) 등 최소 구간의 이동에도 최소 요금인 1,000원을 징수하고 있다. 비록 경부고속도로와 울산고속도로를 이용해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를 이동하는 경우인 3,200원보다 다소 비싸지만, 다른 지역의 민자고속도로 통행료보다 저렴한 편이다[86] 또한 한국도로공사와 징수체계가 달라 31.5 km 이내 구간을 이동시에는 한국도로공사 운영구간보다 통행료가 오히려 저렴하다[87]. 단, 당초 정부가 민자사업으로 전환하면서 “추가 부담은 없을 것”이라는 약속과 달리 부산기점 ~ 울산간 요금이 한국도로공사 운영구간보다 비싼 것을 지적하며 개통 초기 지역사회의 요금 인하 요구가 있었다[88].
동부산 나들목부터 문수 나들목까지 7개의 나들목이 위치하며, 휴게소는 장안 나들목과 온양 나들목 사이에 장안 휴게소가 상· 하행 각 1개소가 위치하고 있으며 (울산기점 21.2 km, 부산기점 26 km), 회야대교 등 69개소의 교량 (총 연장의 18.1%), 문수터널 등 5개소의 터널 (총 연장의 7.4%)이 위치하고 있다.
울산 ~ 포항 구간 [ 편집 ]
동해고속도로의 일부로 대한민국 최대의 임해공업 도시로 손꼽히는 울산광역시와 경상북도 포항시를 잇는 울산 ~ 포항간 고속도로는 당초 건설을 위한 실시설계가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예산 확보를 위해 2006년 실시된 기획예산처의 사업 타당성 재검증 결과 경제성 수치가 기준치인 1 이하로 낮아 검토대상 우선순위에서 밀려난 바 있었다. 대신 이와 경쟁노선으로 지적돼 사업이 중단되었던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에서 북구 농소동까지의 국도 7호선 우회도로 개설사업을 재개하였다. 국도 7호선 우회도로 개설사업은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에서 무거동, 삼호교 등 교통 혼잡지역을 경유하는 노선을 대체하는 우회도로로서, 총 연장 16.9km의 사업비 3,470억원의 규모로 사업 규모가 크지 않아 즉각 시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89]. 이후 국도 7호선 사업은 2010년 3월 착공해 2014년 12월 완공 예정이었으나 예산 배정 지연으로 유보중이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들어 광역경제권 개발 프로젝트가 발표되면서, 울산과 포항을 잇는 고속도로가 다시 추진되기 시작하였다[90]. 이에 따라 2009년 2월 12일 국토해양부는 울산에서 포항에 이르는 총 연장 54km의 구간을 국고재정사업으로 2조 1104억원을 들여 2009년 5월까지 실시설계를 마친 뒤 같은 해 6월에 착공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91] 2014년 개통 예정으로 착공되었다[92]. 해당 구간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국회의원의 지역구와 연결되어 과메기 특구와 함께 소위 “형님예산”으로 불리는 등 난항이 있었지만, 이명박 정부 기간 동안 공사가 상당 부분 진행되었다[93]. 그러나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예산 부족으로 사업 진행이 지연되어 당초 2014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1년 연기된 2015년 12월에 부분 개통하였고 2016년 6월에 나머지 구간까지 개통되어 완전 개통하였다.
부산 ~ 울산 구간과는 달리 순수한 국고 사업으로 진행되며, 전 구간 4차로에 총 연장 53.68km,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울산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경상북도 포항시 오천읍 남포항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사업비는 1조 6,424억원이며, 4개소의 나들목, 2개소의 휴게소가 개설되었으며 23개소의 터널 (24.6 km), 52개소의 교량 (9.5 km)로 이어진다. 또한 경주국립공원, 토함산 구간은 7.5km의 장대터널로 통과하게 되며, 강원도 인제터널에 이어 두 번째로 긴 터널이 되었다. 본 구간이 완공되면서 상습 정체를 겪고 있는 울산광역시에서 포항시 사이 75km의 국도 7호선 구간보다 거리가 54km로 단축, 시간은 28분이 감소되며 주로 대형차량의 산업물동량 해소로 물류비용 절감 및 산업경쟁력이 개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었다[94].
포항 ~ 영덕 구간 [ 편집 ]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 북영일만 나들목에서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영덕 분기점까지 이어지는 이 구간은 총 연장 30.3km의 구간으로 2008년 9월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으로 지정된 이후, 2009년 1월부터 11월까지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2009년 12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국토부의 타당성조사가 실시되었으며 2012년 2월부터 한국도로공사의 기본설계를 시작으로 추진중이다. 당초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강원도 삼척시까지 이어져 강원도 속초시까지의 동해고속도로를 완성할 계획이었으나, B/C(편익비용분석) 결과 0.2대의 아주 저조한 결과가 도출되어[95] 경상북도 영덕군까지만 계획하였다. 포항시 북구 영일만 북쪽, 청하면,영덕군 남정면 에 각각 1개소씩 나들목이 신설되고, 영덕군 강구면에 서산영덕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영덕 분기점이 신설된다. 이 영덕 분기점을 통해 서산영덕고속도로 영덕 나들목으로 진출할 수 있다. 중간에 영덕군 남정면에 영덕 휴게소가 개설될 예정이다.
그런데 이 구간은 대표적인 형님고속도로로 불리며[96] 사업 추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B/C(편익비용분석) 결과 기준치 1 대비 0.33으로 비경제적이며 NVP(순가치)는 -1조 5,444억원으로 도출되었고[97], 사업비가 3조 5,708억원에 달하는 등 경제성이 없음이 분명함에도 AHP분석도 거치지 않고 실시설계를 시작했다는 것이다[98]. 특히 국고 사업으로 진행되면서 도로공사의 부채비율이 24조원이 넘는데도 무리하게 진행하여 지속적이고 큰 손해가 예상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99]. 더불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인 이상득 전 의원의 지역구가 위치한 포항시로 이어지는 구간이며, 포항시 일대의 대규모 SOC 공사 추진과 관련하여 형님예산, 형님고속도로 등의 비판이 잇따랐다[100].
또한 포항시내를 우회하는 구간의 선정에 있어 기존안은 울산 ~ 포항 구간의 종점에서 포항시를 서쪽으로 우회하여 육지를 통하는 방안이었으나, 동쪽 바다를 가로질러 가는 방안으로 결정되었다. 이 방안은 해저터널과 해상교량, 해상 인공섬, 휴게소 등을 설치한 가칭 영일만대교의 건설을 전제로 한 것인데, 영일만대교의 사업비 문제로 동쪽 바다를 건넌 흥해읍에서 시작하여 영덕군까지 이어지는 노선만이 현재 착공되어, 2023년에 완공되더라도 울산 ~ 포항 구간과 직접 연결되지 않는 별도의 고속도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현재 17.1km의 영일만대교는 민자 유치가 계획되고 있는데, 지역구 국회의원이 “황당하고 가치없는 사업”이라고 언급할 정도로 과다한 사업비 부담으로 인해 응하는 업체가 없는 상태이다[101].
영덕 ~ 삼척 구간 [ 편집 ]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강원도 삼척시를 잇는 노선이다. 이 구간은 전 대한민국 대통령인 박근혜의 주요 공약으로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영덕군까지 진행되는 공사와 함께 연결되는 구간으로 제시한 사항이나, 타당성조사 결과 B/C 0.26으로 경제성이 거의 없어 동남권 신공항 등과 함께 선심성 공약으로 비판받으며 사실상 추진이 무기한 보류되고 있다[102].
삼척 ~ 동해 구간 [ 편집 ]
동해고속도로가 최초 개통된 강원도 동해시와 양양군 사이의 구간에서 남쪽인 동해시 지흥동을 출발,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까지 이어지는 4차로, 18.6km의 구간이다. 2002년 건설교통부의 예비타당성조사, 2003년 6월부터 2004년 1월까지 타당성조사 및 기본설계가 실시되었고 2004년 11월부터 실시설계가 시작되었으나, 이후 빠르게 추진되지 못하다가 2008년 7월에 실시설계를 마치고 2009년 3월에 착공하여 2016년 9월 9일에 개통되었다[103]. 터널은 총 6개소 4.5 km 가량이, 교량은 22개소 3.7 km 가량이 신설되었다. 이후 현재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제천 분기점까지 개통된 평택제천고속도로를 강원도 삼척시까지 연장하는 것을 구상하고 있으며, 삼척 나들목과 동해 나들목 사이에서 접속하게 될 예정이다.
동해 ~ 강릉 구간 [ 편집 ]
강원도 동해시 동해 나들목에서 강릉시 강릉 나들목까지 연결되는 동해 ~ 강릉 구간은 최초로 건설된 동해 ~ 죽헌 교차로(현재 국도 7호선으로 격하된 구간) 구간을 2004년에 이설하여 개통한 구간이다.
강릉 ~ 현남 구간 [ 편집 ]
강원도 강릉시 강릉 나들목에서 양양군 남양양 나들목까지 연결되는 강릉 ~ 현남 구간은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 이설과 함께 2001년 개통되었다.
현남 ~ 속초 구간 [ 편집 ]
장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통일에 대비한 고속도로망 구축 및 강원도 설악권 및 동해안권 개발의 촉진으로 국토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연장으로, 기존 동해고속도로 북쪽 종점인 남양양 나들목에서 속초 나들목까지 연장하는 계획이다. 1997년 4월에 기본설계가 시작되었으며, 2001년 9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실시설계 후 2004년 12월 착공하였다. 2009년 11월 하조대 나들목까지 구간이, 2012년 12월에 양양 분기점까지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으며, 2016년 11월 24일 잔여 구간인 속초 나들목까지 구간이 개통되었다.[104][105]
고속도로 지정 해제 구간 [ 편집 ]
동해시 천곡동부터 강릉시 죽헌동까지 41.7km 구간은 1973년 11월에 건설된 동해고속도로 구간은 건설 당시 지형 및 경제적 여건상 시속 40km에서 80 km 수준으로 설계되어 선형이 매우 열악하였으며, 왕복 2차로의 도로로 사고의 위험이 공존하였다. 게다가 이설 전까지는 개방식 요금소인 옥계 요금소가 활용되었으며, 강릉 나들목과 초구 나들목, 묵호 나들목을 제외한 나들목이 모두 평면교차로였다. 따라서 기존 동해고속도로의 노선을 단순히 확장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 옥계에서 망상까지의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을 4차로로 신설할 것을 검토하였고[106], 2004년 11월 24일 동해 나들목 ~ 강릉 나들목 41 km 구간이 왕복 4차선 규모로 확장 개통되어 이설 개통했다. 또한 같은날 기존 구간은 고속도로 지정에서 해제되었다.[33]
한편 동해고속도로 이설 전까지 요금은 전 구간 500원이었으나, 이설 후 2,200원으로 인상되었다는 점과 이설된 도로가 강릉 시내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이용이 불편한 점을 이유로 동해 나들목 이용 차량 기준 당초 예상한 7,000대의 30%에 그치고 있다. 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4배 이상 비싼 요금을 내고도 나들목에서 강릉시내까지 진입해야 하므로 오히려 구 동해고속도로인 국도를 이용하는 편이 빠르기 때문이다. 반면에 국도로 전환되어 통행료가 폐지된 구 동해고속도로 구간에는 신설된 동해고속도로 개통 전보다 차량이 2 ~ 3배 늘어 출퇴근 시간대에 교통혼잡이 가중되고 있다[107].
또한 구 동해고속도로 구간은 고속국도에서 지정 해제되어 고속국도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도로교통법상 일반도로 중 편도 1차로는 최고속도를 60 km/h로 제한한다는 규정에 따라 당초 80 km/h에서 60 km/h로 제한속도가 줄어들었다. 그리고 갓길을 차선으로 활용할 경우 편도 2차로의 운행이 가능한 구간이 많아 시민들은 해당 구간의 차로 수를 늘리고, 제한속도를 높일 것을 주장하고 있다[108].
아래 노선은 2004년 도로현황조서 기준으로, 2004년 11월 24일 동해고속도로가 이설되기 전 나들목과 그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구간 과속 단속 [ 편집 ]
같이 보기 [ 편집 ]
부산울산고속도로(주) – 동해고속도로의 구간 중 부산기점 ~ 울산 구간을 운영하는 민자 회사이다.
국도 제7호선 – 한반도의 동쪽 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이어지는 국도로, 동해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이설 후 국도 7호선으로 변경되었다.
장산로 – 동해고속도로 부산기점과 직결되는 부산광역시의 도시고속도로로, 광안대교로 연결된다.
각주 [ 편집 ]
울산광역시 도시경관기록
MY 아카이브
공공누리 표시된 사진에 대하여 사용규정을 위반하여 이용하거나, 특히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여 발생되는 모든 문제와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위 내용을 확인하고 인지하였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울산 포항 고속도로
다음은 Bing에서 울산 포항 고속도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울산포항고속도로 개통 주행영상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울산포항고속도로 #개통 #주행영상
YouTube에서 울산 포항 고속도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울산포항고속도로 개통 주행영상 | 울산 포항 고속도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