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가토 기요 마사 – 임진왜란 일본군 최악의 악귀 가토 기요마사ㅣ임진왜란 부터 세키가하라 까지ㅣ“?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aodaithanhma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aodaithanhma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히스커버리 역사채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84,771회 및 좋아요 2,010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가토 기요 마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임진왜란 일본군 최악의 악귀 가토 기요마사ㅣ임진왜란 부터 세키가하라 까지ㅣ – 가토 기요 마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우리에겐 불구대천 원수
일본에는 축성과 치수의 대가
가토 기요마사의 이야기.
*** 일부 내용에는 이야기의 진행을 돕기위한
개인적 견해와 상상이 반영되었습니다.
– 천하포무 : 무(武)로 세상을 취하겠다 라는 뜻 또는 천하를 무(武)를 통해 난세를 통일하겠다는 뜻.
– 기요스회의 : 오다 가문의 후계 문제 및 영지 재분배를 논하기 위한 회의.
– 시즈가타케 칠본창 : 시즈가타케 전투중 히데요시 진영에서 큰 무공을 세운 7인
후쿠시마 마사노리
가토 기요마사
가토 요시아키
와키자카 야스하루
히라노 나가야스
가스야 다케노리
가타기리 가쓰모토
– 태정대신 : 일본 태정관의 수장.
중앙 정부를 구성하는 세명의 장관중 으뜸. (좌대신, 우대신, 태정대신)
– 다이묘 : 일본 헤이안 시대 말기에서 중세에 걸쳐 많은 영지를 가졌던 봉건 영주.
무사계급으로 그 지방의 행정, 사법, 징세권을 가졌다.
#가토 기요마사
#임진왜란
#정유재란
가토 기요 마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가토 기요마사 – Encyves Wiki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측근 장수로, 그를 따라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때에 제2군 장수로 조선을 침략했다. 한성에 입성한 후 …
Source: dh.aks.ac.kr
Date Published: 9/1/2022
View: 8883
임진왜란 왜장 가토의 조선 호랑이 사냥 증거 나왔다 – 한겨레
대표적인 인물이 고니시 유키나가와 함께 조선 침략 선봉에 섰던 가토 기요마사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보약으로 먹겠다며 장수들에게 조선 호랑이 …
Source: www.hani.co.kr
Date Published: 11/25/2022
View: 3908
조일전쟁에서 고니시 유키나가와 가토 기요마사의 갈등 문제
이 논문에서는 조일전쟁 (1592-98) 당시 일본 육군의 두 주력부대 인 제1군과 제2군의 사령관이었던 고니시 유키나가와 가토 기요마사 사이에 있었던 갈등의 양상을 …
Source: www.earticle.net
Date Published: 2/5/2022
View: 681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가토 기요 마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임진왜란 일본군 최악의 악귀 가토 기요마사ㅣ임진왜란 부터 세키가하라 까지ㅣ.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가토 기요 마사
- Author: 히스커버리 역사채널
- Views: 조회수 184,771회
- Likes: 좋아요 2,010개
- Date Published: 2021. 10. 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DmBNLMkJU4c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토 기요마사(일본어: 加藤 清正 かとう きよまさ[*] , 에이로쿠 5년 음력 6월 24일(1562년 7월 25일) ~ 게이초 16년 음력 6월 24일(1611년 8월 2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이다. 다른 6명의 무장들과 더불어 시즈가타케의 칠본창(일본어: 賤ケ岳七本槍)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통칭은 도라노스케(일본어: 虎之助/虎之介). 축성술이 뛰어나고 호랑이 사냥을 좋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출처 필요] 임진왜란 때 제2군 사령관이었고 정유재란 때에도 참전하였다. 세키가하라 전투 시기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측인 동군 소속이 되어 전후 구마모토번 초대 번주가 되었다. 구마모토에선 세이쇼 공님(일본어: 清正公さん)이라 부른다.
생애 [ 편집 ]
기요마사는 어린 시절(3세)에 부친 가토 기요타다(加藤清忠)를 여의고 편모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모친은 이토(伊都, 오만도코로의 4촌 여동생이자 히데요시의 6촌 여동생)이다. 어린 시절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이던 도요토미 히데요시 밑으로 들어가 많은 전투에 참가해 크고 작은 전공을 세웠다.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에서는 ‘시즈가타케의 7자루 창’ 중 한 명으로서 적장을 죽인 공을 인정받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3,000석 영지를 하사받는다.
1585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관백이 되자 주요 신하로 기용되고서 규슈 정벌에서 공을 세웠다. 1587년에는 규슈의 히고 남부 지역을 관할하는 25만 석 다이묘로 임명되었다. 가토 기요마사가 애용했던 무기는 가타가마야리(片鎌槍)이고 일생 자신의 상징으로서 길다란 모양의 특이한 투구를 애용했는데 장신인 몸을 더 돋보이기 위해서라고도, 혹은 작은 키에 대한 콤플렉스가 있어 커 보이고자 모자를 애용했다.[출처 필요]
1592년 임진왜란 때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제2군 장수로서 휘하에 나베시마 나오시게, 사가라 요리후사를 이끌고 제1군 고니시 유키나가와 합세하여 조선을 침략하였다. 조선의 동북측 함경도로 진격로를 선택하여 북진하였고 전쟁 초반 조선의 왕자인 임해군과 순화군을 생포한 가토 기요마사는 점령지인 함경도에서 호랑이 사냥을 자주 하였으므로 사람들이 가토 기요마사를 호랑이 가토(虎加藤)라고 불렀다.[출처 필요]
그 후 고니시 유키나가와 반목하고 명군과 조선 의병과 조선 관군의 강력한 반격에 밀려 전황이 날이 갈수록 왜군에게 불리해져 남으로 후퇴하여 서생포 인근으로 근거지를 옮겼다. 1593년에는 서생포왜성을 완성하고 중요 거점으로 삼았다. 사신으로 온 사명대사(惟政)와 회담을 할 때 “당신의 목이 조선 제일의 보배다”라는 말을 듣고 크게 웃기도 하였으며 이후 사명과 강화회담(講和會談)을 주로 진행하였다.
1596년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서 귀환을 명령받고 왜로 돌아가지만, 1596년 지진이 났을 때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도운 공이 인정되어 1597년 정유재란 때 제1군 사령관(2군 사령관)으로 왜선 300여 척을 이끌고 조선을 재침하게끔 명령받았다. 정유재란 시에는 전라도 지역을 주로 공격하였다.[1] 가토 기요마사는 울산에 지구전을 전개할 축성하고 울산성 전투에서 농성하였으나 명과 조선연합군에게 포위당하여 우물의 식수가 차단되어 식량과 식수 부족으로 병사 대다수가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갈증과 아사로 죽어갔다. 가토 기요마사도 말을 잡아 그 피를 마셔 죽을 고비를 겨우 넘기는 과정[출처 필요]에서 함께 참전한 고니시 유키나가, 이시다 미쓰나리를 위시한 문치파와 계속 대립하여 내분을 빚었다. 1598년이 되자 서생포왜성이 명 제독 마귀에 의해 함락되었고 결국 태합 히데요시가 죽자 일본군 전 병력을 일본으로 철수하였다.
귀국 후 후쿠시마 마사노리, 호소카와 다다오키와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의 가택을 습격하였으나 살해에는 실패하였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동군에 가담하여 승전보상으로 옛 고니시 유키나가의 영지를 수여받았다. 또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양녀와 혼인하고 울산성의 교훈으로 구마모토성을 건설하였다. 1611년 도요토미씨의 당주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오고쇼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화친을 알선하고 돌아오던 중 병으로 6월 24일 구마모토 성에서 5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관련 문화 [ 편집 ]
구마모토와 가토 기요마사 [ 편집 ]
임진왜란 종전 후 가토 기요마사는 구마모토번 초대 번주가 되었다. 일본 삼대 명성으로서 유명한 성 중 하나로 운위되는 구마모토 성을 1607년 축성하였는데 울산왜성 전투에서의 일을 교훈 삼아 성내에 우물을 120개가 넘게 만들고 다다미도 식용이 가능한 고구마 줄기를 재료로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이 구마모토성을 중심으로 마을을 정비하고 치산, 치수, 산업을 장려하여 현재 구마모토시의 기초가 되었다. 덧붙여 말하면, 일본 3대 성은 가토 기요마사와 도도 다카토라가 축성한 성 중에 구마모토성, 나고야성, 오사카성을 운위하고 나고야성 천수대(천수각) 밑에는 기요마사의 돌이라고 불리는 큰 돌이 있다.
민요의 원류 [ 편집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일신보」는 경상도의 대표적 민요 중 하나인 쾌지나 칭칭나네가 가토 기요마사의 성명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였다.[2] 임진왜란 당시 철수하는 왜군을 보고 사람들이 쾌재라 청정이 나가네라고 한 환호에서 변형되었다고 하며, 임동권이 지은 『한국민요집1』에서도 진주 지방에서 가토 기요마사를 철수하게끔 하는 내용을 담은 쾌지나 칭칭나네 수록본이 있다.
관련 작품 [ 편집 ]
소설 [ 편집 ]
드라마 [ 편집 ]
일본
한국
각주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
충무공 이순신
일본의 장수로 1562년 나카무라[中村]에서 출생하였으며, 아명(兒名)은 가토 도라노스케[加藤虎之助]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와는 6촌간으로, 3세 때 아버지를 잃고 홀어머니 아래서 성장하였다. 어렸을 때부터 히데요시의 시동을 지내며 많은 전투에 참가해 전공을 세웠다.
시즈가타케 전투[賤ヶ岳の合戰]에서는 뛰어난 활약으로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正則], 가토 요시아키[加藤嘉明] 등과 더불어 ‘시즈가타케의 칠본창(七本槍)’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히데요시의 전국통일 이후 규슈[九州]의 히고[肥後] 남부에서 25만 석의 다이묘[大名]로 임명되었다. 배를 타고 건너오는 가토 기요마사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함경도 방면으로 출병하여 조선의 왕자 임해군과 순화군을 포로로 잡는 등 맹활약하였으나 울산싸움에서 죽음의 위기를 겪기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함께 참전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 등과 갈등을 빚었다.
1598년 히데요시가 죽고, 섭정을 맡았던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와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 간에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關ケ原戰鬪]에서 동군(東軍)인 이에야스 측에 참전하여 고니시 유키나가의 우토성(宇土城)을 함락시켰다.
이후 구마모토[熊本] 대영지(大領地)의 세습영주가 되어 7년에 걸친 대공사 끝에 오사카성[大阪城], 나고야성[名古屋城]과 함께 일본의 3대 명성(名城)으로 꼽히는 구마모토성을 축조하였으며, 정치가로서도 능력을 발휘하다가 1611년 8월 2일 사망하였다.
Encyves Wiki
Encyves Wiki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Wikimedia Commons』online . File:Kato kiyomasa.jpg “, 대표명칭 가토 기요마사 한자표기 加藤淸正 생몰년 1562년-1611년 이칭 가등청정(加藤淸正), 호지조(虎之助), 가토 도라노스케(加藤虎之助) 유형 일본인
정의
임진왜란 당시 왜군 장수로, 조선을 침략한 일본의 무장.[1]
내용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측근 장수로, 그를 따라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때에 제2군 장수로 조선을 침략했다. 한성에 입성한 후 함경도로 전진하여 임해군과 순화군 두 왕자와 그 일행을 인질로 잡았다. 강화교섭기에는 울산에 주둔하며 조선의 사명대사 유정(惟政)과 교섭하기도 했다. 강화교섭 결렬 후 조선을 다시 침략했다. 조명연합군이 그의 진지인 울산성을 공격한 울산성 전투에서 고전하기도 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 관원 전투) 때는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동군에 속하여 구주(九州)에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성을 공격했다.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강한 경쟁심을 품고 있었으며 두 사람은 임진왜란과 세키가하라 전투 때까지 지속적으로 갈등관계였다고 알려져 있다. 자신의 영지 구주(九州) 웅본(熊本) 지역에서는 축성술과 치수로 이름을 남겼다.[2]
유정과의 회담
1594년 4월 명나라의 심유경(沈惟敬)과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협상과는 별도로 유정은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와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를 이간시키려는 계책의 주역을 맡게 되었다. 이때 처음으로 유정은 송운(松雲)이라는 법명으로 서생포(西生浦) 왜성을 찾아 가토 기요마사와 회담을 네 차례 진행했다.[3] 제1차 회담은 1594년 4월 13~16일 서생포 일본 본진에서 열렸는데 강화 5조약으로 제시된 ①천자와 결혼할 것 ②조선 4도를 일본에 할양할 것 ③전과 같이 교린할 것 ④왕자 한 명을 일본에 보내 영주하게 할 것 ⑤조선의 대신 및 대관을 일본에 볼모로 보낼 것 등을 하나하나 논파했다. 제2차 회담은 1594년 7월 12~16일, 제3차 회담은 1594년 12월 23일, 제4차 회담은 1597년 3월 18일 열렸는데, 이때도 대표로 나아가 강화 5조약의 모순을 지적하여 적들의 죄상을 낱낱이 파헤쳤다. 제2차 회담에서 가토 기요마사는 담판의 주요 부분이 결렬되자 유정에게 빈정거리며 “귀국에도 보물이 있소?”라고 물었다. 그에 유정은 “우리나라에서는 귀하의 머리를 금 천 근과 읍(邑) 만 호(戶)를 주고 산다고 하오. 이러한 막중한 것이 어찌 보배가 되지 않겠소” 라고 호방하게 맞받아쳤다고 한다.[4]
甲午年 봄 總司令官인 劉挺의 命으로 스님은 釜山鎭營인 蔚山 西生浦로 세 번 찾아가서 倭將 加藤淸正을 만나 대화하면서 敵情의 자세한 內容을 파악하였다. 이 때 淸正이 탐욕스러운 눈으로 “朝鮮에 貴重한 보물이 있는냐?”고 물었다. 스님은 소리를 높여 대답하되 “우리 나라에는 보배가 없고, 귀한 보물은 日本에 있다.”고 하였다. 청정이 “무슨 말입니까?”라 하자 스님이 말씀하되 “지금 우리 나라에서는 당신의 머리를 가장 귀한 보물로 보고 모두 노리고 있으므로 보배가 日本에 있다고 한것입니다.”라 하였다. 이 말을 들은 淸正이 깜짝 놀라면서 스님의 法力과 愛國精神에 감탄하였다. 출처:
지식 관계망
사명대사 유정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가토 기요마사 임진왜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도산성 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도요토미 히데요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고니시 유키나가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유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곽재우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분충서난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이순신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원균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가토 기요마사 일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임진왜란 왜장 가토의 조선 호랑이 사냥 증거 나왔다
거상에게 보낸 “가죽 선물로 보낸다” 편지 새로 발굴
도요토미 “보약 호랑이 고기 소금에 절여 보내라” 명령에
왜장들 경쟁적으로 조선 호랑이 사냥 상황 보여줘
가토 기요마사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왜군 장수들은 조선의 호랑이를 경쟁적으로 죽였다. 대표적인 인물이 고니시 유키나가와 함께 조선 침략 선봉에 섰던 가토 기요마사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보약으로 먹겠다며 장수들에게 조선 호랑이 고기를 소금에 절여서 보내라고 명령했고, 실제로 가토는 명령에 따랐다. 임진왜란의 슬픈 역사 한 장면인 가토의 호랑이 사냥을 증언하는 새로운 자료가 일본에서 나왔다.
은 가토의 조선 호랑이 사냥을 시사하는 내용이 적힌 편지가 새로 발굴됐다고 2일 전했다. 이 편지는 가토가 다이묘(19세기 말까지 일본 각 지방에서 권력을 행사했던 봉건영주들)에게 돈을 빌려줄 정도의 재력이 있던 한 상인에게 보낸 것으로 “호랑이 가죽 1개와 큰 그릇 10개를 선물로 보낸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편지를 보낸 시기는 정유재란 이후 17세기 초반으로 추정된다. 상인의 자손이 대대로 내려오는 문서 70점을 최근 교토부에 기증했고, 교토문화박물관의 니시야마 쓰요시 학예원이 문서 내용을 조사하는 중에 이런 내용이 밝혀졌다. 구마모토현립미술관 야마다 다카시 학예원은 이 신문에 가토가 상인에게 호랑이 가죽을 보낸 것에 대해서 “가토의 호랑이 사냥이 도요토미 정권 내에서 꽤 알려져서, (가토와) 가까운 사람들 귀에도 들어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에서 호랑이뿐만 아니라 수많은 조선인을 죽였던 가토는 정유재란 뒤 일본으로 돌아갔다. 도요토미 사후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에 섰다. 이 때문에 도쿠가와 막부가 들어선 뒤에도 구마모토번의 다이묘가 되었다. 다만 도쿠가와 막부가 아들인 다다히로의 영지를 몰수하면서, 가토 가문의 구마모토 지배는 2대로 끝났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email protected]
조일전쟁에서 고니시 유키나가와 가토 기요마사의 갈등 문제
목차
요약
1. 서론
2. 제1군(고니시 유키나가) 과 제2군(가토 기요마사)의 비교
3. 왜 고니시 유키나가가 제1군이 되었는가?
4. 일본군의 한성입성과 한성회의
5. 고니시와 가토의 갈등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에 대한 정보 가토 기요 마사
다음은 Bing에서 가토 기요 마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임진왜란 일본군 최악의 악귀 가토 기요마사ㅣ임진왜란 부터 세키가하라 까지ㅣ
- 가토기요마사
- 임진왜란
- 정유재란
- 일본군
- 역사
- 이순신
- 정문부
- 규슈
- 전쟁
- 가토
임진왜란 #일본군 #최악의 #악귀 #가토 #기요마사ㅣ임진왜란 #부터 #세키가하라 #까지ㅣ
YouTube에서 가토 기요 마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임진왜란 일본군 최악의 악귀 가토 기요마사ㅣ임진왜란 부터 세키가하라 까지ㅣ | 가토 기요 마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