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 에볼라 바이러스의 단계별 증상 – (20141203_527회 방송)_에볼라 공포, 우리는 안전한가 69 개의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 에볼라 바이러스의 단계별 증상 – (20141203_527회 방송)_에볼라 공포, 우리는 안전한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aodaithanhmai.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aodaithanhmai.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KBS 생로병사의 비밀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2,334회 및 좋아요 5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에볼라는 주로 중앙 및 서부 아프리카에서 발생합니다. 에볼라의 증상은 무엇입니까? 증상은 발열, 두통, 몸살, 설사, 구토, 복통, 때로는 비정상적인 출혈을 포함합니다. 증상은 에볼라 바이러스와 접촉한 후 2일에서 21일부터 시작됩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의 단계별 증상 – (20141203_527회 방송)_에볼라 공포, 우리는 안전한가 –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에볼라 공포, 우리는 안전한가][ 원고정보 ]에볼라 바이러스 병의 증상 단계는 세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독감 증상 비슷하고 중간단계에는 설사병, 마지막 단계에는 패혈성쇼크 소견이 주소견인데요. 초기에는 고열, 오한, 근육통, 관절통, 피로감이 3~4일까지 진행되고 4~7일 사이에는 피를 토하고 복통, 설사 병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좀 더 진행되면 출혈이 외부 출혈, 내부 출혈이 있는데 피부나 코나 대변을 통해서 피가 나오고 내부 장기인 간이나 신장 내에서 출혈이 있게 됩니다. 그래서 많이 진행되서 7일~8일 사이에는 전신에 폐혈성 쇼크, 혼수상태, 저혈압으로 9일~10일 사이에 대부분의 환자가 사망하게 됩니다.
■ 국내 최초 건강\u0026의학 프로그램 [생로병사의 비밀] 공식 채널
■ ‘구독’ 버튼 누르고 공유해 주세요!
■ 매주 수요일밤 10시 KBS 1TV 본방송
● YOUTUBE – https://is.gd/hKutl0
●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KhealthKBS/
● KBS홈페이지 –http://program.kbs.co.kr/1tv/culture/health
● KBS건강 – http://health.kbs.co.kr
● 밴드페이지 – https://band.us/@kbshealth
● 포스트 – http://naver.me/GrY3SzHc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모든감염병|에볼라바이러스병 – 질병관리청

에볼라바이러스병 · 증상 초기에 발열 · 식욕부진 · 무력감 · 허약감 · 전신쇠약감 · 근육통 · 두통 등 비특이 증상.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kdca.go.kr

Date Published: 5/8/2022

View: 5652

에볼라 출혈열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서울아산병원

에볼라 바이러스의 잠복 기간은 약 2~19일 정도입니다. 환자는 고열, 두통, 근육통, 위의 통증, 심한 피로, 설사 등의 증세를 보입니다. 일주일 정도 지나면 흉부에 심한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amc.seoul.kr

Date Published: 8/8/2021

View: 3823

에볼라 – 나무위키

다양한 종의 에볼라 바이러스 중 레스턴 에볼라를 제외하고는 증상이 발현한 환자의 체액을 통해 감염된다고 알려져 있다. 잠복기에는 전염성이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4/29/2021

View: 1154

에볼라 바이러스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감염 – 감염 – MSD 매뉴얼

에볼라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 · 복통 · 누런 피부(황달 성인의 황달 황달의 경우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보입니다. 황달은 혈액에 빌리루빈(노란색 색소)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msdmanuals.com

Date Published: 6/18/2022

View: 2741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궁금증~~ :: 나누고 싶은 이야기

4. 감염의 증상과 징후는? 갑작스런 발열, 심한 무기력, 근육통, 두통 과 인후통이 전형적인 증상이다. 이후 구토, 설사, 발진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phgidok.com

Date Published: 6/9/2022

View: 1978

에볼라바이러스병(Ebola Virus Disease, EVD) – 제천명지병원

감염 후 수일 이내 고열, 두통, 근육통, 위장 통증, 피로감, 설사, 인후통, 딸꾹질, 발진, 눈의 충혈, 혈성 구토, 설사 등의 증세를 보임.감염 후 일주일 이내 흉통, 쇼크,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jcmj.co.kr

Date Published: 2/14/2021

View: 927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에볼라 바이러스의 단계별 증상 – (20141203_527회 방송)_에볼라 공포, 우리는 안전한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단계별 증상 - (20141203_527회 방송)_에볼라 공포, 우리는 안전한가
에볼라 바이러스의 단계별 증상 – (20141203_527회 방송)_에볼라 공포, 우리는 안전한가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 Author: KBS 생로병사의 비밀
  • Views: 조회수 12,334회
  • Likes: 좋아요 56개
  • Date Published: 2020. 8. 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CKczNDaAgNQ

정의

○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출혈성 질환

* 인체 감염은 드물게 발생하나, 발생 시 중증 이환, 치명적인 질환

질병분류

​○ 법정감염병 제1급감염병(질병코드: A98.3)

발생동향

○ 아프리카 토착지역 중심으로 산발 또는 유행

– 최초보고: 1976년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강 인근 마을 및 남수단 유행 통해 처음 확인

– 발생이력: 가봉, 기니,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라이베리아, 말리, 세네갈, 수단, 시에라리온, 우간다, 코르티부아르,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ㅇ ’14년 이전: 콩고민주공화국, 우간다, 등 일부 국가 중심으로 간헐적 유행 발생

ㅇ ’14년~’16년, 서아프리카(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등) 중심으로 대규모 유행 발생

ㅇ ’17년 이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유행 발생(’18.5월~’20.1월 기준, 콩고민주공화국 North Kibu 및 Ituri 주 중심으로 유행 지속)

○ 아프리카 지역 외 유입사례 발생보고: 미국(’14년), 영국(’14년), 스페인(’14년), 이탈리아(’15년)

※ 에볼라바이러스병 위험지역

– ​국외 발생이 있을 경우 세계보건기구(WHO) 및 질병관리청의 위험평가 통해 지역 또는 국가 단위로 지정(매월 4주차 기준 업데이트, 변동 시 수시 업데이트)

–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참고(Home > 정책정보 > 감염병 > 감염병위기대응 > 신종감염병현황 > 에볼라 현황 ▶ 국외 발생현황 및 위험지역 ‘바로가기’)

감염원

○ 병원체: 필로바이러스과(Filoviridae) 에볼라바이러스(Ebolavirus)속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 생물안전등급: 고위험병원체 제4위험군

* 현재까지 알려진 6종 중, 4종(Zaire, Bundibugyo, Sudan, Tai Forest) 에볼라바이러스에 의한 인체감염 발생 보고

○ 자연계 병원소: 과일박쥐

감염경로

○ 동물 → 사람: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숙주동물* 접촉, 취급, 섭취 등 통한 인체 감염

* 과일박쥐, 비인간 영장류(원숭이, 고릴라, 침팬지, 영양 등)

○ 사람 → 사람: 주로 에볼라바이러스병 환자 또는 사망자의 혈액ㆍ체액 접촉(노출), 또는 상처 난 피부ㆍ점막 통한 접촉(노출)

* 그 외, 에볼라바이러스병에서 회복한 환자와 성접촉, 모유수유, 에어로졸 등에 의한 감염 가능성

잠복기

○ 2일∼21일

증상

○ 증상 초기에 발열, 식욕부진, 무력감, 허약감, 전신쇠약감, 근육통, 두통 등 비특이 증상

○ 수일 후,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등 위장관 증상, 출혈(점상출혈, 반상출혈, 점막출혈 등),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간효소 수치 증가 등

치명률

○ 25∼90%(바이러스 종 및 각 국가의 보건의료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진단

○ 검체(혈액, 체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Real-time RT-PCR test)

치료

○ 대증치료(전세계적으로 상용화된 특이치료제 없음)

관리

○ 환자: 의사환자 확인 시부터 전염기 동안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등 음압격리병상에서 격리입원 검사, 치료 및 관리

○ 접촉자: 확진자 접촉 후 21일 동안 모니터링, 발열 등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심 증상 시 사례 검토·분류 후 분류결과에 따른 관리

예방

○ 여행 전, 에볼라바이러스병 위험지역을 확인하고, 해당지역은 방문 자제

○ 여행 중, 감염 예방 수칙 준수

– 박쥐, 야생동물(원숭이, 오랑우탄, 침팬지, 고릴라 등) 및 동물 사체 접촉·섭취·취급 삼가

– 불필요한 의료기관 방문 자제(불필요한 방문 시, 손위생 등 감염 예방 철저)

–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심)환자 직간접 접촉 삼가

○ 여행 후, 주의사항

-­ 위험지역 방문 후 귀국 시 건강상태질문서(방문지역, 증상 등)를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

-­ 위험지역 방문 후 귀국 시 검역관에게 발열 등 증상 알리기

-­ 위험지역 방문 후 21일 동안 발열 등 감염 의심 증상 확인(감염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 1339 또는 관할 보건소에 상담)

○ 의료 환경에서 감염 예방 관리

– 일상적으로 모든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손상된 피부와 점막을 접촉하거나 다룰 때 표준주의(개인보호구 사용, 접촉 후 손위생 실시 등)

–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사)환자에 대해 접촉주의 및 공기주의(특히, 혈액, 체액, 검체 및 사체 취급 시 주의)

※ 예방백신: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발생 지역에서 시험적 사용* 후 유럽·미국에서 1개 제품 승인(’19년)

* 접종대상: 에볼라바이러스병 환자 접촉자, 접촉자의 접촉자 및 대응 요원

진단 신고 기준

○ 신고범위: 환자, 의사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에볼라바이러스병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에볼라바이러스병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임상증상: 급성 발병 환자로, 38℃ 이상의 발열과 다음 중 1개 이상 의 증상 동반

– 심한두통, 근육통, 발진 증상 발현 3~4일 후 미세박리를 동반한 몸통의 홍반성 반점구진성 발진, 구토, 설사, 복통, 손상과 무관한 출혈, 혈소판감소증

○ 역학적 연관성: 증상 발현 21일 이내에 다음의 위험요인 중 1개 이상 해당

–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사)환자와 유증상기에 접촉

– 에볼라바이러스병 위험지역 여행 또는 거주

– 에볼라바이러스 검체 실험, 취급

– 에볼라바이러스병 위험지역으로부터 온 동물(박쥐, 영장류)을 실험, 취급

– 에볼라바이러스병 확진환자와 첫 증상일로부터 10주 이내에 성접촉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검체(혈액, 체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신고시기: 즉시

○ 신고방법: 유선신고 후 웹 신고(또는 팩스 전송)

– 유선신고: 질병관리청 긴급상황실(043-719-7979)

– ‘감염병발생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전송 또는 웹( http://is.cdc.go.kr ) 입력 방법으로 신고

* 사망(검안) 신고는 ‘감염병환자등 사망(검안)신고서’, 병원체검사결과 신고는 ‘병원체검사결과신고서’를 작성하여 추가 신고

○ 질병관리청 담당부서: 신종감염병대응과

자주묻는질문(Frequently asked question, FAQ)

○ 에볼라바이러스병은 어떤 질병인가요?

– 에볼라바이러스(Ebo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열성 출혈성 질환으로, 특이 치료제가 없고 감염되면 중증으로 이환하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 질환입니다.

– 1976년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강 인근 마을 및 남수단 유행을 통해 처음 보고 이후, 아프리카 토착지역 중심으로 산발하거나 유행발생이 보고되어 왔습니다.

○ 에볼라 바이러스에 어떻게 감염되나요?

– 인체 감염은 에볼라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 과일박쥐, 원숭이, 고릴라, 침팬지 등) 접촉, 환자·사망자 직간접 접촉 또는

혈액·체액(타액, 소변, 구토물, 대변 등)에 상처나 점막이 노출되어 감염 될 수 있으며, 환자와 성접촉을 통해서도 감염 될 수 있습니다.

○ 에볼라바이러스병에 걸리면 어떤 증상을 보이나요?

– 감염 후 2~21일(보통, 8~10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며,

– ​고열, 전신 쇠약감, 근육통, 두통 등 비특이적인 증상 이후에 오심, 구토, 설사, 발진이 동반되고 체내·외 출혈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에볼라바이러스병이 의심되면 어떤 조치가 필요한가요?

–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로 문의 후 안내에 따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보통, 의심 증상을 보일 경우, 보건소에서는 증상자의 위험지역 방문 및 위험노출 여부에 대해 먼저 기초 역학조사를 하게 됩니다.

– 기초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심 사례로 판단될 경우,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등 지정 의료기관의 음압격리병상에 입원하여

검사, 치료를 받아야 하며, 검사 결과에 따라 입원치료 지속 또는 격리해제 여부를 정하게 됩니다.

○ 에볼라바이러스병 위험지역은 어디인가요?

– 위험지역은 세계보건기구(WHO) 및 질병관리청 위험평가를 통해 국외 발생보고가 있는 지역 또는 국가 단위로 설정합니다.

– 과거 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콩고민주공화국 일부 주에서 유행발생이 보고되었습니다.

○ 에볼라바이러스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 전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에볼라바이러스병 특이 치료제는 없으며, 대증요법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 해외에서 다양한 치료제가 개발, 임상시험 중에 있으나, 아직 상용화된 단계는 아니며, 일부 치료제가 발생국가에서 인도주의적 목적으로

임상시험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에볼라바이러스병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 위험지역을 확인하여 방문을 연기하거나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불가피하게 위험지역을 방문할 경우, 감염되지 않도록 일반적인 감염병 예방 수칙을 지키고,

– ​불필요한 의료기관 방문 및 장례식 참석, 동물/환자/사체 접촉을 피하여 감염을 예방합니다(위의 ‘예방’ 정보 참고).

namu.wikiContáctenosTérminos de usoOperado por umanle S.R.L.Hecho con <3 en Asunción, República del Paraguay Su zona horaria es GMT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에볼라 바이러스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감염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및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은 출혈 및 장기 기능 부전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감염은 종종 사망을 초래합니다.

마르부르크와 에볼라 감염은 생존 또는 사망한 감염 동물들의 취급을 통해 또는 증상이 있거나 사망한 감염자의 피부 또는 체액과의 접촉을 통해 퍼집니다.

증상은 발열, 근육통 및 몸살, 두통, 기침, 인후통과 함께 시작되어, 입, 코 또는 내장 기관의 출혈뿐 아니라 구토 및 설사가 이어집니다.

의사는 진단을 확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혈액 및 소변 검사를 실시합니다.

감염의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엄격한 격리 및 위생 예방조치(그리고 의료계 종사자들의 경우 보호복의 사용)가 필요합니다.

치료에는 정맥을 통한 수액 주입, 신체 기능을 유지하는 다른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및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감염의 발병은 중앙 아프리카 및 서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는데, 아마도 그 곳의 야생 동물들에게 감염이 흔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한 발병은 드물며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분리된 시골 지역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아주 멀리 퍼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지역에서 온 여행자들이 때로는 인근 지역이나 드물게는 아프리카 밖으로 감염을 옮기기도 합니다.

2013년 12월, 대규모 에볼라 바이러스 발생이 기니 시골(서부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어 기니에서 인구가 밀집된 도시 지역과 인근의 라이베리아 및 시에라리온으로 퍼졌습니다. 이러한 발생은 2014년 3월에 처음으로 인지되었습니다. 에볼라 발병은 수천 명을 감염시켰으며, 감염자 중 약 59%가 사망했습니다. 감염된 여행자(고향으로 돌아온 의료계 종사자들 포함) 중 아주 소수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유럽 및 북아메리카로 퍼뜨렸습니다. 유럽 및 북아메리카에서 감염자 치료를 도왔던 소수의 의료계 종사자들 또한 감염되었습니다. 시에라리온, 기니, 라이베리아는 2016년 에볼라 청정 지역으로 선포되었습니다.

또한 에볼라 발병은 2017년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발생했으나 빠르게 봉쇄되었습니다. 그 곳에서 또 다른 발병은 2018년 5월 확인되었으며, 2020년 6월 백신의 도움으로 종료되었습니다. 그 후 북키부와 기니에서 소규모 발병이 있었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및 마르부르크 바이러스의 전염 에볼라 바이러스 및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합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대개 동물을 감염시키며 사람에게 퍼지는 것은 오직 가끔입니다. 이러한 바이러스의 원래 동물 근원이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의사들은 발생 시 바이러스가 어떻게 첫 인간을 감염시키는지 확실히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첫 감염자는 과일 박쥐나 영장류(유인원 및 원숭이) 같은 감염된 동물을 취급하거나 섭취함으로써 감염된다고 생각합니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감염은 박쥐에 노출된 사람들(예, 광산이나 동굴에서)에게 발생했습니다. 일단 사람이 감염되면, 사람들이 감염자의 피부나 체액(침, 혈액, 구토물, 소변, 대변, 땀, 모유, 또는 정액)과 직접 접촉할 때 인간 대 인간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증상이 발생하기 전이라면 사람들이 감염을 전파시킬 수 없다는 것을 증거에서 보여줍니다. 그러나 종종 죽은 사람들의 체액이 특히 시체를 나르거나 매장을 위해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감염을 전파시키지만, 단순히 신체를 만지는 것만으로도 감염을 퍼뜨릴 수 있습니다. 에볼라는 공기를 통해(예, 사람들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퍼지는 작은 방울로) 전파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습니다. 그러한 전파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아마 매우 드물 것입니다. 회복하는 일부 사람들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는 궁극적으로 체내에서 완전히 제거되며, 더 이상 전염력을 지니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들에서 바이러스는 면역체계 면역 체계의 개요 면역 체계는 인체를 외부의 위험한 침입자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그러한 침입자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미생물(일반적으로 병원균이라고 함, 예: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예: 벌레) 암세포 이식받은 장기 및 조직 더 읽기 가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신체 부위(예, 눈 또는 정액)에 한 동안 남아 있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은 더 이상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1년 이상 동안 정액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는 더 이상이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최대 7주 동안 정액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에볼라와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감염의 진단 혈액 및 소변 검사 열과 같은 조기 증상은 보다 흔한 감염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으므로, 며칠 동안만 감염된 사람들에게서 에볼라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있는 사람이 에볼라가 발생하고 있는 지역에 있거나 지역을 여행하고 돌아왔다면, 의사들은 에볼라를 의심합니다.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는 의료계 종사자들이 그러한 지역에서 돌아온 여행자들을 평가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했습니다. 의사가 에볼라를 의심하는 경우,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 및 소변 검체를 채취하여 검사합니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하는 경우 비슷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에볼라 또는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감염이 진단되는 경우, 공중 보건 관리들에게 통지됩니다.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궁금증~~ :: 나누고 싶은 이야기 : 세명기독병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전국적으로 에볼라바이러스병 홍보 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1.에볼라바이러스Q&A2.에볼라 바이러스병 신고요령에볼라 바이러스 병(Ebola hemorrhagic fever)1. 에볼라 바이러스 병이란?필로바이러스과(Filoviridae family)에 속하는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에 의한 감염증으 로 감염시 사망률이 90%에 이르는 중증의 치명적 질환이다. 사람과 원숭이, 고릴라 침팬지등에 발병한다.에볼라는 1976년 처음 발생하였는데, 그 발생한 마을의 근처 강의 이름을 따서 이름 지었다. 이후 가봉, 코트디부아르, 수단, 우간다, 콩고 등에서 발생하였고, 최근 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에서 약 1200 여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670 여명이 사망하였다.바이러스의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과일 박쥐(fruit bat)”가 바이러스의 숙주로 생각된다.2. 어떻게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나요?에볼라 바이러스 병은 감염된 동물의 혈액, 분비물, 장기 또는 체액의 밀접한 접촉을 통해서 인체에 감염된다. 아프리카에서는 열대 우림 속의 감염된 침팬지, 고릴라, 과일 박쥐 등을 취급하는 중에 감염이 발생하였다. 고위험 동물(즉, 과일 박쥐, 원숭이)의 죽은 사체를 함부로 만지거나 그 날고기를 만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과 접촉한 사람은 지역 사회 내에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가 가능하다. 감염된 사람의 혈액 또는 체액 또는 분비물(대변, 소변, 침, 정액)에 직접 접촉(손상된 피부나 점막을 통해)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또한 에볼라 환자의 감염된 체액에 오염된 환경(즉, 의류, 침구, 사용한 주사바늘)에 건강한 사람의 손상된 피부나 점막에 노출 시 감염될 수 있다.증상 발생 전에는 전파되지 않으며, 호흡기로는 전파되지 않는다.의료인의 감염은 에볼라 환자를 돌보는 중에 장갑, 마스크, 가운 등 개인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아서 발생하였다. 병원 내 모든 의료인은 질병의 경과와 전염경로를 숙지하여 엄격한 감염관리지침을 따라야 한다.장례 중 사망한 사람의 몸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도 에볼라 바이러스의 전파가 가능하다. 따라서 에볼라로 사망한 사람의 사체는 보호가운과 장갑을 착용 후 취급되어야 하고 즉시 매장한다.바이러스가 혈액이나 분비물에 있는 동안은 감염력이 있기 때문에 감염된 사람은 전문의료진에 의해 집중감시와 검사를 통해 혈액과 분비물에 더 이상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는 것이 확인된 후에 귀가 조치할 수 있다. 전문의료진이 환자가 집으로 돌아가도 좋다고 결정하였다면 환자는 더 이상 감염성이 없고 지역사회에서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지도 않는다는 것 이다. 병으로부터 회복된 성인남자는 회복 후 7주까지 정액을 통해 배우자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 따라서 회복 후 최소 7주간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3. 고위험군은?유행기간 동안에 감염의 고위험군은 다음과 같다.- 감염자를 돌보는 의료종사자- 감염된 사람과 밀접한 접촉을 하는 가족 또는 접촉자- 장례절차 중 사체와 직접 접촉한 접촉자- 열대우림 숲속에서 죽은 동물의 사체와 접촉한 사람면역저하자나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 건강한 다른 사람에 비해 바이러스에 더 잘 감염되는지 여부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4. 감염의 증상과 징후는?갑작스런 발열, 심한 무기력, 근육통, 두통 과 인후통이 전형적인 증상이다. 이후 구토, 설사, 발진, 간과 콩팥의 기능 저하, 간혹 출혈이 뒤따른다.검사실 소견상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증, 간 수치 상승이 나타난다.잠복기는 대략 2일에서 21일이다.에볼라 바이러스 감염병은 검사실 검사를 통해 확진한다(ELISA, 항원검출검사, 혈청중화검사,RT-PCR, virus culture).5. 언제 병원에 가야 되나요?에볼라 바이러스 유행지역을 방문하였거나 확진 또는 의심환자와 접촉한 적이 있으면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지체 없이 보건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신속한 치료는 생존률 향상에 필수적이다. 또한 질병의 전파 차단과 감염관리 활동이 지체 없이 수행되어야 한다.6.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현재까지 에볼라 바이러스 병에 특화된 항바이러스제는 없다. 따라서 표준치료는 없으나 환자들은 지지 치료를 받는데, 중환자는 쉽게 탈수가 되어 정맥수액공급이필요하다. 일부 환자는 적절한 지지 치료로 회복될 수 있다.바이러스의 전파를 조절하기 위해, 감염 또는 확진된 환자는 다른 환자와 분리해서 격리하여야 하고 엄격한 감염관리 활동을 통해 의료진에 의해 치료되어야 한다.7. 개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예방이 가능한가요?현재까지 에볼라 바이러스 병 예방을 위해 시판되는 백신은 없다. 몇 개의 백신이 준비 중 이지만 아직까지 임상적으로 사용은 가능하지 않다.위험요소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자체 보호를 통해 전파를 줄이는 것이 현재 유일한 예방책이다.초기 환자들은 감염된 동물이나 사체를 만지는 중 에볼라에 감염된 데 반하여, 이후 감염자들은 안전하지 않은 방법으로 환자를 보살피거나 장례절차를 수행 중 환자의 체액에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되었다. 감염발생 지역에서 고위험 동물의 접촉을 줄이고 감염이 의심되는 동물은 접촉을 금한다.8. 환자를 돌보는 의료인의 예방수칙은?표준격리지침에 추가하여 의료종사자는 감염된 혈액, 체액 또는 오염된 환경(환자의 침구, 의류, 사용한 주사바늘)에 노출을 피할 수 있는 엄격한 감염관리 지침을 수행해야 한다.- 개인보호장구로 가운, 장갑, 마스크, 고글을 착용한다.- 사용한 보호장구는 적절히 소독되지 않으면 재사용은 하지 않는다.- 침습적 시술은 엄격히 안전한 조건하에서 수행한다.- 감염된 환자는 다른 환자들로부터 격리시킨다.9. 안전한 해외여행은?여행자들의 감염위험은 매우 낮다. 사람간 전파는 모두 감염된 사람의 체액이나 분비물의 직접 접촉을 통해서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것을 주의하면 감염위험은 매우 낮다.유행기간 동안, 세계보건기구(WHO) 홈페이지 및 국내에서는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홈페이지(http://travelinfo.cdc.go.kr)를 통해서 여행자제 지역을 확인한다.- 여행자는 감염된 환자와 모든 접촉을 피해야 한다.- 감염지역을 방문하려는 의료종사자는 감염관리 수칙을 준수한다.- 최근 환자가 발생한 지역에 체류하는 사람은 질병의 증상에 대해 숙지하고 증상발현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개인 위생(손씻기 등) 수칙을 준수한다.10. 참고문헌1. World Health Organization. Frequently asked questions on Ebola virus disesases.Updated 8 July 20142. 질병관리본부. 에볼라 출혈열 감염예방을 위한 예방수칙 준수 철저. 7.30. 보도자료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bola hemorrhagic fever fact sheet. April 9, 2010

키워드에 대한 정보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다음은 Bing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올림픽 야구 중계 방송 | '합법적 병역 브로커(?)' 이승엽의 바로 그 경기!! 베이징올림픽 야구 준결승 한일전 444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See also  산업 혁명 시기 | 산업혁명 이후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산업혁명의 역사적 의미! 6 개의 자세한 답변

See also  경계선 지능 장애 | [Full] 삶의 경계에 내몰리다, 경계선 지능 | #시사직격 115회 Kbs 220415방송 17102 좋은 평가 이 답변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에볼라 바이러스의 단계별 증상 – (20141203_527회 방송)_에볼라 공포, 우리는 안전한가

  • 생로병사의비밀
  • 생로병사
  • 생로라이브
  • KBS
  • 건강수명
  • 웰빙
  • 다이어트
  • 건강정보
  • 의학정보
  • 에볼라 바이러스
  •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 패혈성쇼크
  • 에볼라 바이러스 감기
  • 고열
  • 오한
  • 근육통
  • 관절통
  • 피로감
  • 복통
  • 설사
  • 외부 출혈
  • 내부 출혈
  • 혼수상태
  • 고려대 의대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
  • 에볼라 출혈열
  • 신증후성 출혈열
  • 라싸열
  • 눈의 충혈
  • 발진
  • 점상 출혈
  • 가슴 통증
  • 감염
  • 김우주 교수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 감염내과

에볼라 #바이러스의 #단계별 #증상 #- #(20141203_527회 #방송)_에볼라 #공포, #우리는 #안전한가


YouTube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단계별 증상 – (20141203_527회 방송)_에볼라 공포, 우리는 안전한가 | 에볼라 바이러스 증상,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