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 택트 시대 | [스마트라이프] 코로나19가 바꿔놓은 문화 ‘언택트’ / Ytn 사이언스 최근 답변 20개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언 택트 시대 – [스마트라이프] 코로나19가 바꿔놓은 문화 ‘언택트’ / YTN 사이언스“?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aodaithanhma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aodaithanhma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YTN 사이언스 투데이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5,088회 및 좋아요 6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언 택트 시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스마트라이프] 코로나19가 바꿔놓은 문화 ‘언택트’ / YTN 사이언스 – 언 택트 시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 이요훈 / IT 칼럼니스트
[앵커]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일상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언택트 문화’인데요. 오늘 ‘스마트 라이프’ 시간에서 언택트 문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T 칼럼니스트 이요훈 씨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접촉은 피하면서 소비는 이어가는 ‘언택트 문화’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주로 어느 분야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을까요.
[인터뷰]일단 언택트라는 말이 콘택트라는 말의 반대말로서 떨어져 있다는 의미인데요. 이 말이 처음 쓰일 때는 무인화라는 의미로 좀 많이 쓰였습니다. 무인 키오스크나 아니면 패스트 푸드점, 무인 편의점 이런 부분에서 좀 많이 쓰였는데 최근에는 많은 분들이 집에서만 있게 되면서, 좀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된 것 같습니다.
인터넷 쇼핑이나 배달, 원격 근무, 원격 학습같이, 직접 만나지 않는 활동을 다 합쳐서 언택트 문화라고 부르는 거죠. 일종의 ‘사회적 거리 두기’로 지금까지와는 좀 결이 다르게 빠르게 우리 일상에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스마트 라이프나 원격 생활 정도가 더 적당한 말이 아닐까, 싶긴 하지만 말입니다.
[앵커]사실 우리가 배달 앱을 통해서 음식을 주문한다거나 온라인으로 장을 보거나 혹은 원격 교육을 받는 것과 같은 이런 언택트 문화는 기존에도 원래 있었잖아요. 최근 이렇게 언택트 문화가 다시 확산하는 데에는 아무래도 코로나19의 영향이 있는 것 같아요.
[인터뷰]그렇습니다. 이미 해왔던 일인데요. 이번에 강제로, 어쩔 수 없이 이런 생활을 하면서 이용자가 좀 많이 늘어났습니다. 지금 중국에선 상당수가 원격 수업, 원격 근무가 이뤄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국내 대학 같은 경우에도 사실상 등교가 무기한 연기된 상태거든요. 적게는 1~2주, 길게는 4주 정도를 온라인으로 수업하게 되었는데요.
인터넷 강의야 원래 듣던 거지만, 원래 강의실에서 듣던 수업을 어쩔 수 없이 인터넷으로 들어야 하는 경우는 처음 있는 그런 일입니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다른 사람과 만나는 걸 꺼리게 됐고, 이런 불안감으로 만남을 피하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활동을 다 통틀어 ‘언택트 문화’라고 부르게 됐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자연스럽게 직접 접촉이 있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그런 시장 규모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고 반대로 이커머스나 온라인 시장의 매출은 상당히 뛰고 있다고 들었는데요. 실제로 온라인 주문이 얼마나 늘었나요?
[인터뷰]이번에 온라인 유통기업 이베이코리아에서 조사를 했습니다. 지난 1월 20일부터 3월 3일까지 G마켓과 옥션의 판매 데이터를 분석했는데요. 작년 같은 기간 상품 판매량을 비교해본 결과 성장 폭이 큰 품목이 마스크와 손 소독제 등 건강 의료용품의 판매량이 전년 대비 7배 가까이 (598%) 급증했다고 하는데요.
또, 화장지나 세재 등 생필품 판매는 41%, 식품은 21%, 육아용품도 15% 정도가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1년간을 쭉 보면 온라인 생필품 주문이나 배달 음식 주문 자체는 계속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었거든요. 이런 상황은 염두를 해두셔야 할 것 같고요. 특히 주문하면 당일이나 새벽에도 배송해주는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정말 많은 분들이 자연스럽게 이미 쓰고 계셨습니다.
다만 평소에 이런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분들도 이번에 이용하시게 된 건 맞고요. 그렇기 때문에 늘어났다고 볼 수 있을 것 같고 저한테도, 연세가 있으신 분들이 인터넷 쇼핑하는 것 좀 가르쳐 달라고…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u0026s_hcd=0018\u0026key=202003091618314926

언 택트 시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언택트를 넘어 온택트 시대, 우리나라의 변화 – Newline Interactive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소비 트렌드가 변화하면서 온택트 시대로 점차 변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온택트(Ontact)는 Untact와 On의 …

+ 더 읽기

Source: newline-interactive.com

Date Published: 9/24/2022

View: 5935

언택트 시대, 그리고 우리 교육의 균형점

언택트 시대, 그리고 우리 교육의 균형점. 글 계보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정책연구부장. 유네스코가 지난 4월 198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새로운 학기 …

+ 더 읽기

Source: happyedu.moe.go.kr

Date Published: 11/27/2021

View: 4211

언택트를 넘어 이제는 온택트 시대 – 네이버 블로그

언택트가 대면 없이 구매와 소비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했다면, 온택트는 대면을 최소화하며 온라인을 통해 소통하는 것을 말합니다. 온택트는 우리 사회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1/23/2022

View: 2396

코로나가 사라져도 온택트는 계속된다

에서 비접촉(언택트, Untact) 문화로 바꾸자는 이야. 기가 많이 나왔다. … 무의 시대가 올 거란 예측이 언제나 제기됐지만 변화가. 글 하재근 문화평론가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occa.kr

Date Published: 2/3/2021

View: 6404

‘언택트’와 ‘온택트’ … 그 빛과 그림자 – 생명보험협회

코로나 사태 이후 시대를 상징하는 키워드로 부상해 ‘비대면 경제(Untact economy)’라는 … 지금 언택트 시대의 당면 문제는 고령층의 소외감이 심화된다는 점이다.

See also  신일 제약 주가 | 신일제약(012790)_종목 상담_김현구의 주식 코치 2부 (20220115) 상위 270개 베스트 답변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lia.or.kr

Date Published: 1/23/2022

View: 484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전환과 언택트 혁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전환과 언택트 혁신. 최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신산업전략연구단장 … 었으나, 언택트 기술을 중심으로 비대면・비접촉을 가능.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stepi.re.kr

Date Published: 6/28/2022

View: 3565

[비즈 트렌드] 언택트 시대!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소비 트렌드는?

언택트(Untact): 접촉하지 않고 연결하는 디지털 기술 – 언택트 소비.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소비 심리가 줄고 소비 행태의 변화가 뚜렷해졌습니다.

+ 더 읽기

Source: www.hyosungfms.com

Date Published: 6/17/2022

View: 8632

[보고서]언택트 시대, 세계 각국의 ICT 개발 및 정책

1. 개요 코로나19로 인한 산업 전반의 거센 변화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국내 ICT 무역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의 경제활동 위축으로 대 …

+ 여기를 클릭

Source: scienceon.kisti.re.kr

Date Published: 6/23/2021

View: 447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언 택트 시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스마트라이프] 코로나19가 바꿔놓은 문화 ‘언택트’ / YTN 사이언스.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스마트라이프] 코로나19가 바꿔놓은 문화 '언택트' / YTN 사이언스
[스마트라이프] 코로나19가 바꿔놓은 문화 ‘언택트’ / YTN 사이언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언 택트 시대

  • Author: YTN 사이언스 투데이
  • Views: 조회수 15,088회
  • Likes: 좋아요 69개
  • Date Published: 2020. 3. 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RPEP_Hf0Ims

언택트를 넘어 온택트 시대, 우리나라의 변화

문화

문화 업계도 온라인 공연, 전시회, 페스티벌 등을 개최하면서 여러 사람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그 덕분에 지리적으로 멀리 위치한 사람들도 부담감 없이 원하는 시간에 온라인으로 페스티벌을 즐기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그리고 직접 나가되 차에서 내리지 않고 즐길 수 있는 드라이브 스루 문화생활도 증가하였는데요. 실제로 크라운해태제과는 조각 작품을 전시하는 드라이브 스루 견생 작품전을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이 밖에도 드라이브 인 콘서트, 드라이브 잇 쇼, 드라이브 스루 마켓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생활이 증가하고 있답니다.

언택트 시대, 그리고 우리 교육의 균형점

언택트 시대, 그리고 우리 교육의 균형점

글 계보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정책연구부장

유네스코가 지난 4월 198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새로운 학기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으로 전 세계 학생의 91%인 16억 명이 등교하지 못하고 가정에 머물렀다. 감염병의 확산은 전 지구적으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이의 관계를 맺는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관계에 기초한 사회적 자산을 전수해온 전통적 학교교육의 체제적 변화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대면 수업의 전면적인 대체제로서 등장한 원격수업은 학습을 위한 필수적 환경과 도구로서 테크놀로지의 활용 외에도 온라인상의 학습에 대한 시수(학점) 인정 등의 제도적 측면에서부터 비대면 수업을 위한 새로운 교원의 역량 개발, 가정의 학습 지원 책임 강화에 이르기까지 불가피한 교육체제의 변화를 압박하고 있다.

원격수업 기간 진행된 수업유형

급작스러운 사회적 요구 속에서 시작된 원격교육은 두 달여 남짓이 흐르면서 멈춰진 학교가 다시 돌아갈 수 있는 대안으로 교육 현장에 조금씩 자리매김하고 있다. 온라인 개학으로 시작된 원격교육 기간 학교와 가정에서는 어떠한 수업이 이루어졌을까? 실시간 토론 및 소통 등 즉각적 피드백을 장점으로 하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 미리 녹화된 강의자료로 학습을 하는 강의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과 강의형 수업에 더해 부가적인 학습 활동을 하는 강의+활동형 콘텐츠 활용 수업, 교사가 제시한 온라인 과제를 수행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제 수행 중심 수업 등 다양한 유형의 수업이 제안된 가운데, 학교 현장에서는 2개 이상의 혼합형 수업을 했다는 응답이 43.3%로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 방식에 있어서는 과제 수행 중심 수업과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을 혼합한 형태가 82.1%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1 <그림1>.

학습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이 필수화되면서 실제 학교에서는 각 유형별로 다양한 IT 플랫폼과 콘텐츠의 활용이 일상화되었는데, 교육부의 온라인 개학 발표 이후 SNS 기반 공개 교사 커뮤니티에 게시된 ‘온라인 개학’, ‘원격수업’ 관련 게시물(426건)과 댓글(2,420건)을 대상으로 한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2 와 원격교육 현장 지원 교사로 구성된 1만 커뮤니티 소속 교사 48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업도구 활용 실태 3 를 수업유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그림2·3·4>.

다이어그램과 그래프를 통해 살펴볼 수 있듯이 각각의 수업유형별로 현장이 고민하고 있는 지점이 상이하며, 공공 콘텐츠에서 민간 콘텐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도구와 콘텐츠가 쓰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목할만한 점은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에 있어 교사가 스스로 제작한 콘텐츠의 활용 비율이 47.8%로 나타나 거의 과반에 이르고 있는데, 이는 교사들이 수업 준비에 직접적 부담 요인으로 보이며, 1차시 원격수업 준비에 소요하는 시간이 평균적으로 최소 1~2시간(33.7%)에서 3시간 이상(33.7%)인 교사들의 비율도 높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

한편, 1만 커뮤니티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원격교육의 유형별 효과성 인식결과, 강의+활동형 콘텐츠 활용 수업이 평균 4.21점으로, 강의형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이나(평균 3.99), 실시간 쌍방향 수업(3.95), 과제 중심 수업(평균 3.78)보다 일정부분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의 위기대응 상황에서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 실시간 쌍방향 수업보다는 학생들의 학습 속도와 환경에 따라 더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는 강의+활동형 콘텐츠 활용 수업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OECD 98개국 교육전문가, 코로나 위기 속 가장 어려웠던 과제는?

OECD가 98개국의 교육입안자·전문가를 대상으로 코로나 위기 기간 내에 가장 해결이 어려운 과제가 무엇인가를 조사한 결과 4 △학생들의 학업의 연속성 보장 △독립적인 공부를 위한 기술이 부족한 학생들에 대한 지원 △교사들을 위한 지원 △학습 평가의 연속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것 △부모와 양육자들의 학생 학습 지원 등이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부가 지난 4월 교육 수요자인 학부모 2,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조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학부모 10명 중 6명(64%)은 지난 한 달여 간 원격수업이 자녀 학습 결손 예방에 도움이 되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가정 내 학습과 생활을 지도할 사람의 부족(49%), 접속 지연 등 원격수업 오류 발생 시 즉각적인 해결의 어려움(23%) 등을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을 통해 교사 224,894명이 꼽은 원격수업의 제약점도 학생 출결 확인의 어려움(56.6%), 수업 자료 제작에 있어 저작권 침해의 우려(41.3%), 수업 준비 시간 부담(42.2%)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 교사들을 위한 전문적 지원, 조언과 더불어 보다 구체적인 부분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이 드러났다.

그러나 위기상황에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와 애로사항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앞선 조사에서 98개국의 리더들은 위기상황에서 예기치 않았던 긍정적 측면으로 △기술과 혁신적인 해결책을 도입할 수 있고 △학생들의 학습 자율성이 증가하였으며 △부모의 개입과 협력이 강화되는 등 긍정적 측면도 발견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팬데믹 경험은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하는 기폭제

이 밖에도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의료 등 교육과 다른 분야와의 협력 증가, 교사들의 교육 자율성 증가, 세계시민 의식과 관련된 학습 기회 제공,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십 강화 등이 미래 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앞당기는 긍정적 시그널이 되고 있다.

인식적 측면에서 팬데믹의 경험은 수업의 질에 대한 이슈를 떠나 면대면 수업의 전면적 대체제로서 테크놀로지에 순수 의존한 원격교육이 가능하다는 선례를 모든 교사와 학생 학부모들에게 남겼다. 이는 현 면대면 수업에 무게 중심이 기울어져 있는 학교체제의 중심을 상당 부분 온라인과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다.

코로나 이전에도 개개인의 생애 설계(life-design)를 위한 역량 개발, 지역의 사회문화적 랜드마크의 역할을 하는 중심학습센터, 나아가 학교에서만의 학습이 아니라 내가 살고 있는 도시 혹은 마을 전체가 학습공간이자 자원이 되는 학교(City/Town as a extended school) 등 학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는 끊임없이 지속해왔다. 그러나 온라인 개학을 정점으로 집합 교육의 이데올로기를 대변해 온 학교 교육의 정체성과 존재 가치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재인식은 혁신적 교육모델에 대한 심리적 진입장벽을 낮춰 학교 교육의 모델을 더욱 다원화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아울러 비록 사회에 내재해있던 불평등과 격차였을지라도 이번 원격교육의 경험을 통해 드러난 △가정에서 직접 교육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부모의 지원 차이 △원격으로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교의 역량 차이 △자기주도적으로, 혹은 온라인으로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생의 탄력성 차이 등(OECD, 2020)으로 귀인되는 교육격차의 문제 해소를 위한 교육의 공공성 강화에 대한 논의가 더욱 진정성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두 달여가 지난 지금에도 각국은 점진적으로 학교 재개교를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시대가 아닌 어쩌면 코로나와 함께 살아가야 할지도 모르는 일상, 우리 교육의 균형점은 대면이든 비대면이든 배움을 위한 진정한 소통을 놓지 않는 모두의 노력에서 시작될 것이다.

언택트를 넘어 이제는 온택트 시대

온택트 현상에 부응하기 위한 기업들의 발걸음도 빨라졌습니다. 특히 식품업계의 움직임이 인상적인데요. 젊은 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플랫폼인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개성있고 신선한 마케팅이 눈길을 끕니다.

관련 업체들은 각 사의 제품과 재미 요소를 결합한 다양한 콘텐츠를 만드는가 하면, 꿀팁 등의 정보성 콘텐츠를 마련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소비자들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온택트 마케팅의 핵심은 바로 소비자와의 소통입니다. 치킨업체 ㄱ사는 자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브랜드 및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영상을 올리고 있으며, 오해를 해소하기 위한 영상 시리즈도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직원 또는 관련 인물이 직접 나선 온택트도 눈에 띄는데요. 식품 전문업체 ㅇ사는 회장과 회장의 딸이 유튜브에 출연해 자사 제품을 활용해 만든 음식과 일상을 공유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재벌’이라는 선입견에서 벗어난 소탈한 일상과 다정다감한 부녀의 모습이 시청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해당 영상은 8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할 정도로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비즈 트렌드] 언택트 시대!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소비 트렌드는?

모든 것이 멈춰선 세상 속에서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는 요즘입니다. 함께 둘러앉아 밥을 먹고, 서로 손을 맞잡고 자유롭게 길을 걷던 평범한 일상들이 마치 먼 옛날처럼 느껴지는데요. 끝이 보이지 않는 코로나19의 긴 터널을 지나며 사람들은 이제 ‘위드(With) 코로나’의 자세로 기존과는 확연히 달라진 오늘을 살아갑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과거의 표준이 더 이상 통하지 않고 새로운 가치가 변화를 주도하는, 이른바 뉴노멀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것인데요. 특히, 생산 및 소비 등 여러 다양한 경제활동이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재구성되면서 소비 트렌드 역시 급속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기업들도 달라진 소비 심리에 주목하며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빠른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그럼, 지금부터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소비 트렌드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언택트(Untact): 접촉하지 않고 연결하는 디지털 기술 – 언택트 소비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소비 심리가 줄고 소비 행태의 변화가 뚜렷해졌습니다. 외출이 적어지면서 직접 매장을 찾기보다 온라인으로 상품을 주문해 배달받는 언택트 소비가 급증했죠. 판매자와 소비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언택트 소비의 증가는 ‘e-커머스’ 업체의 매출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이와 함께 영상으로 상품을 소개하고 채팅으로 대화를 나누며 구매를 유도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도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언택트 기술은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비대면 판매시스템인 ‘키오스크’, 앱으로 미리 주문이 가능해 줄을 서지 않아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사이렌 오더’ 등으로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데요. 영화관이나 패스트푸드점, PC방, 각종 매표소, 커피 전문점 등에 도입된 언택트 소비 패턴은 편리함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무인 편의점, 로봇 바리스타, 무인 스터디카페 등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무인으로 운영되는 상점도 속속 선보이고 있죠. 이와 같은 언택트 소비는 편리함과 비대면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변화된 소비 심리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홈코노미(Homeconomy): 집콕 생활을 위한 신개념 라이프 스타일 – DIY 소비

집에서 지내는 시간이 늘면서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은 바로 스마트폰 사용 시간입니다. 특히, 모바일 TV나 동영상 스트리밍 시청 등 미디어 접속 시간이 확연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와 함께 집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즐거움을 추구하는 경향도 보입니다. 배달 음식이나 신선 식품 등의 판매량이 증가했으며, 집콕 생활이 놀이문화로 발전하면서 홈쿡이나 홈캠핑, 홈트레이닝, 홈카페 등과 관련된 다양한 상품에 대한 관심도 늘어났습니다. 또, 혼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DIY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데요. 간편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밀키트 제품이나 반조리 가정 간편식을 비롯해 전문 기사가 방문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DIY 가구, 혼자서도 관리가 가능한 렌탈 정수기, 바리스타가 아니어도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커피머신 등에 대한 판매가 늘고 있습니다. 점점 더 익숙해져 가는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앞으로도 집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DIY 제품들이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로컬리즘(Localism): 편안한 단절, 거리두기로 안전하게! – 동네 소비

언택트와 온라인은 이미 이전부터 떠오르고 있던 소비 트렌드였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소비 트렌드의 지형이 근본적으로 변화하면서 소비 시장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오프라인 유통채널은 ‘대량 소비’와 ‘근거리 소비’를 중심으로 경쟁력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자주 외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한 번에 많은 양을 사두거나 북적거리는 대형 마트를 피해 가까운 동네 마트나 편의점을 자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소비 경향은 사회적 거리 두기가 장기화되면서 점차 강화되는 추세인데요. 최근에는 편의점에서 도보로 도착할 수 있는 배송지까지 상품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도 등장했습니다. 코로나19로 멀리 나가기보다는 집 근처 마트나 편의점에서 그때그때 꼭 필요한 소비만 하는 변화된 소비 패턴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동과 대면을 줄이는 근거리 소비 방식은 앞으로도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이프티(Safety): 불안을 다독이는 나만의 헬스케어 – 안심 소비

그 어느 때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요즘, 소비자들이 최우선으로 여기는 것은 역시 건강과 안전입니다. 이에 따라 마스크나 손 소독제 등의 위생용품은 물론, 일상생활 속에서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스마트한 가전제품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휴대가 간편한 마스크 걸이용 목걸이, 손 소독제로 활용할 수 있는 물티슈 등 이젠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위생 제품과 관련된 다양한 아이디어 상품까지 출시했습니다.

또한, 건강관리에 특화된 가전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기 오염의 불안감을 해소해주는 공기청정기는 물론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인덕션, 옷의 유해 세균을 살균하고 냄새를 없애주는 의류관리기, 집에서도 효과적인 마사지를 즐길 수 있는 안마의자 등의 판매량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확산됨에 따라 위생 제품을 구매하는 행위만으로도 불안감을 덜고, 건강관리 가전제품을 활용해 좀 더 스마트한 집콕 생활을 유지하려는 소비자들의 달라진 소비 심리를 보여주고 있는 것인데요. 사업자라면 이러한 건강한 삶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비대면 소비문화로 연결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낼, 보다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겠습니다.

플렉스(Flex): 코로나 블루를 극복하는 ‘코로나 플렉스’ – 가심비 소비

코로나19 이후 오랜 격리와 사회생활의 단절로 느끼는 무기력과 불안, 우울감으로 정신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이른바 ‘코로나 블루’라고 불리는 이러한 현상에 경제 불황까지 겹치면서 소비자들의 소비 트렌드에도 큰 변화가 생겼는데요. 바이러스를 피하기 위한 ‘생존 소비’와 함께 나를 위한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는 ‘가심비 소비’가 새로운 소비 흐름으로 나타났습니다. 생필품은 되도록 싼 가격에 구매하고 싶어 하지만, 나만의 작은 행복을 추구하는 취미나 체험 등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 소비자들의 심리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죠. 실제로 코로나19를 계기로 가성비보다는 비싸지만 믿을 수 있는 브랜드 제품을 선호하고, 불가능해진 해외여행 대신 특급호텔에서 여유로운 호캉스를 즐기거나 만족스러운 고급 먹거리에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는 일이 늘고 있습니다. 또, 좀 더 여유로운 집콕 생활을 위해 새로운 인테리어를 시도하거나 대형 TV를 구비해 여가를 더욱 만족스럽게 바꾸어 가는 등 우울한 코로나 시대를 이겨내기 위한 나를 위한 가심비 소비는 계속 증가 추세가 될 전망입니다.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예측 불가능한 현실 속에서 소비 트렌드 변화를 정확히 포착해 비즈니스 전략을 설계해야 합니다. 특히, 코로나19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언택트 등의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해 우리 기업에 최적화된 디지털 신사업의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잠시 멈춰 섰지만, 여전히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우리의 미래를 위해 기업들의 새로운 도전을 기대해 봅니다.

[보고서]언택트 시대, 세계 각국의 ICT 개발 및 정책

초록

1. 개요

코로나19로 인한 산업 전반의 거센 변화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국내 ICT 무역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의 경제활동 위축으로 대중국 ICT 수출입이 급감하면서 ICT 제조 기업들이 적지 않은 피해를 입고 있다. 최근 IT 자문기관 가트너(Gartner)는 2020년 IT 지출은 코로나19 여파로 2019년보다 8% 감소한 미화 3조 4,000억 달러에 그칠 거라는 전망을 내놓았으며,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프로스트앤드설리번(Frost&Sullivan)은 코로나19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산업으로는 의료와 화학, 소재, 식품, IT, 에너지 산업들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되는 산업으로는 교육과 금융, 제조, 건설, 자동차, 항공, 관광산업을 꼽았다.

[그림 1] 코로나19 시대 한국 TOP 10 성장 기회 (출처: Frost & Sullivan)

한국은행이 최근 발간한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의 변화와 우리 경제에의 영향” 보고서에서는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비대면 접촉을 통한 경제·사회 활동이 늘어나면서 디지털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ICT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재편되면서 제조업 스마트화, 비대면 서비스업 확대 등 디지털 전환 흐름이 강화되고, ICT 서비스업 중심의 제조업·전송서비스업 간 융·복합화가 보다 확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림 2] ICT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구조 개편 (출처: 한국은행)

이와 반대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으로 비대면 소비, 재택근무, 온라인수업이 증가하면서 온라인쇼핑·영상회의 등 이른바 ”언택트(Untact)” 경제와 관련된 ICT 서비스 기업들은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 지금까지는 피해 기업을 지원하는 데에 국가정책이 집중되었다면, 이제부터는 코로나19가 초래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ICT 산업 발전의 기회로 전환하여 디지털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 정부는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경제로의 전환기를 맞아 ICT 인프라와 관련한 기술개발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중국, 미국 등 세계 각국의 정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키워드에 대한 정보 언 택트 시대

다음은 Bing에서 언 택트 시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스마트라이프] 코로나19가 바꿔놓은 문화 ‘언택트’ / YTN 사이언스

  • YTN사이언스
  • 사이언스투데이
  • 과학
  • 뉴스
  • 사이언스TV
  • 언택트
  • 대면기피
[스마트라이프] #코로나19가 #바꿔놓은 #문화 #’언택트’ #/ #YTN #사이언스


YouTube에서 언 택트 시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스마트라이프] 코로나19가 바꿔놓은 문화 ‘언택트’ / YTN 사이언스 | 언 택트 시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